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08000 | |
005 | 20191203181924 | |
007 | ta | |
008 | 191129s2019 tjkac b MB 001c ckor | |
020 | ▼a 9788975990182 ▼g 03910 | |
035 | ▼a (KERIS)BIB000015127132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951.9030922 ▼2 23 |
085 | ▼a 953.060922 ▼2 DDCK | |
090 | ▼a 953.060922 ▼b 2019z10 | |
100 | 1 | ▼a 김상기 ▼g 金祥起, ▼d 1954- ▼0 AUTH(211009)107741 |
245 | 2 0 | ▼a (행동하는 지성) 한국의 독립운동가 / ▼d 김상기 지음 |
250 | ▼a 증보판(3판) | |
260 | ▼a 대전 : ▼b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c 2019 | |
300 | ▼a 370 p. : ▼b 삽화, 초상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0922 2019z10 | 등록번호 1118197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제의 침략으로 얼룩진 우리 근대사 속에서 지행합일을 실천한 독립운동가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들은 개인의 안락보다는 공동체의 안위와 민족의 장래를 염려하고 적극적인 행동을 택했다. 이들 중에는 김복한과 최익현, 유인석 같은 의병장이 있으며, 3.1운동의 대표적 인물인 손병희와 유관순, 임시정부의 주석 김구와 안창호, 지청천, 청산리대첩의 김좌진, 의열단과 조선의용대를 창설한 김원봉 등의 고토(苦鬪)의 삶을 알기 쉽게 담았다.
이 책 ‘행동하는 지성 한국의 독립운동가’는 일제의 침략으로 얼룩진 우리 근대사 속에서 지행합일을 실천한 독립운동가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들은 개인의 안락보다는 공동체의 안위와 민족의 장래를 염려하고 적극적인 행동을 택했다. 이들 중에는 김복한과 최익현, 유인석 같은 의병장이 있으며, 3.1운동의 대표적 인물인 손병희와 유관순, 임시정부의 주석 김구와 안창호, 지청천, 청산리대첩의 김좌진, 의열단과 조선의용대를 창설한 김원봉, 상해의거의 윤봉길,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이회영, 역사학자이면서 아나키스트로 활동한 신채호, 좌우합작운동을 전개한 김규식과 여운형, 젊은 나이에 차디찬 옥중에서 스러진 저항시인 윤동주와 이육사 등의 고토(苦鬪)의 삶을 알기 쉽게 담았다.
[ 저자서문 ]
이번에 『행동하는 지성 한국의 독립운동가』의 증보판을 간행하게 되었다.
이 책은 주로 필자가 연구한 독립운동가 중에서 일부 인물을 선별하여 대중 들이 알기 쉽게 새로 정리한 교양서이다. 다행히 그동안 독자들의 호응을 받아 2016년 초에 제1쇄를 발간한 데 이어, 2016년 10월 2쇄를, 2018년 2월에 제 2판 2쇄를 증쇄하게 되었다. 그러나 관계자와 독자로부터 좀 더 관련 인물이 추가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3·1운동 100주년이라는 기념비적인 2019년에 총 일곱 명의 독립 운동가를 추가하여 증보판을 발간하고자 한다. 증보판에는 3·1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인 손병희와 유관순 외에 젊은 나이에 차디찬 옥중 에서 스러진 저항시인 윤동주와 이육사를 포함시켰다. 이들은 모두 국민들의 선호도 조사에서도 매우 높게 나타난 이들이다.
아울러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우리 민족이 남북통일의 과제를 남겨두고 있는 상황인 점에 비추어 주목하고 싶은 인물로 김규식과 여운형, 지청천을 더했다. 이들은 임시정부의 부주석, 건국준비위원회 위원장, 광복군 총사령관 등 서로 다른 활동을 했지만, 모두 독립운동 진영의 통합과 좌우합작운동을 전개한 인물들로서 우리가 앞으로 더욱 기려야할 인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번에 추가한 일곱 명의 독립운동가에 대한 서술에는 선학들의 많은 연구 성과를 참고했음을 밝힌다. 증보판 간행에 수고한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의 양광준 과장을 비롯한 여러분께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상기(지은이)
충남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본 와세다대학과 캐나다 UBC 방문교수, 한국근현대사학회 회장,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소장과 박물관장을 지냈으며, 2019년 현재 충남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매헌기념관 매헌연구원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저서] <한말의병연구>, 일조각, 1997 | <중국동북지역 한국독립운동사>(공저), 집문당, 1997 | <제노사이드와 한국근대>(공저), 경인문화사, 2009 | <한말전기의병>,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공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3 | <윤봉길>, 역사공간, 2013 | <호서유림의 사상과 민족운동>, 지식산업사, 2016 | <한말의병운동-전기,중기의병>, 선인, 2016 | <행동하는 지성, 한국의 독립운동가>(증보판), 충남대 출판문화원, 2019 등 다수

목차
서장 : 독립운동의 전개와 이념 _ 10 1부 한말 국권회복운동과 독립운동가 1. 일제의 침략과 국권회복운동 _ 20 2. 최초의 을미의병장 문석봉 _ 33 3. 화서학파의 선비 의병장 유인석 _ 43 4. 홍주의병장 김복한 _ 56 5. 안병찬 집안의 독립운동 _ 67 6. 이남규 부자의 순국과 의로운 노비 _ 80 7. 춘추대의를 실천한 최익현 _ 93 8. 을사늑약에 자결한 송병선 _ 104 9. 오적암살단을 조직한 기산도 _ 111 10. 안중근의 하얼빈의거와 동양평화론 _ 121 2부 일제의 강점과 독립운동가 1. 일제의 강점과 식민정책 _ 142 2. 경술국치에 자결로 저항한 이들 _ 149 3. 신채호의 독립운동과 학문 _ 163 4. 만주벌의 영웅 김좌진 _ 177 5. 임시정부 경무국장 김용원 _ 190 6. 대한의 혁명과 윤봉길 _ 201 7. 대동단결을 위해 헌신한 안창호 _ 224 8. 임시정부의 주석 김구 _ 240 9. 좌우합작을 위해 분투한 김원봉 _ 253 맺음말 : 독립운동의 특징과 의의 _ 268 참고문헌 _ 272 색인 _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