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09419 | |
005 | 20230831141349 | |
007 | ta | |
008 | 191216s2019 ulkad b 000c kor | |
020 | ▼a 9791159301216 ▼g 03370 | |
035 | ▼a (KERIS)BIB000015448611 | |
040 | ▼a 241002 ▼c 241002 ▼d 211009 | |
082 | 0 4 | ▼a 371.78 ▼a 305 ▼2 23 |
085 | ▼a 371.78 ▼2 DDCK | |
090 | ▼a 371.78 ▼b 2019 | |
245 | 0 0 | ▼a 혐오, 교실에 들어오다 : ▼b 학교 안 혐오 현상의 실태와 대책 / ▼d 이혜정 [외]지음 |
260 | ▼a 서울 : ▼b 살림터, ▼c 2019 | |
300 | ▼a 223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0 | ▼a 공저자: 민윤, 박진아, 이신애, 김아미, 남미자, 이정연 | |
500 | ▼a 기획: 경기도교육연구원 | |
504 | ▼a 참고문헌: p. 220-223 | |
700 | 1 | ▼a 이혜정, ▼e 저 |
700 | 1 | ▼a 민윤, ▼e 저 |
700 | 1 | ▼a 박진아, ▼e 저 |
700 | 1 | ▼a 이신애, ▼e 저 |
700 | 1 | ▼a 김아미, ▼d 1977-, ▼e 저 ▼0 AUTH(211009)112226 |
700 | 1 | ▼a 남미자, ▼g 南美子, ▼d 1980-, ▼e 저 ▼0 AUTH(211009)154140 |
700 | 1 | ▼a 이정연,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78 2019 | 등록번호 1118205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학교 안에서 혐오 현상이 왜, 어떻게 일어나는지, 그에 대해 학생들은 어떻게 대응하는지 살펴보는 일은 학교와 학생의 문화, 학교라는 체제의 질서에 대한 질문과 맞닿아 있다. 혐오 현상이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공간에서 배움과 성장은 이루어지기 어렵다. 학교가 모든 구성원들에게 안전한 배움의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학급과 학교, 제도와 정책 차원에서 구체적이고 근본적인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지금 학교교육은 건강한 시민을 길러내고 있는가?
차별과 배제, 증오와 폭력으로부터
교실을 지켜내기 위한 근본적인 모색
혐오 현상은 어떤 대상에 대한 경멸이나 모욕적 언행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정상성에 반한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에게 사회적 배제와 낙인을 경험하게 하는 과정이다. 혐오를 통해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배제가 정당화되면 불평등한 사회구조는 고착화되기 쉽다.
이러한 혐오 현상이 학교 안에서 발견되고 있다. 이것은 학교가 평등하고 차별 없는 교육을 실천하는 사회적 책무를 다하고 있는지 질문하게 만든다.
학교 안에서 혐오 현상이 왜, 어떻게 일어나는지, 그에 대해 학생들은 어떻게 대응하는지 살펴보는 일은 학교와 학생의 문화, 학교라는 체제의 질서에 대한 질문과 맞닿아 있다.
혐오 현상이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공간에서 배움과 성장은 이루어지기 어렵다.
학교가 모든 구성원들에게 안전한 배움의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학급과 학교, 제도와 정책 차원에서 구체적이고 근본적인 변화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_본문 중에서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아미(지은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자로, 서울대학교 빅데이터 혁신융합대학 연구교수와 경기도교육연구원 부연구위원을 역임하였습니다. 서울대학교에서 불어교육학을 전공하고 언론정보학을 부전공했습니다. 하버드대학교에서 교육공학으로 석사 학위를,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교육학연구대학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확장된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정립과 데이터 리터러시, 디지털 권리 및 디지털 윤리, 아동 주도 미디어 문화 연구 방법론 등을 주제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온라인의 우리 아이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젠더와 미디어 경험》(공저) 등을 썼으며 《미디어 교육 선언》(공역)을 옮겼습니다.
이신애(지은이)
초등학교에서 주로 고학년 아이들을 가르치며 초등성평등연구회 소속 교사로 활동 중이다. 경인교육대학교에서 사회과교육을 공부하고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혐오, 교실에 들어오다』(공저, 2019), 『학교에 페미니즘을』(공저, 2018)이 있다.
이혜정(지은이)
경인교육대학교 조교수다.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위원을 지냈다. 현재 주 연구 분야는 학교의 성정치학과 청소년의 섹슈얼리티 문화 및 실천, 학교 안 차별과 혐오, 관계적 주체로서의 교사와 학교 혁신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여성 교사 연구에 대한 젠더 분석”(공저, 2020)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혐오, 교실에 들어오다』(공저, 2019) 등이 있다.
