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12672 | |
005 | 20200113095039 | |
007 | ta | |
008 | 200110s2019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89946043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5121386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5.937 ▼2 23 |
085 | ▼a 155.937 ▼2 DDCK | |
090 | ▼a 155.937 ▼b 2019z5 | |
100 | 1 | ▼a Pomeroy, Elizabeth Cheney, ▼d 1955- |
245 | 1 0 | ▼a 애도상담의 실제 : ▼b 강점 기반 애도상담을 위한 평가와 개입 워크북 / ▼d Elizabeth C. Pomeroy, ▼e Renée Bradford Garcia 지음 ; ▼e 강영신, ▼e 이동훈 옮김 |
246 | 1 9 | ▼a The grie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workbook : ▼b a strengths perspective ▼g (Student ed.) |
246 | 3 9 | ▼a Grie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workbook : ▼b strengths perspective |
260 | ▼a 서울 : ▼b 사회평론아카데미, ▼c 2019 | |
300 | ▼a 413 p.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p. 406-413 | |
650 | 0 | ▼a Grief therapy ▼v Handbooks, manuals, etc. |
700 | 1 | ▼a Garcia, Renée Bradford, ▼e 저 |
700 | 1 | ▼a 강영신, ▼e 역 |
700 | 1 | ▼a 이동훈, ▼e 역 |
900 | 1 0 | ▼a 포메로이, 엘리자베스, ▼e 저 |
900 | 1 0 | ▼a 가르시아, 르네 브래드포드,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5.937 2019z5 | Accession No. 11182151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5.937 2019z5 | Accession No. 11183094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를 잃은 상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며, 애도 중인 내담자에게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가? 심리상담, 사회복지, 간호 등 다양한 조력 직종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은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경험한 사람들을 돕는 과제에 필연적으로 직면하게 된다. 점점 애도상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 그 실제를 알기 위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풍부하고 생생한 사례를 통해 학생, 전문가들이 현장을 경험하고 효과적인 상담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책이다.
★ 가족, 애인, 친구를 잃은 내담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상담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
★ 내담자가 상실을 충분히 애도하면서도 아직 지니고 있는 강점을 활용해 적응할 수 있도록 접근
★ 풍부한 사례와 대화를 통해 보여주는 구체적인 개입 기술
★ 초심 상담자와 학생들뿐만 아니라 상담 전문가들에게도 애도 상담에 대한 실질적인 지식을 전달해주는 워크북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낸 사람들을 어떻게 위로할 것인가
- 다양한 사례와 생생한 상담 장면으로 익히는 면담, 평가, 개입 기술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를 잃은 상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며, 애도 중인 내담자에게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가? 심리상담, 사회복지, 간호 등 다양한 조력 직종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은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경험한 사람들을 돕는 과제에 필연적으로 직면하게 된다. 이렇게 점점 애도상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 그 실제를 알기 위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책은 풍부하고 생생한 사례를 통해 학생, 전문가들이 현장을 경험하고 효과적인 상담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책의 주요 목표는 실제 사례를 통해 상담 기술을 익히는 것이다. 독자들은 생생한 사례를 통해 다양한 배경의 내담자들과 면담하고, 평가하며, 개입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이 사례들은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겪은 후에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준의 기술들에 초점을 두고 있다. 각 사례들 뒤에는 점검하고 연습할 수 있는 질문들이 제시되어 학생들이 과제로 작성해서 제출할 수도 있고, 교수자가 시험 문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애도상담의 실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책으로는 국내에 첫 출간되는 이 책은 상실과 애도를 겪고 있는 내담자를 도우려는 상담 전문가들과 학생들에게 가장 생생하고 유익한 안내 서적이 될 것이다.
강점에 기반한 평가와 개입
상실로 애도 중인 사람들은 ‘잃은 것’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춘 나머지 ‘갖고 있는 것’에는 눈을 돌리기 쉽지 않다. 저자인 포메로이와 가르시아는 다양한 애도 이론들을 개관한 후 이를 바탕으로 강점 기반 애도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관점은 한 개인의 대처 능력과 환경적 자원들을 강조한다. 이 강점 기반 관점이 책 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으며, 평가와 개입을 위한 기술들의 기초가 된다.
