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09837 | |
005 | 20191223140317 | |
007 | ta | |
008 | 191218s2019 ggkad b 001c kor | |
020 | ▼a 9788946071971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5448602 | |
040 | ▼a 241002 ▼c 241002 ▼d 211009 | |
082 | 0 4 | ▼a 659.20285 ▼2 23 |
085 | ▼a 659.20285 ▼2 DDCK | |
090 | ▼a 659.20285 ▼b 2019 | |
245 | 0 0 | ▼a 디지털PR 이론과 실제 = ▼x Digital PR theory and practice / ▼d 김석 [외]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19 | |
300 | ▼a 308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40 | 0 0 | ▼a 한울아카데미 ; ▼v 2197 |
500 | ▼a 공저자: 김수진, 김여진, 김장열, 김장현, 박노일, 이선영, 정은화, 정지연, 최준혁, 하진홍, 황성욱 | |
504 | ▼a 참고문헌(p. 281-305)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김석, ▼e 저 |
700 | 1 | ▼a 김수진, ▼e 저 |
700 | 1 | ▼a 김여진, ▼e 저 |
700 | 1 | ▼a 김장열, ▼e 저 |
700 | 1 | ▼a 김장현, ▼e 저 |
700 | 1 | ▼a 박노일, ▼e 저 |
700 | 1 | ▼a 이선영, ▼e 저 |
700 | 1 | ▼a 정은화, ▼e 저 |
700 | 1 | ▼a 정지연, ▼e 저 |
700 | 1 | ▼a 최준혁, ▼e 저 |
700 | 1 | ▼a 하진홍, ▼e 저 |
700 | 1 | ▼a 황성욱,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Course Reserves(Main Library)/ | Call Number 659.20285 2019 | Accession No. 111820642 | Availability Course Reserv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오늘날 디지털 혁명이 가져온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바로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일 것이다. 공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관계 증진을 추구하는 PR 역시 그러한 변화에 걸맞은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받고 있다.
이 책은 모바일 기기, 소셜미디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으로 상징되는 디지털 시대에 PR이 요구받는 새로운 패러다임은 무엇이며, PR은 어떤 변화를 추구해야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놓고,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디지털PR을 위한 이론과 실무 전반을 체계적으로 엮어 알기 쉽게 설명한다.
디지털 혁명이 가져온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대격변
새로운 환경에 맞는 완전히 새로운 PR 이론과 방법
오늘날 디지털 혁명이 가져온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바로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일 것이다. 공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관계 증진을 추구하는 PR 역시 그러한 변화에 걸맞은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받고 있다.
이 책은 모바일 기기, 소셜미디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으로 상징되는 디지털 시대에 PR이 요구받는 새로운 패러다임은 무엇이며, PR은 어떤 변화를 추구해야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놓고,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디지털PR을 위한 이론과 실무 전반을 체계적으로 엮어 알기 쉽게 설명한다.
디지털로 소통하는 시대,
이제 PR은 어떠해야 하는가
디지털 혁명이 우리 삶에 미친 가장 큰 영향은 아마도 소통 방식의 변화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예전처럼 우편이나 전화를 주고받는 것으로는 도저히 할 수 없었을 속도와 규모, 거리의 커뮤니케이션이 오늘날에는 디지털 기술의 힘을 빌려 더 빠르고 쉽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처럼 물리적 제약을 뛰어넘어 실시간·쌍방향 소통이 가능해지면서 가장 큰 변화를 겪은 분야는 커뮤니케이션을 핵심 업무로 하여 돌아가는 영역일 것이다. 신문과 방송 등 대중매체, 그리고 바로 PR(Public Relations)이 그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미디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중과 소통하며 관계의 증진을 추구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PR은 디지털 혁명으로 이제 완전히 다른 생태계에 놓였다. 과거 대표적인 PR 수단이었던 종이 신문과 잡지 등 아날로그 매체가 디지털 세계로 포섭되면서 PR의 도구적 특성 자체가 근본적으로 변화했다. 다른 한편으로, 일방향적이고 조직 중심적으로 이루어지던 PR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상호작용적이고 대화적인 쌍방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공중 중심으로 그 방법론이 전환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PR은 어떻게 새로운 변화에 적응해 그 본연의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해 낼 수 있을까? 이번에 출간된 『디지털PR 이론과 실제』(한울엠플러스 펴냄)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임기응변적 대처법이 아닌, 좀 더 근본적인 해답을 찾아본다.
