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10427 | |
005 | 20191226092411 | |
007 | ta | |
008 | 191224s2020 ulkad 001c kor | |
020 | ▼a 9791161753690 ▼g 93000 | |
035 | ▼a (KERIS)BIB000015441940 | |
040 | ▼a 224010 ▼c 224010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004.678 ▼2 23 |
085 | ▼a 004.678 ▼2 DDCK | |
090 | ▼a 004.678 ▼b 2020 | |
100 | 1 | ▼a Lea, Perry |
245 | 1 0 | ▼a 아키텍트와 엔지니어를 위한 IoT 가이드 : ▼b 센서부터 에지 컴퓨팅, 클라우드까지 IoT 구축의 모든 것 / ▼d 페리 레아 지음 ; ▼e 구동언, ▼e 박지연 옮김 |
246 | 1 9 | ▼a Internet of things : ▼b archtitecting IoT solutions by implementing sensor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edge computing, analytics, and security |
260 | ▼a 서울 : ▼b 에이콘, ▼c 2020 | |
300 | ▼a 610 p. : ▼b 삽화, 도표 ; ▼c 24 cm | |
440 | 0 0 | ▼a 에이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시리즈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Internet |
650 | 0 | ▼a Cloud computing |
700 | 1 | ▼a 구동언, ▼e 역 |
700 | 1 | ▼a 박지연, ▼e 역 |
900 | 1 0 | ▼a 레아, 페리,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678 2020 | Accession No. 1212516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사물인터넷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센서부터 클라우드에 이르기까지 사물인터넷 솔루션의 모든 스펙트럼을 폭 넓게 다룬다. 센서의 기반 기술부터 센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 이론, Bluetooth 5.0이나 메쉬 네트워크와 같은 근거리 PAN, 802.11ah, 5G LTE 셀룰러, SigFox, LoRaWAN 등의 IP 기반 통신을 설명한다.
데이터가 유용한 인사이트로 도출되기까지 거쳐야 하는 MQTT, CoAP 같은 메시징 프로토콜과 에지 라우팅, 게이트웨이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과 포그 컴퓨팅 등의 기술을 함께 살펴본다. 또한 통계 분석과 복합 이벤트 처리, 딥러닝 모델을 알아보고 IoT 보안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바라본다.
사물인터넷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센서부터 클라우드에 이르기까지 사물인터넷 솔루션의 모든 스펙트럼을 폭 넓게 다루는 책이다. 센서의 기반 기술부터 센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 이론, Bluetooth 5.0이나 메쉬 네트워크와 같은 근거리 PAN, 802.11ah, 5G LTE 셀룰러, SigFox, LoRaWAN 등의 IP 기반 통신을 설명한다. 데이터가 유용한 인사이트로 도출되기까지 거쳐야 하는 MQTT, CoAP 같은 메시징 프로토콜과 에지 라우팅, 게이트웨이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과 포그 컴퓨팅 등의 기술을 함께 살펴본다. 또한 통계 분석과 복합 이벤트 처리, 딥러닝 모델을 알아보고 IoT 보안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바라본다.
이 책은 사물인터넷 분야를 처음 공부하는 IoT 초보자에게 친절한 길잡이가 될 것이며, 어느 정도 숙련된 아키텍트와 시스템 설계자, 기술 관리자에게는 관련 지식의 체계를 잡아주는 굳건한 뼈대가 돼줄 것이다.
★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 센서부터 클라우드까지, 성공적인 IoT 구축을 위한 아키텍트의 역할
■ 센서와 클라우드, 그 사이에 있는 모든 것을 아우르는 IoT 기술 조망
■ IoT 구축 시 프로토콜과 통신 선택의 상충 관계
■ IoT 분야의 기술과 관련 용어
■ IoT 아키텍트에게 필요한 여러 엔지니어링 분야의 기술 확장
★ 이 책의 대상 독자 ★
IoT 생태계와 다양한 기술, 상충 관계 등을 이해하고 방대한 IoT 아키텍처를 개발하고자 하는 아키텍트, 시스템 설계자, 기술자, 기술 관리자 등을 대상으로 한다.
★ 이 책의 구성 ★
1장, 'IoT 이야기'에서는 IoT의 성장, 중요성, 영향을 이야기와 역사의 관점에서 소개한다. 산업용 IoT, 스마트 시티, 운송 및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사례도 알아볼 것이다.
