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05729 | |
005 | 20191113143328 | |
007 | ta | |
008 | 191112s2018 ulka b AU 000c kor | |
020 | ▼a 9791159015878 ▼g 936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700.103 ▼2 23 |
085 | ▼a 700.103 ▼2 DDCK | |
090 | ▼a 700.103 ▼b 2018z1 | |
100 | 1 | ▼a 이종오 |
245 | 1 0 | ▼a 문화예술 미디에이션 = ▼x Cultural & art mediation / ▼d 이종오, ▼e 임동욱, ▼e 유제상 |
246 | 3 1 | ▼a Cultural and art mediation |
260 | ▼a 서울 : ▼b HUiNE : ▼b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c 2018 | |
300 | ▼a 181 p. : ▼b 삽화 ; ▼c 23 cm | |
536 | ▼a 이 도서는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의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CORE) 지원에 의해 출간된 도서임 | |
700 | 1 | ▼a 임동욱, ▼e 저 |
700 | 1 | ▼a 유제상,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103 2018z1 | 등록번호 1118178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문화에서 작품이 완성되기 위해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유기체처럼 움직여야 한다. 이때 창작·생산주체, 소비향유주체, 지원·입안주체를 연결하고 조정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활력을 불어넣는 중간 존재들 즉 미디에이터mediator가 필요하다. 미디에이터의 전반적인 능력과 활동을 가리키는 미디에이션mediation은 서구 선진국에서 이미 보편적인 문화예술 교육의 일환으로 자리 잡고 있다.
문화예술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창작·생산주체를 중심으로 하던 시대가 지나고 소비·향유주체도 문화 소비와 예술창작 활동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제는 지원·입안 주체까지 하나로 묶어 유기적인 문화예술 생태계를 조성할 차례다. 이처럼 미디에이션과 미디에이터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질 것이다.
문화예술 미디에이션
문화에서 작품이 완성되기 위해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유기체처럼 움직여야 한다. 이때 창작·생산주체, 소비향유주체, 지원·입안주체를 연결하고 조정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활력을 불어넣는 중간 존재들 즉 미디에이터mediator가 필요하다. 미디에이터의 전반적인 능력과 활동을 가리키는 미디에이션mediation은 서구 선진국에서 이미 보편적인 문화예술 교육의 일환으로 자리 잡고 있다.
문화예술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창작·생산주체를 중심으로 하던 시대가 지나고 소비·향유주체도 문화 소비와 예술창작 활동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제는 지원·입안 주체까지 하나로 묶어 유기적인 문화예술 생태계를 조성할 차례다. 이처럼 미디에이션과 미디에이터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질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종오(지은이)
프랑스 엑스-마르세이유대학교 언어과학 박사.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어교육과 및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유럽문화콘텐츠, 세계의 도시재생, 도시문화자원과 축제콘텐츠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대표 저술로는 ‘공감과 공간-지역문화자원의 개발과 연출’, ‘프랑스사회연대경제의 도전과 성과’, ‘지역자원을 활용한 제주원도심의 도시재생’, ‘에코뮤지엄과 문화적 경관’, ‘21세기의 교육: 디지털 철학과 디지털 현실에서의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등이 있다.
유제상(지은이)
문화평론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양어대학 프랑스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 대학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를 받았다. 도서관 정보지 ‘라이브러리 & 리브로’와 공공성 전문지인 ‘월간 공공정책’, 그리고 웹진 ‘아이돌로지’ 등에 다수의 글을 기고한 바 있다. 그동안 한국외대, 한신대, 청강문화산업대, 용인송담대 등에서 강의를 했다. 저서로는 ‘문화콘텐츠강의’, ‘스토리텔링강의’, ‘문화콘텐츠와 원형이론 강의’ 등이 있다.
임동욱(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연구교수. 동 대학에서 문화콘텐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문화융합 분야에서 미디에이션을 실천해왔다.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사이언스타임즈 기자와 과학 칼럼니스트로, 인문예술 분야에서는 인문매개진흥 기획위원과 융합예술 강사로, 문화콘텐츠 분야에서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및 도시재생 기획자로 활동했다. 공저로 ‘프랑스의 지역문화콘텐츠’, ‘새로운 문화콘텐츠학’ 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ㆍ 5 제1부 개론 ㆍ 15 제1장 문화예술 미디에이션이란 무엇인가? ㆍ 17 1. 미디에이션의 정의 ㆍ 18 2. 문화예술 미디에이션의 특징 ㆍ 19 3. 미디에이션의 관련 주체들 ㆍ 24 4. 미디에이터의 역량과 입장 ㆍ 26 제2장 문화예술 미디에이션의 기능 ㆍ 29 1. 대상의 상태에 따른 미디에이션 ㆍ 30 2. 문화예술 교육을 위한 미디에이션 ㆍ 32 3. 갈등 해결을 위한 미디에이션 ㆍ 35 4. 디지털 트렌드에 발맞추는 미디에이션 ㆍ 40 제3장 문화예술 미디에이션의 관련 이론 ㆍ 45 1. 문화기호학과 문화예술 미디에이션 ㆍ 46 2. 기술 활용과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NT) ㆍ 50 3. 기타 문화 관련 이론 ㆍ 54 제4장 문화예술 미디에이션의 직업군 ㆍ 59 1. 전시ㆍ공연 분야 미디에이터 ㆍ 60 2. 관광ㆍ축제 분야 미디에이터 ㆍ 62 3. 체험교육과 미디에이터 ㆍ 66 4. 경영ㆍ마케팅과 미디에이터 ㆍ 68 제5장 글로벌 차원의 문화예술 미디에이션 ㆍ 73 1. 세계화와 문화예술 미디에이션 ㆍ 74 2. 글로컬라이제이션의 확산과 대응 ㆍ 76 3. 세계화에 대응하는 미디에이터의 활동 ㆍ 80 4. 정책 입안과 미디에이터 ㆍ 87 제6장 로컬 차원의 문화예술 미디에이션 ㆍ 91 1. 지역의 체제와 지역 정체성 ㆍ 92 2. 로컬 거버넌스와 지속가능한 발전 ㆍ 95 3. 문화예술 미디에이션과 로컬 거버넌스 ㆍ 100 4. 지역전문가로서 문화예술 미디에이터의 역할 ㆍ 107 제2부 각론 ㆍ 111 제7장 문화예술교육과 미디에이터 ㆍ 113 1.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ㆍ 114 2. 문화예술교육의 정의와 특징 ㆍ 120 3.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 리터러시 ㆍ 124 4. 문화예술 교육에서 미디에이터의 유의점 ㆍ 128 제8장 공연 콘텐츠와 미디에이터 ㆍ 135 1. 공연 장르의 정의와 구분 ㆍ 136 2. 공연 콘텐츠의 특징과 사회적 역할 ㆍ 137 3. 지역에서의 공연 분야 활성화 ㆍ 142 4. 로컬 거버넌스에서 지역문화재단의 기능 ㆍ 144 제9장 문화예술 관련 복지와 미디에이터 ㆍ 147 1. 예술인 복지의 정의와 특징 ㆍ 148 2. 시대별 문화예술 관련 복지정책 ㆍ 151 3. 문화예술 관련 복지정책의 유의점 ㆍ 157 제10장 한류 콘텐츠와 미디에이터 ㆍ 159 1. 한류의 정의와 확산 ㆍ 160 2. 한류의 특징과 구분 ㆍ 163 3. 한류 콘텐츠의 역사 ㆍ 166 4. 문화예술 교류와 미디에이션 ㆍ 169 참고문헌 ㆍ 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