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09203 | |
005 | 20191217155827 | |
007 | ta | |
008 | 191216s2015 ulkd b 001c kor | |
020 | ▼a 9788968172304 ▼g 93740 | |
035 | ▼a (KERIS)BIB000013815667 | |
040 | ▼a 222003 ▼c 222003 ▼d 222003 ▼d 211009 | |
082 | 0 4 | ▼a 420.7 ▼2 23 |
085 | ▼a 420.7 ▼2 DDCK | |
090 | ▼a 420.7 ▼b 2015 | |
100 | 1 | ▼a 김태영 ▼0 AUTH(211009)33390 |
245 | 1 0 | ▼a 한국의 영어 학습 동기 연구 = ▼x English learning motivation research in South Korea / ▼d 김태영 지음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5 | |
300 | ▼a xi, 443 p. : ▼b 도표 ; ▼c 24 cm | |
500 | ▼a 부록: 1. 영어 학습 동기/탈동기 설문지, 2. 영어 학습 탈동기화 및 동기 요인 설문 문항(구인별 예시), 3. Kim(2006a, 2010a) 본 연구용 설문지 외 | |
504 | ▼a 참고문헌(p. 375-405)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20.7 2015 | 등록번호 1118203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나라에서 현재까지 수행된 영어 학습 동기 연구를 조망하며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이 책은 영어 학습 동기의 시대별 변천 과정을 구한말에서 현재까지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있으며, 한국의 영어 학습 동기의 특성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포함하고 있다. 영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연령대별 분석과 영어 학습 동기 관련 다양한 주제들을 망라하여 이 분야에 대해 실천적 지식을 쌓고 활용하려는 대학교 상급 학부생, 대학원 석.박사생, 영어교사, 일반인분들을 위한 책이다.
[머리말]
몇 년 전 한국문화사에서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최근 경향>을 출간한 이래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것 중 하나가 영어 학습 동기의 국제적 연구 동향은 잘 알겠는데, 실제로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연구가 되었는지 그 동향에 관한 것이다. 필자 역시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많은 연구들 역시 일목요연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늘 느껴왔다. 다른 나라의 연구 성과를 교육 풍토가 다른 우리나라에 단순하게 적용하여 생각한다는 것은 마치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억지로 꿰어 걸친 꼴이기에, 우리 토양에서 수행된 연구를 토대로 우리들의 자생적 연구 성과를 검토하면서 배워나가야 한다. 이렇게 해야만 우리 학생들이 어떠한 학습 동기를 가지고 지금 이 땅에서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를 온전히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여러 연구를 깔끔하게 정리하는 것은 늘상 마음의 짐으로 남아 있었다. 하지만 필자의 게으른 성품 때문인지 혹은 방대한 작업에 나 역시도 지레 겁을 먹어서인지 차일피일 미루다가 몇 년이 또 지나고 말았다.
이 책은 필자가 2014년 소속 대학의 연구기금과 연구년을 수혜받아 지난 몇 년간 필자 개인이 발표하였거나 동료 학자 혹은 제자들과 함께 작성한 영어 학습 동기 관련 주제의 논문을 정리하고 보완한 지적 산물이다. 영어 학습 동기와 관련된 모든 분들의 논문들을 다 포함시킨다면 가장 좋겠으나, 이러한 방대한 작업은 다음 기회가 있을 것으로 믿고 대신 내가 지금까지 연구한 것부터 차곡차곡 잘 정돈해 두는 것이 현실적으로 필요한 작업이기도 했다. 돌이켜보면 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의 유능한 학생들을 제자로 받아 이들에게 논문 지도를 하는 과정은 결국 교학상장(敎學相長), 내 스스로의 지식을 키우는 작업이었다. 이 책은 많은 동료들과 학생들과의 토론과 지적인 유희의 산물이기에 필자는 이러한 내 개인의 역사의 편린들을 단지 잘 주워 담아 한 권의 책으로 만드는 역할을 한 셈이다.
필자가 이전에 발표했었던 논문들을 다시 정리하는 작업은 사실 그리 쉬운 작업이 아니었다. 지금껏 출판한 논문들을 그저 모아서 순서대로 챕터 번호만 매겨 재편집 정도나 하면 되려니 하고 아주 가벼운 마음으로 선선히 시작하였으나, 스스로를 괴롭히는 못난 성품이 도져서인지 결국에는 대부분 샅샅이 검토하여 다시 풀어 쓰게 되었다. 글을 쓸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내 글솜씨의 투박함과 지적 통찰력의 부족으로 인해 엄청난 열패감이 밀려들기도 하였다. 하지만 한국의 척박한 지적 풍토에서 이러한 종류의 책을 출판한다면 이제 우리나라도 자생적 영어 학습 동기 연구가 상당한 수준으로 성숙하였다는 것을 증명해 보일 수 있을 것이라는 책임감에 스스로를 격려하며 꾸준히 정리하였다.