새로운 시대 PR을 위한
새로운 이론과 실무 방법론
이 책은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이라는 PR의 근본적인 원칙을 디지털 시대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PR 연구나 언론·광고학의 고전적이고 대표적인 이론부터 최근 주목받는 커뮤니케이션 이론까지 디지털PR의 이론적 기반을 다지는 한편, 디지털PR의 현황과 앞으로의 방향에 관해 학술적·실무적 차원에서 점검해 본다.
총 3개 부, 10개 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먼저 제1부(1~4장)에서 디지털PR을 정의하는 데서 시작해, 주요 디지털PR 이론의 핵심 사항을 정리하고, 디지털PR의 특성과 활용기법, 새로운 방법론을 살펴본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디지털 시대에 요구되는 새로운 PR교육 과정을 제안하고, 미래 PR산업이 어떻게 변화해 나갈 것인지 전망해 본다.
제2부(5~7장)에서는 디지털 기술에 초점을 맞춘다. PR의 기술적 방식의 바탕에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놓여 있음에 주목하면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소통의 특징을 짚어보는 한편, 소셜미디어와 가상현실,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소셜 로봇 등 디지털 기술에 따라 조직과 공중이 소통하는 방식에 어떤 변화가 벌어졌는지 살펴본다.
제3부(8~10장)에서는 디지털PR의 구체적인 전략과 사례로 논의를 확장한다. 디지털 시대에 활용 가능한 마케팅PR 전략으로 소비자 참여형 전략, 인플루언서 마케팅, 사회적 가치 창출 등에 대해 상세히 소개하고, 근거 이론과 사례를 통해 마케팅PR 전략의 성공 포인트를 짚어낸다. 마지막 두 장에서는 ‘공공PR’과 ‘위기PR’을 주제로, 각각의 PR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방안과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쉽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디지털PR의 A to Z
이 책은 디지털 혁명으로 벌어진 소통 방식의 변화가 어떻게 PR 분야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는지에 주목하면서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를 토대로 디지털PR의 현재와 미래를 재구성하고 있다. 오늘날 PR 분야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연구와 이론을 간결하게 설명하면서, 빠른 속도로 확장되고 있는 디지털PR 영역의 구석구석까지 두루 살필 수 있도록 다양한 개념과 사례를 함께 소개하고 있다. 또한 일반 기업의 PR과 함께 공공 부문의 PR활동에 대해서도 충분한 분량을 할애하고,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디지털PR뿐만 아니라 가치 있고 올바른 디지털PR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해 보도록 이끈다. 디지털PR을 본격적으로 다룬 책이 아직 없는 상황에서, 이 책은 PR 분야에 막 입문한 이들에게 쉽고 체계적인 안내서가 될 뿐만 아니라, 그동안 참고할 만한 자료가 마땅치 않던 연구자나 현장 실무자에게도 유용한 전문 연구서이자 실무 지침서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장열(지은이)
콜로라도주립대학교 저널리즘·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서강대학교에서 PR전공으로 석사학위를, 플로리다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인 최초의 미국PR협회 인증 PR 전문가(APR)이며, 2016년에 미국PR협회 펠로(Fellow PRSA)로 선정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소비자위해예방국장을 역임했으며, PR회사인 코콤포터노벨리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쟁점·위기커뮤니케이션, 공공외교, 헬스커뮤니케이션, PR윤리, CSR 등이다.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Public Relations Review,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외 주요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그밖에 참여한 여러 저서·역서가 있다. 현재 Asian Journal of Public Relations의 Editor-in-chief를 맡고 있다.
