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08397 | |
005 | 20191205174521 | |
007 | ta | |
008 | 191205s2016 ulkad b AU 000c kor | |
020 | ▼a 9791159010637 ▼g 94700 | |
020 | 1 | ▼a 9788974649142 (세트) |
035 | ▼a (KERIS)BIB000014062311 | |
040 | ▼a 241008 ▼c 241008 ▼d 211009 | |
041 | 1 | ▼a kor ▼a eng ▼h eng |
082 | 0 4 | ▼a 418.02 ▼2 23 |
085 | ▼a 418.02 ▼2 DDCK | |
090 | ▼a 418.02 ▼b 2014z4 ▼c 8 | |
245 | 0 0 | ▼a 통번역 과정 연구 방법 및 전략 / ▼d 세실리아 알브스타드, ▼e 아델리나 힐드, ▼e 엘리사벳 티셀리우스 편저 ; ▼e 임향옥, ▼e 이소희 옮김 |
246 | 1 9 | ▼a Methods and strategies of process research : ▼b integrative approaches in translation studies |
260 | ▼a 서울 : ▼b HU:iNE : ▼b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c 2016 | |
300 | ▼a 582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40 | 0 0 | ▼a 존 벤자민스 통번역 총서 = ▼x John Benjamins series ; ▼v 08 |
500 | ▼a 총서편자: 한국통번역학회 | |
500 | ▼a 부록: 1.텍스트, 2. 번역문제 설문지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 |
650 | 0 | ▼a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x Research |
650 | 0 | ▼a Psycholinguistics |
700 | 1 | ▼a Alvstad, Cecilia, ▼e 편 |
700 | 1 | ▼a Hild, Adelina, ▼e 편 |
700 | 1 | ▼a Tiselius, Elisabet, ▼e 편 |
700 | 1 | ▼a 임향옥, ▼e 역 ▼0 AUTH(211009)8355 |
700 | 1 | ▼a 이소희, ▼e 역 ▼0 AUTH(211009)69768 |
710 | ▼a 한국통번역학회, ▼e 편 | |
900 | 1 0 | ▼a 알브스타드, 세실리아, ▼e 편 |
900 | 1 0 | ▼a 힐드, 아델리나, ▼e 편 |
900 | 1 0 | ▼a 티셀리우스, 엘리사벳, ▼e 편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8.02 2014z4 8 | 등록번호 11181989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1-05-01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번역학의 프로세스 연구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다양하게 보여주고 있다. 현재의 이론적.법론적 문제, 광범위한 번역 및 통역 방법론에 관한 새로운 실증 연구를 제시한다.
본 서에서는 번역학의 프로세스 연구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다양하게 보여주고 있다. 현재의 이론적.법론적 문제, 광범위한 번역 및 통역 방법론에 관한 새로운 실증 연구를 제시한다.
제 1부는 문장구역에 대한 실험적 연구의 다양한 데이터 통합, 시표 추적과 EVS 측정 신뢰도 평가, 통역에서의 관찰과 인지 연구결합의 장점 등 통 · 번역학 프로세스 연구의 다양한 방법론적 문제를 다룬다.
제 2부에서는 통 · 번역 프로세스에 관한 실증 연구와 함께, 은유 이해, 번역 문제에 대한 전문가와 숙달된 L2 사용자 간의 인식과 해결책 차이, 다양한 형태의 자막에 대한 시청자 인식, 그리고 번역 교육이 L2 독해와 메타 언어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
제 3부 역시 실증 연구 구성과 함께 통 · 번역 전문성의 본질에 관한 프로세스 중심 연구 내용이 담겨져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세실리아 알브스타드(엮은이)
아델리나 힐드(엮은이)
엘리사벳 티셀리우스(엮은이)
임향옥(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교수, 파리통번역대학원(ESIT)를 졸업한 후,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통번역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John Benjamins Publiching에서 발행하는 국제저널 『FORUM』 사무총장으로 10년간 일해 왔고 현재는 리뷰에디터이다. AIIC(국제회의통역사협회) 정회원으로 UN, APEC, ASEM, ASEAN 등 정상통역과 국제회의통역을 700여 회 이상 했다. 학문적으로는 통역학이론, 통역방향성, 통역교육 등에 관심이 있고 국제회의 자문도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국제회의실무영어』(공저), 『나는 영어로 협상한다』, 『헷갈리는 영어 바로 쓰기』 외 다수가 있다.
이소희(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영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동시통역전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통번역대학원 교수이며 프리랜스 국제회의통역사로 UN총회 APEC, ASEM, ASEAN, EAS를 비롯한 각종 정상회의, 양자 간 정상회담 및 정부부처 회의, 다양한 분야의 국제학술대회, 국제회의 및 민간기업 회의 등에서 순차 및 동시통역을 수행하고 있다. 통번역전략, 통번역교수법 및 통번역연구방법론에 관심이 있으며 통역현장실무, 통역의 사회적 지워 및 역할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목차
발간사 5 프로세스 연구 방법론 및 전략 : 번역학 연구에서의 통합론적 접근 11 제1부 개념적, 방법론적 논의 통역의 이론과 실제 사이의 격차 의혹에 대한 고찰 27 직역 가설에 관한 고찰 42 트랜스로그(Translog)를 이용한 번역사의 키 스트로크 및 시표 움직임 추적 64 번역사의 머릿속에서 바라본 번역 95 학생이 겪는 번역 문제로서의 환유적 언어의 사용 115 문장구역과 발화비유창성 157 번역과 통역에서의 시간차 205 제2부 통ㆍ번역 연구에서의 프로세스 연구 새 안경 251 일차적 개념적 은유가 복잡한 개념적 은유보다 이해하기 쉬운가 282 혁신적 자막 표기 311 방송 통역에서의 오류, 생략, 및 부적절성 332 언어유희 번역 시 발생하는 인지 프로세스 359 "만성질환이랑 당뇨, 그런 거 다 물어봐 줄래요" 379 제3부 통ㆍ번역 전문성에 대한 연구 언어적 복잡성이 동시통역에서 전문가의 정보 처리에 미치는 영향 409 동시통역의 프로세스와 산출물 - 경험 및 전문성에 대한 시사점 439 통역분야에서의 전문적 사고 및 행동 함양 488 PACTE 번역 역량 모형 검증 결과: 번역 문제와 번역 역량 511 "이를 계기로 이러한 현상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또 그 이면의 프로세스는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552 논문 저자 소개 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