필자는 이 책을 쓰면서 가급적 쉽고 명확하게 설명하고자 하였다. 각주 및 참고문헌 등으로 필요한 추가 정보를 많이 제시하여 독자의 편의를 도모했다. 하지만, 사전 지식이 부족한 독자의 경우에는 다소 어려움을 느낄 수 있을 것도 같다. 다행히 2013년에 출판한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최근 경향>이 있으니, 그 책을 먼저 읽으며 이론적 지식을 얻은 후에 이 책을 다루는 것이 본서에 포함한 내용을 충분히 읽고 마음에 새겨 새로운 연구를 하는 올바른 순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 포함된 내용 중 일부는 다른 학술지에 국문 혹은 영문으로 이미 게재된 적이 있어, 해당 학술지 편집위원장께 서면 허가를 받아 내용을 다소 수정 보완하여 재수록하였다. 재수록을 허락하여 주신 「영어교육」, 「사회언어학」, 「영어교육연구」, 「초등영어교육」,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에 깊이 감사드린다. 이 책을 집필하고 검토하는 과정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을 받았다. 먼저 필자의 안사람인 박정연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책의 모든 내용을 꼼꼼하게 여러 번 정독하고 정확한 비판을 해 주어서 마음이 뜨끔하면서도 인간적으로 너무도 고마웠다. 필자의 박사과정 제자 김윤경 선생과 석사과정 제자 성준영 선생에게도 감사한다. 본인의 논문 자료 수집 등으로 매우 힘들 텐데도 이 책 초고를 읽고 많은 의견을 주었기에 더욱 고맙다. 또한 필자의 연구조교 이혜선, 이희진 학생은 이 책 말미의 참고문헌 목록을 깔끔하게 편집해 주었다. 이렇듯 좋은 사람들이 내 주위에 있는 것도 하느님의 은총일 것이다.
이 책의 기획을 얼추 끝내고 막 집필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던 2014년 4월 16일에 세월호 참사가 발생했다. 참 긴 시간동안 심장이 찢기듯 아팠다. 내 아들과 같은 나이의 마냥 아기 같은 녀석들이 부모님들께 영영 돌아오지 못해서 말이다. 이 아이들을 지켜주지도 못했고 중년의 아저씨 체면에 변변히 소리 내어 울지도 못했다. 그저 묵묵히 누렁소처럼 우직하게 이 책을 쓰는 것이 내 나름의 애도이자 슬픔을 씹어 삼키는 법으로 믿고 싶었다. 어린 학생들, 그리고 영어를 배우는 많은 분들이 삶의 주인으로서 행복과 자유를 누릴 수 있는 더 좋은 나라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아린 마음을 추스르며 이제 또 하나의 지적 작업을 끝내 책으로 출판되어 독자들을 찾아간다. 상당한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이윽고 한 권의 책으로 출판되어 마음이 크게 후련하지만, 한편으로는 곱게 키운 딸을 시집보내는 무뚝뚝한 아버지처럼 속으로 마냥 걱정도 된다. 모쪼록 읽는 분들의 격려와 질정(叱正)을 바란다.