2장, 'IoT 아키텍처 및 핵심 IoT 모듈'에서는 이 책에서 다루는 기술의 조합에 관한 전체적인 그림을 소개한다. 각 부문은 저마다의 목적이 있으며 모르는 사이에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호 관련 기술들의 '큰 그림'을 이해하고자 하는 아키텍트에게 중요한 장으로, IoT에 가치를 더하는 방법도 알아본다.
3장, '센서, 엔드포인트 및 전원 시스템'에서는 인터넷에 연결될 수십 억 개의 에지 엔드포인트와 센서 기술을 살펴볼 것이다. 센서 설계, 아키텍처, 전력 시스템의 기초를 배울 수 있다.
4장, '통신 및 정보 이론'에서는 주요 자료를 검토해 IoT에 중요한 통신 시스템을 정의하는 다이내믹스(dynamics)와 수리적 모델을 알아본다. 적절한 통신 형식을 선택하기 위한 아키텍처를 고르는 데 바탕이 될 이론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5장, '비IP 기반 WPAN'에서는 IoT 에지에 사용되는 주요 비IP 기반 프로토콜과 기술을 논의한다. 새로운 Bluetooth 5 아키텍처와 지그비(Zigbee), Z-웨이브(Z-Wave) 및 센서 네트워크용 메시 토폴로지를 깊이 있게 검토한다.
6장, 'IP 기반 WPAN 및 WLAN'에서는 6LoWPAN, 스레드, IEEE 802.11 표준 등 IP 기반 통신을 살펴봄으로써 근거리 통신을 다룬다. 또한 차량 통신용 802.11p이나 IoT용 802.11ah와 같은 새로운 802.11 프로토콜도 자세히 살펴본다.
7장, '장거리 통신 시스템 및 프로토콜(WAN)'에서는 사물에서 클라우드까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광대역 통신망과 장거리 통신을 다룬다. 새로운 LTE 협대역 및 5G 아키텍처와 더불어, 셀룰러 LTE 표준, LoRaWAN, Sigfox 등도 상세하게 다룬다.
8장, '라우터와 게이트웨이'에서는 에지 라우팅과 게이트웨이 기능의 중요성에 관해 논의한다. 라우팅 시스템, 게이트웨이 기능, VPN, VLAN 및 트래픽 셰이핑을 알아보며,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도 다룬다.
9장, 'IoT 에지-클라우드 프로토콜'에서는 MQTT, MQTT-SN, CoAP, AMQP, STOMP 등 널리 사용되는 IoT - 클라우드 프로토콜을 소개하고 사용 방법과 더불어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할지 중요하게 다룬다.
10장, '클라우드 및 포그 토폴로지'에서는 오픈스택(OpenStack)을 사용한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펀더멘탈을 참고로 알아본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의 제약과 (오픈포그(OpenFog) 표준과 같은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포그 컴퓨팅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11장, '클라우드와 포그의 데이터 분석 및 머신 러닝'에서는 규칙 엔진, 복합 이벤트 처리, 람다(Lambda) 등의 도구를 효율적으로 사용해 방대한 양의 IoT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술과 사례를 다룬다. 또한 IoT 데이터의 머신 러닝 응용 분야를 알아보고 적합한 사용처도 살펴볼 예정이다.
12장, 'IoT 보안'에서는 앞서 다룬 모든 IoT 구성 요소의 총체적인 관점에서 보안을 다룬다. 이를 통해 프로토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정의 페리미터, 블록체인 보안 등의 이론과 아키텍처를 이해할 수 있다.
