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09933 | |
005 | 20191223171329 | |
007 | ta | |
008 | 191218s2019 ulkad b AU 000c kor | |
020 | ▼a 9791159016110 ▼g 94340 | |
020 | ▼a 9791159016134 (세트) | |
035 | ▼a (KERIS)BIB000015452997 | |
040 | ▼a 21105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51.519 ▼2 23 |
085 | ▼a 351.53 ▼2 DDCK | |
090 | ▼a 351.53 ▼b 2019z4 ▼c 1 | |
245 | 0 0 | ▼a 한국의 정치ㆍ행정 : ▼b 차세대 행정연구의 길을 묻는다 / ▼d 박재창 엮음 |
260 | ▼a 서울 : ▼b HUiNE : ▼b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c 2019 | |
300 | ▼a 427 p. : ▼b 삽화, 도표 ; ▼c 24 cm | |
440 | 0 0 | ▼a 한국정치행정연구회 총서 ; ▼v 1 |
504 | ▼a 참고문헌: p. 383-416 | |
700 | 1 | ▼a 박재창, ▼e 편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1.53 2019z4 1 | Accession No. 11182073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정치행정연구회 총서 1권. 정치와 행정의 상호작용이라는 프레임을 통해 행정현상에 접근하는 경우 ㉠ 정치조직론의 연장선상에서 행정현상을 권력론적으로 다루게 되거나, ㉡ 거버넌스의 관점을 통해 정치과정과 행정과정을 융합하고자 하게 되고, ㉢ 의회행정론 같이 기관종단적 비교연구의 관점에서 정치과정을 관리론적 시각에서 접근하거나, ㉣ 정치와 행정을 통섭적으로 인식함으로서 정책학의 시각을 포괄하게 된다.
정치와 행정의 상호작용이라는 프레임을 통해 행정현상에 접근하는 경우 ㉠ 정치조직론 (political organization theory)의 연장선상에서 행정현상을 권력론적으로 다루게 되거나, ㉡ 거버넌스의 관점을 통해 정치과정과 행정과정을 융합하고자 하게 되고, ㉢ 의회행정론 같이 기관종단적 비교연구 (institutional comparative studies)의 관점에서 정치과정을 관리론적 시각에서 접근하거나, ㉣ 정치와 행정을 통섭적으로 인식함으로서 정책학의 시각을 포괄하게 된다. 이런 관점은 정치와 행정이 선험적으로 어떤 관계 도식을 결정론적으로 구축하고 있다고 보려는 것이 아니라 시·공간의 변화에 따라 부단히 유동하고 형성되는 창조적 변용의 결과물이라는 인식에 토대를 둔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박재창(엮은이)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행정학회 회장, 한국 NGO학회 회장, 한국 국제지역학회 회장, 한국 정치행정연구회 회장을 역임했다. 한국 외국어대학교 석좌교수, 독일 자유베를린대학교 훔볼트재단 연구교수, 미국 버클리대학교 플브라이트 교수, 일본 동지사대학교 객원교수, 항가리 부다페스트경제대학교 초빙교수, 태국 창마이라찻팟대학교 방문교수를 지냈다. 미국 정치학회의 Congressional Fellow, (사)한국미래정부연구회 이사장, (사)아세아의회발전연구소 소장, (사) 옴부즈만연구소 이사장, 아시아·태평양 YMCA연맹 회장으로 활동했다. [COVID-19, Familism, and South Korean Governance], [지구 거버넌스와 NGO], [대안관광과 NGO], [옴부즈만 : 제4부], [한국의 거버넌스], [한국의 헌법개정], [한국의 시대정신], [한국의 국정개혁], [New Governance: Issues and Challenges], [정치쇄신 4.0], [거버넌스 시대의 국정개조], [Responses to the Globalizing World], [한국민주주의와 시민사회], [분권과 개혁], [한국의회윤리론], [한국의회개혁론], [한국의회정치론], [한국전자의회론], [한국의회행정론] 등 50여 편의 저서와 편저가 있다.

Table of Contents
서문 : 진화형 민주주의 시대의 정치행정 연구 7 제1편 행정과정의 권력론적 접근 29 제1장 문제 정의와 정책변동 / 은재호 31 제2장 행정문화와 순응적 침묵 / 고대유강제상 63 제3장 도시정치의 지배구조 / 강문희 101 제2편 정치와 행정의 융합론적 접근 143 제4장 공론화와 사회적 합의형성 / 정정화 145 제5장 메타거버넌스의 운영 실제 / 조성한 179 제6장 좋은 거버넌스와 제4세대 정부 / 권기헌 213 제3편 정치과정의 관리론적 접근 249 제7장 정책 혁신가와 정책 중개자 / 주지예박형준 251 제8장 입법 과정의 개혁수요 진단 / 박재창 305 제9장 지방의회 의원의 질적 평가 활동 / 오수길 345 참고문헌 383 일러두기 417 집필진 소개 421 엮은이 소개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