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누가, 학교폭력 해결을 가로막는가? : 교육부 어울림 프로그램 비판

누가, 학교폭력 해결을 가로막는가? : 교육부 어울림 프로그램 비판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문재현, 저 김수동, 저 최진숙, 저 이명순, 저 김명신, 저 서영자, 저 허정남, 저 임오규, 저 김미자, 저 신용대, 저 김두환, 저 윤재화, 저
서명 / 저자사항
누가, 학교폭력 해결을 가로막는가? : 교육부 어울림 프로그램 비판 / 문재현 [외]
발행사항
서울 :   살림터,   2019  
형태사항
301 p. : 삽화 ; 21 cm
ISBN
9791159301094
일반주기
공저자: 김수동, 최진숙, 이명순, 김명신, 서영자, 허정남, 임오규, 김미자, 신용대, 김두환, 윤재화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94-301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08972
005 20191212164555
007 ta
008 191212s2019 ulka b 000c kor
020 ▼a 9791159301094 ▼g 03370
035 ▼a (KERIS)BIB000015382493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82 0 4 ▼a 371.782 ▼2 23
085 ▼a 371.782 ▼2 DDCK
090 ▼a 371.782 ▼b 2019z2
245 0 0 ▼a 누가, 학교폭력 해결을 가로막는가? : ▼b 교육부 어울림 프로그램 비판 / ▼d 문재현 [외]
260 ▼a 서울 : ▼b 살림터, ▼c 2019
300 ▼a 301 p. : ▼b 삽화 ; ▼c 21 cm
500 ▼a 공저자: 김수동, 최진숙, 이명순, 김명신, 서영자, 허정남, 임오규, 김미자, 신용대, 김두환, 윤재화
504 ▼a 참고문헌: p. 294-301
700 1 ▼a 문재현, ▼e
700 1 ▼a 김수동, ▼e
700 1 ▼a 최진숙, ▼e
700 1 ▼a 이명순, ▼e
700 1 ▼a 김명신, ▼e
700 1 ▼a 서영자, ▼e
700 1 ▼a 허정남, ▼e
700 1 ▼a 임오규, ▼e
700 1 ▼a 김미자, ▼e
700 1 ▼a 신용대, ▼e
700 1 ▼a 김두환, ▼e
700 1 ▼a 윤재화,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782 2019z2 등록번호 1118202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평화샘모임(지은이)

학교폭력문제 해결을 위해 전문가와 교사들이 만든 연구 모임이다. 2009년부터 한국의 특성을 반영한 공동체 창조 프로그램이자 학교폭력 예방·대처·치유 프로그램인 평화샘 프로젝트를 연구·개발·실천하고 이를 책으로 펴냈다. 평화샘이라고 한 것은 평화로운 교실을 지향하는 선생님(샘)들이 모여 만들었다는 것과 이 프로젝트가 평화의 샘(泉)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것이다. 문재현 마을배움길연구소 소장, 평화샘 프로젝트 책임연구원 김수동 마을배움길연구소 연구원 김두환 대전 진잠중학교 교사 김명신 충북 한솔초등학교 교사 김미자 충북 한솔초등학교 교사 서영자 충북 수곡초등학교 교사 신용대 경기 상갈초등학교 교사 윤재화 충북 한솔초등학교 교장 이명순 충북 한솔초등학교 교사 임오규 충북 충주남산초등학교 교사 최진숙 경기 보라초등학교 교사 허정남 경기 삼가초등학교 교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교육부, 학교폭력 문제 해결의 걸림돌 _문재현
누가 실타래를 엉키게 할까
왕따는 그 사회집단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반영한다
왜 상담기법은 왕따문제에 무력할 수밖에 없을까
국가수준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의 조건
-어울림 프로그램과 올베우스 프로그램 그리고 평화샘 프로젝트의 비교

잘못된 진단, 허황된 처방 _최진숙
시각장애인 코끼리 만지기식 진단
구조의 문제를 개인의 갈등 문제로
개인 특성 때문에 생기는 학교폭력?
집단 따돌림에 둔감한 초등학교 저학년?
왜 교육부는 시계를 거꾸로 돌리는가!

