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12767 | |
005 | 20200113161151 | |
007 | ta | |
008 | 200113s2018 ulk 001c kor | |
020 | ▼a 9791189005139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4951638 | |
040 | ▼a 222003 ▼c 222003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8.7 ▼2 23 |
085 | ▼a 158.7 ▼2 DDCK | |
090 | ▼a 158.7 ▼b 2018z5 | |
245 | 0 0 | ▼a 일의 심리학 / ▼d David L. Blustein 편 ; ▼e 박정민 [외]공역 |
246 | 1 1 | ▼a Psychology of work |
246 | 1 9 | ▼a The Oxford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working |
246 | 3 9 | ▼a Oxford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working |
260 | ▼a 서울 : ▼b 박영story : ▼b 피와이메이트, ▼c 2018 | |
300 | ▼a iv, 336 p. ; ▼c 26 cm | |
500 | ▼a 공역자: 김태선, 신주연, 남지혜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Work ▼x Psychological aspects |
650 | 0 | ▼a Work ▼x Social aspects |
650 | 0 | ▼a Vocational guidance |
650 | 0 | ▼a Psychotherapy ▼x Social aspects |
700 | 1 | ▼a Blustein, David Larry, ▼e 편 ▼0 AUTH(211009)63914 |
700 | 1 | ▼a 박정민, ▼e 역 ▼0 AUTH(211009)10134 |
700 | 1 | ▼a 김태선, ▼e 역 ▼0 AUTH(211009)44650 |
700 | 1 | ▼a 신주연, ▼e 역 ▼0 AUTH(211009)15082 |
700 | 1 | ▼a 남지혜, ▼e 역 ▼0 AUTH(211009)63913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8.7 2018z5 | Accession No. 51104131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1부 이론적 기초, 2부 일의 맥락, 3부 조직적 함의, 4부 상담과 심리치료, 5부 커뮤니티 기반의 개입과 공공 정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자 서문
“우리는 전문가.
그래서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은 절대적인 진리야.”
과연 그럴까?
우리와 함께 작업하고 있는 client가 갖고 있는 중요한 니즈들 중에
혹시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하고 간과하는 것은 없을까?
현재 내가 하고 있는 전문가로서의 역할 및 행동에 있어서
조금 더 범위를 넓히고,
조금 더 시야를 확장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이 책을 번역하면서,
기존에는 당연하게만 생각했던 심리학 이론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들과,
진정으로 client를 위한 조력 서비스를 하기 위해
그리고 변화하는 시대에서
사람들이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는 과정을 돕기 위해
우리가 새롭게 관심을 가져야 할 활동에 대해
정말 새삼스럽게 다시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그거 다 아는 건데”
“나도 다 하고 있어요”
“쓸데없는 얘기로 시간 낭비하지 말아요”라고 이야기하며
변화에 저항하는 내담자를 보면서 안타까워했던 우리지만,
정작 우리 자신도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생각과 가치관, 지식의
틀 안에 갇혀서 우물 안 개구리같이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신선한 두려움을 느낄 수 있었다.
이 책의 번역 작업은
진정으로 건강하고 역량있는 전문가가 되려면,
끊임없이 스스로를 돌아보려는
자세를 가지고,
한 단계 더 성장하고 성숙하기 위해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당연한 생각을
새삼스럽게 다시 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이 책을 통해,
client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노력하고 계신 전문가분들이
기대하시고 목표하시는 방향으로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번역 담당]
박정민 : 1, 2, 3, 4, 5, 6장
김태선 : 7, 14, 15, 17, 18장
신주연 : 8, 9, 12, 13장
남지혜 : 10, 11, 16장
2018년.
같은 하늘 아래.
박정민, 신주연, 김태선, 남지혜.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1부 이론적 기초 1장 일의 심리학: 새로운 시대를 위한 새로운 시각 3 2장 비판심리학, 웰빙, 그리고 일 20 3장 사회구성주의적 사고와 일 41 4장 진로개발에 대한 전통이론과 신규이론, 그리고 일의 심리학 55 2부 일의 맥락 5장 인종과 일 77 6장 젠더와 일의 심리학 91 7장 포괄적인 LGBT 일의 심리학을 향해 111 8장 빈곤, 사회계층, 그리고 일 138 9장 일과 가정으로부터 일의 이중모형으로 153 10장 고령화와 일에 대한 접근법 172 11장 일과 장애 197 3부 조직적 함의 12장 일, 일 정체성, 그리고 진로성공을 재정의하기 213 13장 보다 포괄적인 산업-조직심리학 230 4부 상담과 심리치료 14장 일 관련 어려움을 경험하는 내담자 상담 247 15장 심리치료와 일의 심리학의 치료 실제에의 통합 265 5부 커뮤니티 기반의 개입과 공공 정책 16장 교육개혁의 구성요소로써 일의 가능성 287 17장 성인 노동자를 위한 직업훈련 및 취업지원서비스 304 18장 공공정책과 일의 심리학 321 색인 335 참고문헌 QR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