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중 마음(心)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 한국어와 중국어의 마음 연구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崔风慧
Title Statement
한·중 마음(心)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 한국어와 중국어의 마음 연구 / 췌이펑훼이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2017  
Physical Medium
xi, 201 p. ; 23 cm
Series Statement
한국문화사 인지언어학 시리즈
ISBN
978896817543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186-196)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09793
005 20191218124459
007 ta
008 191218s2017 ulk b 001c kor
020 ▼a 9788968175435 ▼g 93700
035 ▼a (KERIS)BIB000014644422
040 ▼a 241008 ▼c 241008 ▼d 221022 ▼d 211009
041 0 ▼a kor ▼a chi
082 0 4 ▼a 401.43095 ▼2 23
085 ▼a 401.43095 ▼2 DDCK
090 ▼a 401.43095 ▼b 2017
100 1 ▼a 崔风慧 ▼0 AUTH(211009)136060
245 1 0 ▼a 한·중 마음(心)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 ▼b 한국어와 중국어의 마음 연구 / ▼d 췌이펑훼이 지음
246 3 ▼a 한·중 마음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246 3 0 ▼a 한·중 心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7
300 ▼a xi, 201 p. ; ▼c 23 cm
440 0 0 ▼a 한국문화사 인지언어학 시리즈
504 ▼a 참고문헌(p. 186-196)과 색인수록
546 ▼a 본문은 한국어, 중국어가 혼합수록됨
830 0 ▼a 한국문화사 인지언어학 시리즈
900 1 0 ▼a 췌이펑훼이, ▼e
900 1 0 ▼a Cui, Fenghui,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43095 2017 Accession No. 11182058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언어 구조와 의미에 나타난 현상을 살펴, 그 이면에 있는 개념적 은유를 이해해 보려는 것이 목적이다. 즉,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휘소 ‘마음(心)’을 중심으로 개념적 은유에 관한 표현이 어떤 기제를 통해 표현되고, 한국어와 중국어 간에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 분석해 볼 것이다.

기존 연구들이 ‘마음(心)’의 개별 언어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면, 이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마음(心)’ 표현을 중심으로, 두 언어 간에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분석할 것이다. 이것은 한국어와 중국어 ‘마음(心)’의 광범위한 은유 표현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개념적 은유(Conceptual Metaphor)’가 인간의 인지 작용과 언어의 사용 원칙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에 효과적인 논증이 될 것이다.

[머리말] : 저자서평

이 책은 2015년에 제출한 박사학위논문을 깁고 더한 것이다. 인지언어학에서는 세상에 대한 우리의 경험과 우리가 세상을 인지하고 개념화하는 방식에 기초하여 ‘언어’, ‘몸과 마음’, ‘문화’의 상관성을 규명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이 책은 언어 구조와 의미에 나타난 현상을 살펴, 그 이면에 있는 개념적 은유를 이해해 보려는 것이 목적이다. 즉,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휘소 ‘마음(心)’을 중심으로 개념적 은유에 관한 표현이 어떤 기제를 통해 표현되고, 한국어와 중국어 간에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 분석해 볼 것이다.
기존 연구들이 ‘마음(心)’의 개별 언어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면, 이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마음(心)’ 표현을 중심으로, 두 언어 간에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분석할 것이다. 이것은 한국어와 중국어 ‘마음(心)’의 광범위한 은유 표현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개념적 은유(Conceptual Metaphor)’가 인간의 인지 작용과 언어의 사용 원칙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에 효과적인 논증이 될 것이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장에서는 고대 중국 철학, 전통 의학, 그리고 기존 현대 사전에서 ‘마음(心)’에 대한 논의들을 살펴보고, 2장에서는 이 연구의 기반이 되는 ‘개념적 은유 이론’을 살펴볼 것이다.
3~7장에서는 ‘공간’, ‘시간’, ‘감각’, ‘색채’, ‘감정’ 영역들이 개념적 은유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마음(心)’의 표현들을 살펴볼 것이다. 3장에서 ‘공간’ 영역은 ‘3차원’, ‘2차원’, ‘1차원’으로 나누어 논의할 것이고 4장에서 ‘시간’ 영역을 논의하고, 5장에서 ‘감각’ 영역은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으로 나누어서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6장에서 ‘색채’ 영역은 ‘검은색(黑色)’, ‘흰색(白色)’, ‘빨간색(?色)’, ‘노란색(?色)’, ‘푸른색/파란색(?色)’, ‘회색(灰色)’으로 나누어 논의할 것이고, 마지막으로 7장에서 ‘감정’ 영역은 ‘화’, ‘걱정’, ‘미움’, ‘두려움’, ‘슬픔’, ‘긴장’, ‘기쁨’, ‘사랑’으로 나누어 논의할 것이다. 결론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5가지 영역에서 한ㆍ중 ‘마음(心)’의 의미 구조를 재구성하여 두 언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그 경향이나 원인을 살펴볼 것이다.
인간의 생각이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은유의 인지적 구조는 ‘이상화된 인지모형’을 가진다. 이런 인지모형은 인류의 경험과 관련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인지모형은 객관적인 세계와 완전히 일치하기가 어렵다. 이것은 한국어와 중국어 ‘마음(心)’의 의미 구조를 완벽하게 구현할 수 없음을 가리킨다. 이 연구가 추구하는 점은 객관적 세계에 가까이 가는 것이다. 부족함이 많은 책이지만, 이 책이 한국어 및 중국어 교육, 한ㆍ중 혹은 중ㆍ한 사전 편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언어를 공부하는 내ㆍ외국인과 사전 사용자에게 좀 더 효율적으로 언어의 여러 양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 공동체 및 문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감사의 글


총론
1. 왜 이 책을 읽어야 하는가?
2. 이 책에 대하여

제1장 ‘마음(心)’의 일반적 해석
1. 고대 철학속의 ‘마음(心)’
2. 전통 의학속의 ‘마음(心)’
2.1. ‘마음(心)’의 생리적인 기능
2.2. 전통 의학 속에 ‘마음(心)’의 은유 표현
3. 현대 사전속의 ‘마음(心)’

제2장 이론적 배경
1. 인지언어학의 성격
2. 개념적 은유의 기본 개념
3. 개념적 은유의 작용 원리와 유형
4. 개념적 은유의 설명력



제3장 한·중 ‘마음(心)’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1. 들머리
2. 3차원 은유 표현
3. 2차원 은유 표현
4. 1차원 은유 표현
5. 마무리

제4장 한ㆍ중 ‘마음(心)’ 표현과 시간 은유
1. 들머리
2. 시간 은유 표현
3. 마무리

제5장 한ㆍ중 ‘마음(心)’ 표현과 감각 은유
1. 들머리
2. 시각 은유 표현
3. 청각 은유 표현
4. 미각 은유 표현
5. 후각 은유 표현
6. 촉각 은유 표현
7. 마무리

제6장 한ㆍ중 ‘마음(心)’ 표현과 색채 은유
1. 들머리
2. 검은색(黑色) 은유 표현
3. 흰색(白色) 은유 표현
4. 빨간색(?色) 은유 표현
5. 노란색(?色) 은유 표현
6. 파란색/푸른색(?色) 은유 표현
7. 회색(灰色) 은유 표현
8. 마무리

제7장 한ㆍ중 ‘마음(心)’ 표현과 감정 은유
1. 들머리
2. 화 은유 표현
3. 걱정 은유 표현
4. 두려움 은유 표현
5. 미움 은유 표현
6. 슬픔 은유 표현
7. 긴장 은유 표현
8. 기쁨 은유 표현
9. 사랑 은유 표현
10. 마무리

결론

참고 문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