최준혁(지은이)
현재 순천향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보스턴대학교(Boston University)와 서울대학교에서 PR(public relations)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1998년부터 2013년까지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에 PR컨설팅을 제공했다. 저서로 <한국의 PR 연구 20년>(공저, 2016), <반기업 정서와 커뮤니케이션>(공저, 2015), <정책 PR론>(공저, 2015), <PR학 원론>(공저, 2014, 한국PR학회 제2회 저술상 수상작), <실행이 탄탄해지는 PR기획>(2008) 등이 있으며, 정책 홍보혁신포럼과 <이젠 정책e 홍보다>(2005, 2005년 한국PR대상 PR 연구개발 부문 우수상)를 공동으로 개발했다. 역서로는 <스테이크홀더>(공역, 2008), <여론의 법정에서>(공역, 2006), <미디어 트레이닝>(공역, 2005), <PR의 평가>(공역, 2005, 2006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반기업정서, 브랜드관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썼다. PR에 관심 있으며, PR 관련 직업을 희망하는 젊은 세대들에게 PR에 관한 강의를 무료로 제공하는 프로 보노(pro bon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1년 10월에 국내 최초의 PR 팟캐스트 “최준혁의 PR토크”를 개설해 현재도 진행 중이다. 또, 여러 공공기관의 자문위원을 맡아 지식과 경험을 사회에 환원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2013년부터는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PR학회, 한국광고PR실학회, 한국OOH광고학회, 한국광고학회 등의 총무이사, 편집이사, 연구이사, 기획이사, 홍보이사 등을 맡아 PR 및 광고 관련 학문공동체의 지속가능성 창출에 조그맣게나마 기여하고 있다.
김장현(지은이)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교수이자, 데이터사이언스, AI융합, 컬처앤테크놀로지 전공을 관할하는 글로벌융합학부장이다.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를,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버펄로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크롤링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데이터사이언스 관점에서 분석하는 연구를 주로 한다. 미국 하와이대학교 교수, DGIST 교수 등을 역임하고 다수의 권위 있는 영문 저널에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박노일(지은이)
차의과학대학교 의료홍보미디어학과 교수이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언론학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미국 미주리 대학교에서 박사 후 과정을 마쳤다. 차의과학대학교 교무처장과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원장, 한국 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의 기획이사, 한국방송학회의 총무이사, 한국PR학회의 PR과 테크놀로지연구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호모 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공저, 2022),인공지능의 이해와 뉴스 미디어 영상분석』(2022), 『비전공자의 인공지능(AI)입문』(공저, 2022), Digital Media, Online Activism, and Social Movements in Korea(공저, 2021), 『디지털PR이론과 실제』(공저, 2019), 『광고PR 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공저, 2018), 『PR학 원론』(공저, 2014) 등이 있다.
정지연(지은이)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교수이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와 미국 시러큐스대학교 뉴하우스 스쿨에서 PR학 석사학위를, 미국 미주리 대학교 저널리즘 스쿨에서 저널리즘 박사(PR 전공) 학위를 취득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PR 전문회사인 커뮤니케이션즈 코리아에서 PR 실무자로 근무했으며,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정책소통 평가위원과 국민소통실 자문위원, 해양수산부 정책연구심의위원회 위원, 행복청 PR자문 및 정책실명제 심의위원회 위원 등을 맡고 있다. 한국PR학회,한국광고홍보학회, 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의 이사와 ≪홍보학연구≫, ≪광고연구≫편집위원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호모 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공저, 2022), 『디지털PR 이론과 실제』(공저, 2019), 『한국의 PR연구 20년』(공저, 2016), 『PR학 원론』(공저, 2014) 등이 있다.