남미자(지은이)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초중등 교육 연구를 한다. 여성, 청소년, 성소수자 등 경계 혹은 경계 바깥 존재들의 곁이 되는 연구를 지향한다. 저서로는 『한국 교육의 오늘을 읽다』(공저, 2023), 『기후위기시대의 학교 환경교육: 세 학교 이야기』(공저,2021), 『학습자 주도성, 미래교육의 거대한 착각』(공저, 2021)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성소수자 학생의 학교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공저, 2023),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에 비추어 본 기술기반 미래학교 알트스쿨의 비판적 탐색”(공저, 2023), “근대적 사유를 넘어 새로운 교육지형도 그리기: 신유물론적 논의를 중심으로”(2022), “웹툰에 드러난 남성동성사회성 양상: 박태준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공저, 2022) 등이 있다.
민윤(지은이)
한국교원대에서 사회과교육을 공부했고, 현재 별망초등학교에서 교감으로 재직 중이다.
박진아(지은이)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공부했고, 현재 대학에서 학생들과 만나 교육과 사회에 관한 배움을 나누고 있으며 연구자로도 활동 중이다.
이정연(지은이)
교육평가를 전공했고, 현재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교육통계 연구를 통해 미래 세대의 행복을 응원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며 1. 혐오, 학교 안으로 들어오다 2. 학교에서의 차별 그리고 혐오 제1장 혐오 현상이란? 1. 혐오, 혐오 표현, 혐오 현상 1)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혐오 2) 혐오 표현과 혐오 현상 3) 혐오 표현의 유형 2. 혐오와 소수자 집단 3. 혐오 현상과 학교 제2장 학교 안 혐오 현상 들여다보기 1. 학교 안 혐오 현상을 본다는 것 1) 제한된 조건 속에서의 질적 연구 2) 너른중학교 2학년 1반의 특성 -학업성적이 중요시되는 학교문화 -일상적인 욕설 사용과 미디어 문화 -비공식적인 학생문화: 남학생 중심의 위계질서 2. 혐오의 이유: 교실에서 혐오의 대상이 되는 1) 여성혐오, 가장 두드러지는 혐오 현상 -여학생의 화장을 둘러싼 혐오 현상 -혐오의 대상이 되는 ‘뚱뚱한’ 몸 -‘섹드립’을 통한 여학생 모욕주기와 여성혐오 2) 다른 사람과 다르다는 이유로 혐오의 대상이 되는 3) 무능력한 사람은 놀림과 혐오를 받을 만한 사람? 3. 혐오의 방식: 공개적 모욕과 멸시를 표출하는 1) 공개적인 멸시, 모욕, 위협의 방식 -동물화 -공격적 표현 -차별과 혐오의 의미를 담은 욕설 -친한 사이에서 장난으로 2) 차별표시의 방식 4. 혐오에 대응하는 방식: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1) 소극적인 대응 -혐오 상황에 대한 무시와 회피 -혐오 상황에 대한 동조 2) 적극적인 대응 -혐오 표현에 대한 거부 -또 다른 폭력으로 맞대응하기 -서로 공감하고 힘을 주는 연대 -혐오 상황에 대한 도움 요청 제3장 학교 안 혐오 현상, 왜 문제인가? 1. 학교의 성차별주의와 여성혐오 2. 학업성적 중심의 학교문화와 혐오 현상 3. 학교라는 질서와 정상성의 재생산 제4장 학교 안 혐오 현상, 어떻게 극복할까? 1. 평등한 학급 운영과 소수자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는 수업 재구성 1) 혐오 현상에 대처하는 학급 운영과 생활지도 -혐오 현상의 주체가 학생인 경우 생활지도 방향 -교사에 의한 혐오 현상에 대한 고민과 노력 -평등과 관계 중심의 학급 운영 2) 혐오, 차별 현상을 다루는 수업 실천 -혐오 현상 극복을 위한 수업 실천의 준비: 차별 인식 조사 -혐오와 차별 현상을 다루는 수업 재구성 2. 학교 민주주의 실현과 성평등교육 실시 1) 학교 전반의 운영에 있어서의 변화 2) 교과서 개정과 페미니즘 교육 -교과서 개정 -페미니즘 교육 3) 학생 생활과 인권 문제의 개선 -학생 인권을 보장하는 방향으로의 복장 및 외모 규정 개선 -단위학교별 인권구제시스템의 형성과 정착 -학교 내 차별과 혐오 현상 관련 학생 모니터링단 운영 3. 평등하고 안전한 학교를 위한 교육정책 실행 1) 법률ㆍ제도의 개선 2) 민주시민교육의 질적 전환 3) 교육과정과 교과서 4) 교원 교육 맺음말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