13장, '컨소시엄과 커뮤니티'에서는 사물인터넷을 둘러싼 표준과 규칙 등을 규정하는 다양한 산업, 학술 및 정부 컨소시엄을 상세히 알아본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1장. IoT 이야기 __IoT의 역사 __IoT의 잠재력 ____산업 및 제조 ____소비자 ____유통, 금융 및 마케팅 ____의료 ____수송 및 물류 ____농업 및 환경 ____에너지 ____스마트 시티 ____정부 및 군사 __요약 2장. IoT 아키텍처 및 핵심 IoT 모듈 __IoT 에코시스템 ____IoT vs. 사물 통신 ____네트워크의 가치와 메칼프, 벡스트롬의 법칙 ____IoT 아키텍처 ____아키텍트의 역할 __1부 - 감지 및 전력 __2부 - 데이터 통신 __3부 - 인터넷 라우팅 및 프로토콜 __4부 - 포그 및 에지 컴퓨팅, 분석과 머신 러닝 __5부 - IoT의 위협과 보안 __요약 3장. 센서, 엔드포인트 및 전원 시스템 __감지 장치 ____열전대와 열 감지 __홀 효과 센서 및 전류 센서 ____광전 센서 ____PIR 센서 ____LiDAR 및 능동 감지 시스템 ____MEMS 센서 __스마트 IoT 엔드포인트 ____비전 시스템 __센서 융합 __입력 장치 __출력 장치 __실제 사례(종합적 활용) ____실제 사례 - TI SensorTag CC2650 ____센서-컨트롤러 __에너지원과 전력 관리 ____전력 관리 ____에너지 수확 ____에너지 저장소 __요약 4장. 통신 및 정보 이론 __통신 이론 ____RF 에너지 및 이론적 범위 ____RF 간섭 __정보 이론 ____비트율 한계와 샤논-하틀리 정리 ____비트 오류율 ____협대역 통신과 광대역 통신 __무선 스펙트럼 ____관리 기구 __요약 5장. 비IP 기반 WPAN __무선 개인 통신망 표준 ____802.15 표준 ____Bluetooth ____IEEE 802.15.4 ____Zigbee ____Z-Wave __요약 6장. IP 기반 WPAN 및 WLAN __인터넷 프로토콜과 전송 제어 프로토콜 ____IoT에서 IP가 담당하는 역할 __IP 지원 WPAN - 6LoWPAN ____6LoWPAN 토폴로지 ____6LoWPAN 프로토콜 스택 ____메시 주소 지정 및 라우팅 ____헤더 압축 및 단편화 ____이웃 탐색 ____6LoWPAN 보안 __IP 지원 WPAN - 스레드 ____스레드 아키텍처와 토폴로지 ____스레드 프로토콜 스택 ____스레드 라우팅 ____스레드 주소 지정 ____이웃 탐색 __IEEE 802.11 프로토콜 및 WLAN ____다양한 IEEE 802.11 프로토콜 및 비교 ____IEEE 802.11 아키텍처 ____IEEE 802.11 스펙트럼 할당 ____IEEE 802.11 변조 및 인코딩 기법 ____IEEE 802.11 MIMO ____IEEE 802.11 패킷 구조 ____IEEE 802.11 작동 ____IEEE 802.11 보안 ____IEEE 802.11ac ____IEEE 802.11p V2V(Vehicle-to-Vehicle) ____IEEE 802.11ah __요약 7장. 장거리 통신 시스템 및 프로토콜(WAN) __셀룰러 연결 ____거버넌스 모델 및 표준 ____셀룰러 액세스 기술 ____3GPP 사용자 기기 카테고리 ____4G-LTE 스펙트럼 할당 및 대역 ____4G-LTE 토폴로지 및 아키텍처 ____4G-LTE E-UTRAN 프로토콜 스택 ____4G-LTE의 지리적 영역, 데이터플로우, 핸드오버 절차 ____4G-LTE 패킷 구조 ____Cat 0, Cat 1, Cat M1 및 NB-IoT ____5G __LoRa와 LoRaWAN ____LoRa 물리 계층 ____LoRaWAN MAC 계층 ____LoRaWAN 토폴로지 ____LoRaWAN 요약 __Sigfox ____Sigfox 물리 계층 ____Sigfox MAC 계층 ____Sigfox 프로토콜 스택 ____Sigfox 토폴로지 __요약 8장. 라우터와 게이트웨이 __라우팅 기능 ____게이트웨이 기능 ____라우팅 ____페일오버 및 대역 외 관리 ____VLAN ____VPN ____트래픽 셰이핑 및 QoS ____보안 기능 ____메트릭 및 분석 ____에지 프로세싱 __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____SDN 아키텍처 ____전통적 인터네트워킹 ____SDN의 장점 __요약 9장. IoT 에지-클라우드 프로토콜 __프로토콜 __MQTT ____MQTT 발행-구독 ____MQTT 아키텍처에 관한 자세한 내용 ____MQTT 패킷 구조 ____MQTT 통신 형식 ____MQTT 실제 사례 __MQTT-SN ____MQTT-SN 아키텍처 및 토폴로지 ____투명 및 집계 게이트웨이 ____게이트웨이 애드버타이즈와 탐색 ____MQTT와 MQTT-SN의 차이점 __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____CoAP 아키텍처 세부 내용 ____CoAP 메시징 형식 ____CoAP 용례 __다른 프로토콜 ____STOMP ____AMQP __프로토콜 요약 및 비교 __요약 10장. 