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 우언문학사 (1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윤주필
서명 / 저자사항
한국 우언문학사 / 윤주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2019-  
형태사항
책 : 삽화 ; 23 cm
ISBN
9788968177385 (v.1) 9788968177378 (세트)
일반주기
색인수록  
v.1. xiii, 618 p.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11447
005 20200107152621
007 ta
008 200106m20199999ulka 001c kor
020 ▼a 9788968177385 (v.1) ▼g 94810
020 1 ▼a 9788968177378 (세트)
035 ▼a (KERIS)BIB000015089572
040 ▼a 211048 ▼c 211048 ▼d 211009
041 0 ▼a kor ▼a chi
082 0 4 ▼a 895.70915 ▼2 23
085 ▼a 897.0915 ▼2 DDCK
090 ▼a 897.0915 ▼b 2019
100 1 ▼a 윤주필
245 1 0 ▼a 한국 우언문학사 / ▼d 윤주필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9-
300 ▼a 책 : ▼b 삽화 ; ▼c 23 cm
500 ▼a 색인수록
500 ▼a v.1. xiii, 618 p.
546 ▼a 一部 漢韓對譯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0915 2019 1 등록번호 51104127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9-04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0915 2019 1 등록번호 5110412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0915 2019 등록번호 15134980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0915 2019 1 등록번호 51104127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9-04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0915 2019 1 등록번호 5110412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0915 2019 등록번호 15134980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 머리말

1장 한국 우언문학사 연구의 관점
1.1. 한국 우언문학사의 개념
1.2. 한국 우언문학사의 범위
1.3. 한국 우언문학사의 기술 방식
1.4. 한국 우언문학사의 시대 구분

2장 고대 우언문학사
2.1. 한국 우언문학의 시원
2.2. 창조신화에 끼어든 우언적 사유
2.3. 건국신화에 끼어든 우언적 사유
2.4. 고대에서 중세 이행기의 우언적 사유

3장 중세전기 제1기 우언문학사 - 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 -
3.1. 삼국시대의 우언
3.1.1. 삼국 초기 음악에 반영된 우언적 사유
3.1.2. [온달]과 [서동] 이야기
3.2. 삼국 통일의 진통과 우언의 역할
3.2.1. 삼국 통일과 관련된 예언과 도참
3.2.2. [귀토지설]과 [화왕계]
3.2.3. 신라 불국토의 도상학적 우의
3.3. 통일신라 시대의 우언
3.3.1. 흥성과 쇠망을 우의하는 노래와 일화
3.3.2. 최치원의 우언시와 정치외교 문서의 우언적 표현
3.3.3. 남북국 시대 발해국의 상황

4장 중세전기 제2기 우언문학사 - 고려 전기 -
4.1. 고려의 통일을 뒷받침하는 우언적 사유
4.1.1. 후삼국 시대와 통일 정국의 상황
4.1.2. 태조의 [훈요십조]에 나타난 정치적 우의
4.2. 고려의 정치적 안정과 개혁을 위한 우언
4.2.1. 정치적 우언 시문의 창작과 소통
4.2.2. 응제시와 상화시(賞花詩)의 우의
4.2.3. 유학적 문신관료의 정치윤리와 자부심
4.3. 『삼국사기』의 역사 글쓰기와 『수이전』의 문학 글쓰기
4.3.1. 『삼국사기』의 역사관과 사론의 우의
4.3.2. 『삼국사기』 열전의 삽입 우언
4.3.3. 『수이전』과 『삼국사기』의 거리

