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목포문학사와 전남시단사

목포문학사와 전남시단사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선태, 1960-
Title Statement
목포문학사와 전남시단사 / 김선태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태학사,   2019  
Physical Medium
188 p. : 삽화 ; 22 cm
ISBN
9791163950899
General Note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13279
005 20200117110357
007 ta
008 200115s2019 ggka 001c kor
020 ▼a 9791163950899 ▼g 938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895.70995195 ▼2 23
085 ▼a 897.0995368 ▼2 DDCK
090 ▼a 897.0995368 ▼b 2019
100 1 ▼a 김선태, ▼d 1960-
245 1 0 ▼a 목포문학사와 전남시단사 / ▼d 김선태 지음
260 ▼a 파주 : ▼b 태학사, ▼c 2019
300 ▼a 188 p. : ▼b 삽화 ; ▼c 22 cm
500 ▼a 색인수록
536 ▼a 이 책은 전남문화관광재단으로부터 2019년 문예진흥기금 지원을 받아 출간하였음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0995368 2019 Accession No. 11182173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김선태의 <목포문학사와 전남시단사>. 주요 문인이나 문단 활동사항에 있어서 관련 자료를 총동원하여 저자가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 입각하여 선별·기술·평가하였다.

목포문학은 훌륭한 문학적 자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학사를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물론 이를 위한 시도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목포시사』, 『목포 개항 100년사』, 『목포 100년의 문학』 등에 기술된 목포문학사와 관련한 글들이 그것이다. 이 글들은 그러한 측면에서 중대한 결함을 노정하고 있다. 첫째, 해방 이전까지 목포문학의 흐름에 대한 기술이 전무하다는 점, 둘째, 해방 이후에 대한 기술마저도 잡다한 현황자료를 늘어놓은 것에 불과하다는 점, 셋째, 시대적 배경과 흐름 분석, 문학사적인 의미 부여나 평가가 전혀 안 되어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사실이 늘 부끄러웠고, 해결해야 할 숙제처럼 여겨졌다. 그래서 이러한 결함을 극복한 제대로 된 목포문학사를 한번 써보자는 결심을 굳혔고, 이를 실천에 옮기게 된 것이 「목포문학사」이다. 따라서 이 글은 주요 문인이나 문단 활동사항에 있어서 관련 자료를 총동원,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 입각하여 선별·기술·평가하려고 노력했음을 밝힌다.
「전남시단사」 역시 목포문학사와 마찬가지로 아직까지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적이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광주·전남 현대시문학의 뿌리와 정신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해 현대뿐만이 아니라 고대 시문학의 흐름까지 살펴보는 경우는 전무하다. 또한 광주와 전남이 분리되면서 어디까지 함께 기술하고, 또 어디서부터 나누어 기술할 것인지 모호한 점이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기술한 전남시단사는 이 글이 처음이 아닌가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서문

목포문학의 흐름과 활동

1. 1920년대-목포문학의 출발과 김우진
2. 1930년대-『호남평론』과 박화성
3. 1940년대-암중모색과 『예술문화』
4. 1950년대-『시정신』의 탄생과 피난민 문학
5. 1960년대-목포문학의 융성과 『산문시대』
6. 1970년대-문인들의 출향과 침체의 시작
7. 1980년대-침체의 지속과 문학적 중심축 부재
8. 1990년대-목포문단의 폐쇄성과 질적 저하
9. 2000년대-세대교체와 변화의 새바람

목포해양문학의 흐름과 과제

1. 문제의 제기
2. 해양문학의 개념 재검토
3. 목포해양문학의 흐름과 주요 작품
4. 남은 과제와 전망

주요 작고 문인

1. 김우진-한국근대극의 선구자
2. 박화성-한국여성소설의 대모
3. 김진섭-한국수필문학의 비조
4. 조희관-예향 목포의 텃밭 일군 수필가
5. 차범석-한국사실주의 연극의 완성자
6. 차재석-목포 문단의 터줏대감
7. 김 현-한국평론문학의 독보적 존재
8. 최하림-한국 시단의 균형주의자
9. 황현산-탁월한 번역가이자 문학평론가

전남 시단의 흐름과 활동

1. 전남 시단의 뿌리와 정신
2. 전남 현대시문학의 흐름
3. 전남 시단의 과제와 전망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