실제 사례를 통한 상담 기술 개발
이 워크북의 주된 목표는 실제 사례를 통해 상담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풍부한 성인 사례를 비롯해 아동, 청소년, 노인과 같은 특정 집단 사례도 제시되고 있다. 독자들은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 다양한 집단의 내담자들과의 면담, 평가, 개입 방법들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이 사례들은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라는 위기 상황이 어느 정도 가라앉은 후에 활용할 수 있는 상담 기술들에 초점을 두고 있다. 각 사례들 뒤에는 연습할 수 있는 내용들이 제시되어 학생들이 과제로 작성해서 제출할 수도 있고, 혹은 교수자가 시험 문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식을 실제 내담자에게 적용하는 실습을 함으로써 더욱 포괄적인 평가 및 개입 계획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사례를 이용해 민감한 정서적 주제들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저자 서문 1장 서론-애도와 상실을 이해하기 애도와 상실 이론 애도와 상실에 대한 강점 기반 체계 1차 상실과 2차 상실 가족 체계와 애도 과정 애도와 상실에 대한 사회의 반응 애도와 상실에 대한 문화적 반응 요약 사례 2장 강점 기반 체계를 활용한 애도 면담 및 면담 평가 애도 중인 내담자와의 라포 형성 내담자 이야기 촉진하기 애도 평가 과정 평가 과정에서의 문화적 맥락 정신건강 평가 측면에서의 애도 애도와 DSM IV-TR 예기 애도 평가 애도와 우울의 평가 트라우마와 애도 평가 평가 도구 면담 평가 애도, 상실, 애도 의식과 관련된 심리사회적 평가 사례 3장 성인의 예상되는 애도 경험 예상되는 애도에 대하여 예상되는 애도의 영향 예상되는 애도와 인지 기능 예상되는 애도와 정서 기능 예상되는 애도와 행동 기능 예상되는 애도와 신체 기능 예상되는 애도와 대인관계 기능 예상되는 애도와 영적 기능 표준화된 도구를 사용하여 성인의 애도를 측정하기 문화가 애도 반응에 끼치는 영향 개별 내담자를 위한 강점 기반의 예상되는 애도 개입 애도 방식이 개입에 미치는 영향 예상되는 애도를 겪는 성인들을 위한 집단 개입 강점 기반의 심리교육 애도 집단 강점 기반 예상되는 애도 집단 개입-예시 사례 4장 성인의 병합 애도 병합 애도의 조건 병합 애도의 영향 병합 애도와 인지 기능 병합 애도와 정서 기능 병합 애도와 행동 기능 병합 애도와 생리 기능 병합 애도와 대인관계 기능 병합 애도와 영적 기능 표준화된 도구를 통한 성인의 병합 애도 반응 평가 병합 애도에서 문화의 영향-사례 강점 기반 병합 애도 개입-개인 상담 강점 기반 병합 애도 개입-집단 상담 사례 5장 아동과 청소년의 애도 반응 아동의 애도 반응 애도에 관한 아동의 발달 단계 죽음과 관련된 아동기 공포 아동과 청소년의 강점 아동의 애도 평가 표준화된 도구를 이용한 아동의 애도 평가 위기 고려사항 문화적 고려사항 가족과 관련된 문제들 학교와 관련된 문제들 개별 아동에 대한 애도 개입 아동과 청소년의 애도 집단 개입 사례 6장 노년기 애도 반응 노인 애도와 인지 기능 노인의 정서적 및 행동적 기능과 애도 노인의 신체 기능과 애도 노인의 사회적 기능과 애도 상실의 재정적 영향력 노인의 애도 평가 문화적 고려사항 애도하는 노인에 대한 개인적 개입 애도하는 노인에 대한 집단 개입 사례 7장 애도 반응과 특별 고려사항 장애인과 애도 게이, 레즈비언, 양성애자 및 트랜스젠더 집단과 애도 만성 및 말기 질환과 애도 부모의 자녀 사별 모호한 상실과 애도 반려동물 상실 사례 8장 전문가를 위한 임상적 활용 자기 자각 보이지 않는 여행가방 비유 연습: 보이지 않는 여행가방 비유 사용하기 전문적 수퍼비전 애도상담자의 고유한 역할 애도상담에서의 전문적 윤리와 가치관 전문가들의 공감 피로와 2차 외상 연습 지속적인 교육 및 훈련 사례 학생들을 위한 활동 추천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