5장 중세후기 제1기 우언문학사 - 고려 후기 -
5.1. 무신집권기의 우언문학
5.1.1. 무신집권기와 문인층의 전반적 상황
5.1.2. 이인로와 임춘의 우언적 성취와 한계
5.1.3. 우언 글쓰기의 거장 이규보
5.1.4. 무신집권기 문신들의 다양한 우언 글쓰기
5.2. 우언의 양식화
5.2.1. 전기우언(傳記寓言) 양식의 발생과 추이
5.2.2. 임춘과 이규보의 선례
5.2.3. 무의자 혜심과 식영암 연감의 개척
5.2.4. 최해, 이곡, 이첨의 변화 모색
5.3. 역사문학의 우의
5.3.1. 이규보의 역사 재인식과 역사문학
5.3.2. 일연의 감통 의식과 이류중행(異類中行) 사상
5.3.3. 이승휴의 『제왕운기』와 영사시
5.4. 문학론에서의 우언적 사유
5.4.1. 이인로의 『파한집』과 탁물우의(托物寓意)
5.4.2. 이규보의 우언적 문학론
5.4.3. 최자의 『보한집』과 비흥풍유(比興諷諭)
5.4.4. 고려말 신흥사대부의 우언적 문학론
5.5. 선종의 파격적 사유와 우언 글쓰기
5.5.1. 지눌과 혜심의 세대
5.5.2. 충지와 보우와 혜근의 한문가요
5.5.3. 식영암 연감의 우언 실험
5.6. 사대부의 출현과 시대 전환의 우언 글쓰기
5.6.1. 이제현의 세대
5.6.2. 이곡과 이색의 우언 개척
5.6.3. 고려말 신흥사대부의 전환기적 모색과 우언적 주제

6장 중세후기 제2기 우언문학사 - 조선 전기 -
6.1. 조선초 전환기 사대부 지식인의 우언 글쓰기
6.1.1. 사대부 문학의 전반적 상황과 우언 글쓰기의 양상
6.1.2. 정도전과 권근의 세대
6.1.3. 길재에서 유방선까지
6.2. 관인 문학의 우언 - 경륜의 철학과 정치생활의 교훈
6.2.1. 서거정과 강희맹의 세대
6.2.2. 성간과 성현 형제의 성취
6.2.3. 채수에서 김안로까지의 우언 글쓰기
6.3. 사림파 문학의 우언 - 자기 성찰의 방편과 당파 정치의 파란
6.3.1. 김종직과 그의 제자들
6.3.2. 김안국에서 강유선까지의 정치적 소용돌이
6.3.3. 성리학과 우언 글쓰기
6.3.4. 사림파의 약진과 분열
6.4. 방외인 문학의 우언 - 반발과 모색의 자취
6.4.1. 김시습의 선구적 작업
6.4.2. 남효온과 잠령칠현의 방외인 집단
6.4.3. 방외인문학의 확대와 임제의 기여
6.5. 민족어 교술시의 우언적 수법
6.5.1. 악장·경기체가의 우언적 수사
6.5.2. 유배가사와 기행가사의 우언적 수법
6.5.3. 정철 가사의 성취
6.6. 우언 양식의 발달
6.6.1. 전기우언의 지속과 확대
6.6.2. 가상 주체로 꾸미는 쟁변 우언
6.6.3. 몽유기의 출현과 전개
6.6.4. 심성우언의 출현과 전개
6.7. 잡록집의 분화와 우언 모음집의 출현
6.7.1. 잡록집에 수습된 우언
6.7.2. 강희맹의 『훈자오설』의 실험
6.7.3. 성현의 『부휴자담론』의 성취
6.8. 역학서에 수록된 우언
6.8.1. 『훈세평화』의 선례
6.8.2. 『경국대전』에 기록된 역학서와 우언 작품
6.8.3. 역학서 [오륜전비기]와 번안소설 [오륜전전]
6.9. 초기 소설의 우언 글쓰기
6.9.1. 초기 소설의 개념과 우언적 특징
6.9.2. 『금오신화』의 성취와 『기재기이』의 도전
6.9.3. 우언문학사를 통해 본 16세기 소설사
6.9.4. 우언계 소설의 정착과 성취
6.10. 우언 비평의 여러 양상
6.10.1. 관각문학의 우의론
6.10.2. 사림파문학의 탁물우의론
6.10.3. 도가 한문고전의 해석과 우언론
6.10.4. 소설의 우언론

■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