일진문화를 외면하는 어울림 프로그램 _이명순
새롭게 진화하는 일진문화
일진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스쿨미투를 통해 본 일진의 실상과 해결 가능성
지금은 우리 사회가 일진문제 해결에 응답할 때

예방교육은 실제 상황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_김명신
학교폭력은 어울림 프로그램을 하지 않은 학교의 책임?
그들만의 검증을 받은 어울림 프로그램
왜 괴롭힘을 갈등이라고 둔갑시킬까?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 공유를 불가능하게 하는 어울림 프로그램
회복 과정을 만들 수 없는 어울림 프로그램
방어자로서 본보기가 없는 어울림 프로그램
공동 행동이 없는 어울림 프로그램

어울림 프로그램에는 놀이가 없다 - 진짜 놀이, 가짜 놀이 _서영자
시도 때도 없이 놀았지
사라져 가는 놀이, 놀지 못하는 아이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아무거나 놀이?
진짜 놀이 vs 가짜 놀이
어울림 프로그램에는 놀이가 있을까
어른들의 집단지성으로 놀이하는 공동체 만들기

놀이가 교실을 살린다 _허정남
놀이로 시작하는 평화로운 교실공동체
전입 교사와 새로운 관계의 지평을 열다
전학 온 아이, 놀이로 환대하기
놀이로 보살핌과 사랑을 싹 틔우는 유·초 연계
아이들 스스로 만들어 가는 합동체육수업
놀이로 협력과 연대의 장을 여는 여자(남자)한마당
선배들과의 문제 해결, 그 시작은 놀이
놀이로 학부모와 관계 맺기

어울림 프로그램에는 모두가 공유하는 규칙이 없다 _임오규
학교폭력 예방이라는 항해의 나침반, 4대 규칙
교실평화 4대 규칙을 만들어 가는 과정
-서로의 바람과 목표를 공유하는 시간
교실평화 4대 규칙을 실천한 아이들과 교사의 목소리
-교실평화 4대 규칙이 평화로운 교실공동체를 만드는 데 어떤 힘을 주었나?
어울림 프로그램에서 아이들은 참여를 하고 있을까?
-장식적 참여는 참여가 아니다

평화샘의 역할극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_김미자
평화샘 프로젝트와 만남, 그리고 마법 같은 순간들
현실이 없는 박제된 어울림 프로그램의 역할극
아이들을 믿지 않는다
평화샘 프로젝트를 표절했지만 본질은 없애 버렸다

어울림 프로그램 역할극 시연
- 아이들이 말하는 어울림 프로그램의 속살 _신용대
행복한 학급운영은 복불복?
평화샘 역할극이 열어 준 새로운 길
어울림 프로그램이 뭐길래?
방관자나 방어자는 없어도 돼요?
‘답정너’ 말고
피해자만 참으라고 해서 피해자가 억울해요
교육부는 가해자 편인가요?

초ㆍ중ㆍ고등학교 학교폭력은 다르다고? _김수동
검증됐다고 주장하는 어울림 프로그램의 민낯
학교폭력 문제 해결 원리가 학교 급별에 따라 다르다고?
학교폭력 문제를 어렵게 하는 어울림 프로그램 독소들
학교폭력 문제 해결, 오히려 중등이 쉽다

놀이와 동료 교사 협력으로 학교폭력 해결의 실마리를 찾다 _김두환
놀이로 왕따 아이를 돕다
교사들과 협력하여 일진과 왕따문제 해결에 나서다

어울림 프로그램에는 교장의 역할이 없다_윤재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교장의 처지
우리를 혼란에 빠트리는 조벽 교수의 논리
학교폭력에 대처하는 교장의 역할
공통감각을 바탕으로 한 협력관계 만들기
모두가 공유하는 문제 해결 원칙
교장들의 네트워크

참고 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