클라우드 및 포그 토폴로지 __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____NaaS ____SaaS ____PaaS ____IaaS __퍼블릭,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____프라이빗 클라우드 ____퍼블릭 클라우드 ____하이브리드 클라우드 __오픈스택 클라우드 아키텍처 ____Keystone - 신원 식별 및 서비스 관리 ____Glance - 이미지 서비스 ____Nova 컴퓨팅 ____Swift - 객체 스토리지 ____Neutron - 네트워킹 서비스 ____Cinder - 블록 스토리지 ____Horizon ____Heat - 오케스트레이션(선택 사항) ____Ceilometer - 텔레메트리(선택 사항) __IoT용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제약 ____레이턴시 효과 __포그 컴퓨팅 ____포그 컴퓨팅에 적용된 하둡 기반 ____포그 컴퓨팅과 에지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의 비교 ____OpenFog 레퍼런스 아키텍처 ____애플리케이션 서비스 ____애플리케이션 지원 ____노드 관리 및 소프트웨어 백플레인 ____하드웨어 가상화 ____OpenFog 노드 보안 ____네트워크 ____액셀러레이터 ____컴퓨팅 ____스토리지 ____하드웨어 플랫폼 인프라 ____프로토콜 추상화 ____센서, 액추에이터 및 제어 시스템 ____아마존 Greengrass 및 람다 ____포그 토폴로지 __요약 11장. 클라우드와 포그의 데이터 분석 및 머신 러닝 __IoT의 기본적인 데이터 분석 ____최상위 클라우드 파이프라인 ____규칙 엔진 ____흡수 - 스트리밍, 처리 및 데이터 레이크 ____복합 이벤트 처리 ____람다 아키텍처 ____분야별 사용 사례 __IoT 분야의 머신 러닝 ____머신 러닝 모델 ____분류 ____회귀 ____랜덤 포레스트 ____베이지언 모델 ____합성곱 신경망 ____RNN ____IoT의 훈련과 추론 ____IoT 데이터 분석과 머신 러닝의 비교 분석 __요약 12장. IoT 보안 __사이버 보안 관련 용어 ____공격 및 위협 관련 용어 ____방어 관련 용어 __IoT 사이버 공격의 구조 ____미라이 ____스턱스넷 ____체인 리액션 __물리적 보안 및 하드웨어 보안 ____신뢰 기반 ____키 관리 및 신뢰 플랫폼 모듈 ____프로세서 및 메모리 공간 ____스토리지 보안 ____물리적 보안 __암호 기술 ____대칭 암호 기술 ____비대칭 암호 기술 ____암호 해시(인증 및 서명) ____공개 키 인프라 ____네트워크 스택 - 전송 계층 보안 __소프트웨어 정의 페리미터 ____소프트웨어 정의 페리미터 아키텍처 __IoT 분야의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____(블록체인 기반) 비트코인 ____IOTA(비순환 방향 그래프 기반) __정부 규제 및 개입 ____미국 의회 법안 - 2017년 사물인터넷(IoT) 사이버보안 개선법 ____기타 정부 기관 __IoT 보안 관련 모범 사례 ____총체적인 보안 ____보안 관련 체크리스트 __요약 13장. 컨소시엄과 커뮤니티 __PAN 컨소시엄 ____Bluetooth SIG ____스레드 그룹 ____Zigbee 얼라이언스 ____기타 __프로토콜 컨소시엄 ____오픈 커넥티비티 파운데이션 및 Allseen 얼라이언스 ____OASIS ____객체 관리 그룹 ____IPSO 얼라이언스 ____기타 __WAN 컨소시엄 ____Weightless ____LoRa 얼라이언스 ____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 ____와이파이 얼라이언스 __포그 및 에지 컨소시엄 ____OpenFog ____EdgeX Foundry __통솔 기구 ____산업용 인터넷 컨소시엄 ____IEEE IoT ____기타 __미국 정부 IoT 및 보안 관련 기구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