황성욱(지은이)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며, 동 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부학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했고, 미주리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PR 전공)와 박사학위(PR 전공)를 취득했다. 제일기획 PR팀의 삼성그룹 해외PR 담당 AE로 근무했다. 주요 저서로 『PR학 원론』(공저, 2014), 『정책 PR론』(공저, 2015)이 있으며, 그 밖에 다수의 연구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했다.
하진홍(지은이)
대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부교수이다.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오리콤, 금강기획, MBC애드컴 등에서 AE로 재직했다. 이후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와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채플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PR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PR 및 광고와 관련한 위기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홍보학연구≫, ≪광고연구≫, Public Relations Review,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등 국내외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PR연구 20년』(공저, 2016), 『디지털PR 이론과 실제』(공저, 2019) 등이 있다.
김석(지은이)
프레인앤리 연구소장이다.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2009년 프레인글로벌에 입사하여 서울 G20정상회의 국내 홍보, 세종학당 브랜드개발 등을 진행했으며 2014년부터 프레인글로벌의 컨설팅 전문 자회사인 프레인앤리를 이끌고 있다. 공공부문 PR컨설팅, PI(Personal Identity) 등 리서치베이스의 커뮤니케이션 컨설팅 프로젝트를 주로 수행했으며 유관학회와도 매년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최근 프레인글로벌의 고객만족도조사, PCG(Prain Consulting Group) Award 개선 방안 등 프레인그룹 관계사들의 커뮤니케이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역할에 주력하고 있다.
김수진(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겸임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소더비즈, 미국육류수출협회에서 근무했고 ㈜레인보우커뮤니케이션 수석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한국PR학회 학술지 ≪홍보학연구≫ 편집이사로 활동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의 정부기관 명성지수 개발연구: 국가보훈처 사례의 적용」(2021), 「쌍방향 균형커뮤니케이션으로서 공유된 의사결정 시스템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신장투석환자의 커뮤니케이션 중심 분석」(2021), 「The Influence of Chronic and Temporary Accessibility on Trust and Policy Support」(2020), 「정서의 관계적 테마를 바탕으로 한 한국의 건강위험 커뮤니케이션 모델 개발 연구」(2019) 등이 있다. 저서로는 『디지털PR 이론과 실제』(공저, 2019)가 있다. 연구관심사는 공공PR, 정책PR, 헬스커뮤니케이션, 과학의료커뮤니케이션 분야이며 현재 의료계와 다양한 융합연구를 수행중이다.
김여진(지은이)
코네티컷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이다.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언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를, 미국 앨라배마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Journal of Practical Researc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Journal of Media and Communication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 Behavior Analysis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국내외 저널에 디지털미디어와 정치, 헬스, 교육, 스포츠 등 다양한 맥락에서의 조직?공중 관계와 관련된 다수의 논문을 등재했고, 30여 편의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했다. 주요 저서로 Communication, Digital Media, and Popular Culture in Korea: Contemporary Research and Future Prospects(공저, 2018) 등이 있다.
이선영(지은이)
메릴랜드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를,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메릴랜드대학교에 근무하기 전 미국 텍사스테크대학교 홍보학과에서 조교수로 근무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뉴미디어 및 비주얼 전략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 및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이다. 20편 이상의 논저가 있다.
정은화(지은이)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뉴미디어학과 조교수이다.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및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와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뉴미디어의 이용과 그에 따른 사회심리학적 효과이며, 관련 논문이 New Media & Society,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Computers in Human Behavior 등에 게재되었다.

Table of Contents
제1부 디지털PR: 이론과 방법론 제1장 디지털PR 이론 제2장 디지털PR의 방법론적 전환 제3장 디지털 시대의 PR교육 제4장 디지털 시대의 미래 PR산업 제2부 디지털PR: 기술, 공중, 플랫폼 제5장 디지털 기술과 PR 제6장 공중 상황이론의 진화와 디지털 공중 분류 제7장 디지털PR 미디어/플랫폼 제3부 디지털PR: 전략과 사례 제8장 디지털 마케팅PR 제9장 디지털 공공PR 제10장 디지털 위기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