또 하나의 찬연한 봄
흑석동 연구실에서
김태영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태영(지은이)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온타리오교육학 연구소(OISE/University of Toronto)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세계적 권위자인 Merrill Swain 교수 지도하에 제2언어교육학(영어교육 전공)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수정 7차 교육과정용 중학교 영어교과서를 집필(공저)에 참여했고, 국비유학생 선발 심사위원, EBS 고등학교 수 능듣기 A형 교재 책임검토위원을 역임했다. 국내외 영어 교육 관련 전문 학술지에 현재까지 약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주된 관심사는 제2언어 학습/교수 동기 및 탈동기, 제2 언어 학습자 요인,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행위이론, 복잡계 이론 등이다. 최근 『영어학습 동기 연구의 최근 경향』(한국문화사, 2013)과 『한국의 영어학습 동기 연구』(한국문화사, 2015) 출간했으며, 현재 탁월한 연구업적 을 낸 중앙대학교 Distinguished Scholar로 2014년부터 선출되어 영어교육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한국응용언어학회 총무이사를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영 어교육학회,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사회언어학회 등 다 수의 학회에서 편집이사 및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자 이메일: tykim@cau.ac.kr 대학원 스터디 웹 카페: http://cafe.daum.net/eed09 학술 논문 다운로드: http://works.bepress.com/taeyoungkim

목차
서문 서론 1. 자생적 영어교육 연구를 꿈꾸며 2. 이 책의 현실 인식 3. 이 책의 구성 제1장 우리는 영어를 왜 배우는가?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역사 1. 고려와 조선의 외국어 학습: 소수정예의 체계적 통역관 양성 2. 영어를 배우려는 욕망: 호구지책과 출세 지향 3. 일제 식민지 시대 영어교육의 변질: 경쟁적 동기의 부상 4. 해방 이후 1980년대 초반까지: 입시를 위한 대국민 영어 5. 신군부 집권하의 영어교육: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자각 6. 1990년대 이후의 영어교육: 국제화 시대의 본격 개막과 영어 말하기 능력의 필요성 대두 7. 요약: 우리나라 영어 학습 동기의 시대별 변화 제2장 영어 학습 동기의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적 접근 1. 제2언어 학습 동기 연구의 두 가지 환원주의 2. 제2언어 학습 동기의 행위이론적 접근 2.1. 행위이론 개관 2.2. 행위이론 관점에서 본 동기 2.2.1. 동인, 지향점, 목표 2.2.2. 동인과 동기 2.2.3. 동기, 무동기, 탈동기의 관련성 2.3. 행위이론 관점의 제2언어 학습 동기의 정의 3. 제2언어 교수 동기의 이론과 실제 3.1. 교사 동기 연구의 세 가지 주요 영역 3.2. 제2언어 교사 동기 연구 3.3. 행위이론의 제2언어 교사 동기에의 적용 가능성 3.4. 행위이론적 관점에서의 제2언어 교사 동기 분석 4. 제2언어 학습 탈동기화의 이론과 실제 4.1. 탈동기화의 개념 4.2. 탈동기화에 대한 공시적 접근 4.3. 탈동기화에 대한 의사 통시적(pseudo-diachronic) 접근 4.4. 행위이론적 관점에서의 탈동기화 4.4.1. 탈동기화에의 행위이론 적용 가능성 4.4.2. 행위이론의 실제 적용 및 분석 사례 제3장 우리나라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역사 1. 동기 이론의 흐름에 따른 국내 연구 정리 1.1. 사회교육모형과 자기결정이론 1.2. 목표지향성이론 1.3. 제2언어 동기 과정 모형 1.4.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L2 Motivational Self System) 1.5.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과 제2언어 학습 동기 2. 국내에서 수행된 주제별 제2언어 학습 동기 연구 2.1. 동기와 영어 학습 태도 2.2. 동기와 영어 학습 불안 2.3. 동기와 영어 학습 책략 2.4. 동기와 컴퓨터 보조 언어 학습 3. 요약 및 제언 제4장 연령대별 영어 학습 동기의 차이 1.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 그리고 사교육의 영향 2. 중학생들의 영어 학습 탈동기화 연구 3. 고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 경쟁적 동기의 부상 4.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 양상의 비교 5. 대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 회고적 영어 학습 자서전 분석 6. 직장인들의 영어 학습 동기 7. 노인들의 영어 학습 동기 및 탈동기 제5장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주제별 분류 1. 학습 동기에 미치는 부모의 영향: 어머니와 아버지의 차별적 영향력 2. 공교육 교사와 사교육 강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영어 학습 동기 3. 거주 지역의 빈부 격차에 따른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서울 강남 대(對) 비강남 4. 어학연수의 효과성과 영어 학습 동기: 캐나다 어학 연수생들을 중심으로 4.1. 외재적 동기의 지배: 초기 1~2개월 4.2. 내재적 동기의 발생: 3개월 전후 4.3. 모순의 심화 4.4. 내재적 동기의 소멸 및 외재적 동기의 재등장: 귀국 전 1~2개월 4.5. 논의 및 시사점 5.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의 효과성과 영어 학습 동기 6. 영어 학습 동기와 불안감이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의지와영어 말하기에 미치는 영향 7. 영어 학습 동기, 학습 책략, 학습 주도성의 관계 8. 인지된 학습 유형과 영어 학습 동기 제6장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전망과 제언 1.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향후 전망 2.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_ 375 《부록 1》 영어 학습 동기/탈동기 설문지 《부록 2》 영어 학습 탈동기화 및 동기 요인 설문 문항(구인별 예시) 《부록 3》 Kim(2006a, 2010a) 본 연구용 설문지 《부록 4》 노인 영어 학습 동기 탈동기 설문지 《부록 5》 TEE 수업에 대한 호감도, 불안감, 영어 학습 동기 설문 《부록 6》 영어 의사소통의지, 불안감, 학습 동기, 영어 사용빈도 설문 《부록 7》 영어 학습 동기, 초인지 학습 책략, 학습 주도성 설문 문항 찾아보기(한글) 찾아보기(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