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09828 | |
005 | 20191223133241 | |
007 | ta | |
008 | 191218s2019 ulkac 001c akor | |
020 | ▼a 9788974093266 ▼g 94080 | |
020 | 1 | ▼a 9788974093259 (세트) |
035 | ▼a (KERIS)BIB000015441649 | |
040 | ▼a 222003 ▼c 222003 ▼d 211009 | |
082 | 0 4 | ▼a 951.9007202 ▼2 23 |
085 | ▼a 953.007202 ▼2 DDCK | |
090 | ▼a 953.007202 ▼b 2019z1 ▼c 1 | |
100 | 1 | ▼a 최태영 ▼g 崔泰永, ▼d 1900-2005 |
245 | 1 0 | ▼a 나의 근대사 회고 / ▼d 최태영 지음 ; ▼e 김유경 정리 |
260 | ▼a 서울 : ▼b 눈빛, ▼c 2019 | |
300 | ▼a 483 p. : ▼b 삽화, 초상화 ; ▼c 24 cm | |
440 | 0 0 | ▼a 崔泰永全集 ; ▼v 1 |
500 | ▼a 색인수록 | |
600 | 1 4 | ▼a 최태영 ▼g 崔泰永, ▼d 1900-2005 |
700 | 1 | ▼a 김유경, ▼e 편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07202 2019z1 1 | 등록번호 1118206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최태영(지은이)
19000년 황해도 장련에서 태어나 도쿄 메이지 대학 영법학과에서 법철학을 공부하고 최우등으로 졸업했다. 서울대, 경희대 등에서 강의를 했고 서울대 초대 법대학장, 중앙대 대학원장 등을 역임했다. 건국 후 대한민국 법전편찬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대한민국법과 고시령을 제정했다. 이후 한국 고대사 연구에 몰두해 이병도 박사와 함께 <한국상고사입문>을 공저했다. 이 외 지은책에 <서양 법철학의 역사적 배경>, <현행 어음. 수표법>, <법학개론>, <한국의 상고 및 고대 전통법철학의 역사적 배경>, <일본불교는 한국에서 간 것이다> 등이 있다.
김유경(정리)
서울대 사범대학 불어교육과와 이화여대 대학원 불문과를 졸업했다. 1969년부터 1997년까지 경향신문 문화부 기자, 문화부장으로 일했다. 지은 책으로 『옷과 그들』이 있고, 최태영의 역사서 『인간단군을 찾아서』, 『한국 고대사를 생각한다』를 저자와 함께 정리했다. 동양미술사학자 존 코벨의 글 전체에서 가려 뽑은 『한국문화의 뿌리를 찾아-무속에서 통일신라 불교까지』, 『부여기마족과 왜』, 『일본에 남은 한국미술』을 편역했다.

목차
저자 서문: 바른 역사가 서길 바라며- 최태영 서문: 최태영의 학문과 근대사- 황적인 1장 장련과 구월산 2장 서울의 신교육 3장 도쿄에서 4장 조선의 3.1 만세운동과 일본 5장 조선의 교육과 베일 6장 법학 50년 7장 음악과 시국과 8장 대한제국 말의 산업 9장 해방 전후 10장 대학을 건설하다 11장 책과 더불어 정리자 후기: 독서일기에 부쳐- 김유경 저자 연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