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조선은 어디에 있습니까? : 조선 역사의 미스터리

조선은 어디에 있습니까? : 조선 역사의 미스터리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영호
서명 / 저자사항
조선은 어디에 있습니까? : 조선 역사의 미스터리 / 이영호
발행사항
춘천 :   달아실,   2019  
형태사항
327 p. : 삽화(일부천연색) ; 23 cm
ISBN
9791188710522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09908
005 20191220140740
007 ta
008 191218s2019 gaka 000c kor
020 ▼a 9791188710522 ▼g 039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951.902 ▼2 23
085 ▼a 953.05 ▼2 DDCK
090 ▼a 953.05 ▼b 2019z9
100 1 ▼a 이영호
245 1 0 ▼a 조선은 어디에 있습니까? : ▼b 조선 역사의 미스터리 / ▼d 이영호
260 ▼a 춘천 : ▼b 달아실, ▼c 2019
300 ▼a 327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3 cm
546 ▼a 一部 英韓對譯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2019z9 등록번호 1118207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프리랜서 기자이면서 칼럼리스트로서 역사 현증 고증과 객관적 사료에 근거한 우리 역사 속 미스터리를 다루고 있는 이영호 작가가 조선 역사의 미스터리를 추적한 책이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 조선 역사의 미스터리'에서는 임진왜란과 이성계 그리고 윤봉길의 한인애국단 선언서 등을 통해 우리가 알고 있던 조선 역사의 모순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2부. 조선왕조실록의 미스터리'에서는 주요 실록에 기록된 기사를 분석하여 각 실록의 기사들이 전하고 있는 모순점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3부. 외국인이 전하는 조선 역사의 진실 혹은 거짓'에서는 그동안 우리가 알고 있던 한반도가 조선의 역사가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을 밝히며 진실은 무엇인지 묻는다.

결론적으로 이 책은 역사를 전공하지 않은, 역사에 관한한 일반인에 다름없는 저자가 수년 동안 우리 역사의 여러 기록에서 모순된 점을 밝힌 끝에 역사를 전공한 학자들에게 던지는 질문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배운 역사의 모순에 던지는 몇 개의 질문
― 칼럼리스트 이영호, 『조선은 어디에 있습니까?―조선 역사의 미스터리』


프리랜서 기자이면서 칼럼리스트로서 역사 현증 고증과 객관적 사료에 근거한 우리 역사 속 미스터리를 다루고 있는 이영호 작가가 조선 역사의 미스터리를 추적한 『조선은 어디에 있습니까?―조선 역사의 미스터리』를 출간했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 조선 역사의 미스터리'에서는 임진왜란과 이성계 그리고 윤봉길의 한인애국단 선언서 등을 통해 우리가 알고 있던 조선 역사의 모순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가령 임진왜란을 그나마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를 꼽는다. 이영호 작가는 『난중일기』를 꼼꼼히 살피고, 이순신의 3대 대첩인 한산도대첩, 명량대첩, 노량대첩이 펼쳐졌다는 장소를 꼼꼼히 답사한 끝에 임진왜란이 한반도에서 벌어진 전쟁이 아닐 수도 있음을, 임진왜란이 한반도에서 벌어진 전쟁이라면 모순이 있음을 발견했다. 그래서 작가는 묻는다. 우리가 배우고 알고 있던 임진왜란은 어떤 전쟁이며 어디에서 벌어지 전쟁이냐고?
'2부. 조선왕조실록의 미스터리'에서는 주요 실록에 기록된 기사를 분석하여 각 실록의 기사들이 전하고 있는 모순점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3부. 외국인이 전하는 조선 역사의 진실 혹은 거짓'에서는 중국 주은래 총리의 1963년 담화록에 담긴 조선 역사의 비밀,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16세기 아시아지도에 표기된 거대한 타타리 제국과 한반도에 표기된 Corea에 대한 진실은 무엇인지, 그리고 17세기 프랑스 뒤 알드 신부가 쓴 『중국통사(The General History of the China)』의 원본을 통해 그동안 우리가 알고 있던 한반도가 조선의 역사가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을 밝히며 진실은 무엇인지 묻는다.

결론적으로 이 책은 역사를 전공하지 않은, 역사에 관한한 일반인에 다름없는 저자가 수년 동안 우리 역사의 여러 기록에서 모순된 점을 밝힌 끝에 역사를 전공한 학자들에게 던지는 질문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가 배운 역사는 한 치의 오차도 거짓도 없는 사실이냐고.
상식의 눈으로 봤을 때 모순된 역사적 사실들에 대하여 어떻게 설명할 거냐고.
과연 누군가 의도적으로 왜곡한 역사는 없느냐고.
이제라도 잘못된 역사라면 바로잡아야 하지 않겠냐고.

끝으로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나마 ‘우리는 어디에서 왔고 우리는 누구인가’에 대하여 생각해보고 우리 역사를 새롭게 정립하는 그 첫 단추가 되기를 기대하며, 그 시발점이 되어주기를 바라는 마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영호(지은이)

프리랜서 기자 및 칼럼리스트로서 현장 고증과 객관적 사료에 근거한 우리 역사 속 미스터리를 다루고 있다. 주요 저서로 문화체육관광부의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14년 우수출판콘텐츠제작지원 선정작 『잃어버린 우리 문화재를 찾아서』, 2016년 우수출판콘텐츠제작지원 선정작 『표절이란 무엇인가』, 역사 고증에 바탕을 둔 미스터리 역사 답사기 『몽유도원도―어떻게 일본의 국보가 되었을까?』 및 『사임당―우리가 알지 못한 신사임당의 모든 것』, 『훈민정음 속 궁금한 중국 이야기』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_ 역사는 사실의 기록이어야만 한다

1부. 조선 역사의 미스터리
1. 『난중일기』로 본 임진왜란
2. 1592년 왜국은 어디인가?
3. 사라진 앙코르와트 문명
4. 광개토대왕릉비가 전하는 이야기
5. 거북선이 우주선입니까?
6. 이성계와 왕국 타타리
7. 티무르 제국과 이성계
8. 중앙아시아 대륙의 진실을 꺼내다
9. 조선총독부 “조선인은 조선 역사를 모르게 하라?”
10. 윤봉길의 한인애국단 선언서

2부. 조선왕조실록의 미스터리
1. 조선왕조실록이란 말은 없다?
2. 『태조실록』 1395년 12월 14일
3. 『태종실록』 1405년 4월 20일
4. 『중종실록』 1527년 6월 3일
5. 『정조실록』 1793년 10월 26일
6. 『순조실록』 1833년 4월 2일

3부. 외국인이 전하는 조선 역사의 진실 혹은 거짓
1. 중국, ‘저우언라이(周恩?)’ 총리 1963년 담화록
2.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타타리(TARTARY) 고지도
3. 프랑스, 뒤 알드 신부의 기록: 선교사들이 보내온 편지
4. 프랑스, ‘루이 르 꼼떼’ 선교사의 책: 북경에서 온 과학 도구

에필로그 _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관련분야 신착자료

안확 (2023)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23)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沈志華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