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PR의 힘 / 개정3판[실은 4판]

PR의 힘 / 개정3판[실은 4판]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주호
서명 / 저자사항
PR의 힘 / 김주호 지음
판사항
개정3판[실은 4판]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형태사항
xiii, 491 p. : 삽화 ; 25 cm
ISBN
9791128813993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75-491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05619
005 20191111170448
007 ta
008 191111s2019 ulka b 000c kor
020 ▼a 9791128813993 ▼g 933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659.2 ▼2 23
085 ▼a 659.2 ▼2 DDCK
090 ▼a 659.2 ▼b 2019
100 1 ▼a 김주호
245 1 0 ▼a PR의 힘 / ▼d 김주호 지음
250 ▼a 개정3판[실은 4판]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9
300 ▼a xiii, 491 p. : ▼b 삽화 ; ▼c 25 cm
504 ▼a 참고문헌: p. 475-491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659.2 2019 등록번호 1513480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13년 개정판이 나온 이후로도 세상은 빠르게 변해 세월호 참사, 메르스 사태, 촛불시위와 대통령 탄핵, 새정부 탄생, 브라질월드컵과 리우올림픽, 평창 동계올림픽,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 등 세계사를 장식할 만한 일들이 많았다. 그 사이 PR환경도 변했다.

매체는 다양해졌고, SNS와 유튜브, 1인방송 등 개인화된 플랫폼의 영향력이 증대했다. 솔루션과 콘텐츠, 플랫폼이 중요해졌다. 그뿐만 아니라 PR과 이벤트, PR과 스포츠, PR과 광고, PR과 기술, PR과 문화 등의 다양한 협업이 PR의 가치와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개정3판은 이런 변화를 반영했다. ‘콜라보레이션’을 별도의 장으로 추가했고, 평창 동계올림픽 등 성공사례를 더해 14개 장 55개의 사례를 수록하고 있다. 이들 사례를 통해 더 좋은 세상을 만드는 데 이바지하는 PR의 힘을 배울 수 있다.

55개 성공사례에서 배우는 PR의 힘
초판이 나온 지 14년, 그간 세상은 상전벽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변했다. 2013년 개정판이 나온 이후로도 세상은 빠르게 변해 세월호 참사, 메르스 사태, 촛불시위와 대통령 탄핵, 새정부 탄생, 브라질월드컵과 리우올림픽, 평창 동계올림픽,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 등 세계사를 장식할 만한 일들이 많았다. 그 사이 PR환경도 변했다. 매체는 다양해졌고, SNS와 유튜브, 1인방송 등 개인화된 플랫폼의 영향력이 증대했다. 솔루션과 콘텐츠, 플랫폼이 중요해졌다. 그뿐만 아니라 PR과 이벤트, PR과 스포츠, PR과 광고, PR과 기술, PR과 문화 등의 다양한 협업이 PR의 가치와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개정3판은 이런 변화를 반영했다. ‘콜라보레이션’을 별도의 장으로 추가했고, 평창 동계올림픽 등 성공사례를 더해 14개 장 55개의 사례를 수록하고 있다. 이들 사례를 통해 더 좋은 세상을 만드는 데 이바지하는 PR의 힘을 배울 수 있다.

개정3판에 더한 내용들
-1장 ‘사회적 이슈 살펴보기’에 ‘평창 동계올림픽과 국가홍보’를 더했다. 동계올림픽 동안 PR이 국가 이미지 향상에 어떻게 기여했는가를 알 수 있다
-2장 ‘PR로 본 인물’에 ‘한국과 베트남을 가깝게 만든 박항서 감독 신드롬’을 다뤘다. 박항서 감독이 베트남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맡으면서 이뤄낸 성공을 PR의 관점에서 분석힌다.
-9장 ‘PR의 창의적 활용’에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화봉송 스토리 만들기’를 더했다. 성화봉송을 통해 올림픽 정신을 구현하고 국민의 화합을 이끈 이벤트의 힘을 살펴본다,
-11장 ‘콜라보레이션’을 더했다. PR과 다른 분야의 접목, 이종 결합으로 어떤 시너지가 발생하는지를 ‘버거킹의 맥와퍼 캠페인’, ‘롯데와 석촌호수, 그리고 문화의 만남’, ‘서울시와 사진작가 스티브 매커리의 만남’을 통해 살펴본다.
-‘사진으로 보는 PR코드’의 전체 사진을 평창 동계올림픽 사진으로 교체했다. 생생한 올림픽 현장을 만날 수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주호(지은이)

종합PR컨설팅 회사 KPR의 사장이며, ‘세상을 바꾸는 PR의 힘’을 추구하는 PR 및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 전문가다. PR을 중심으로 한 IMC 브랜드 콜라보K(collabo K)를 만들어 PR을 통섭적(通攝的) 개념으로 접근해 PR뿐만 아니라 이벤트, 스포츠 마케팅, 영상 등 다양한 분야를 PR적 시각으로 컨설팅해 왔다. 2017년 9월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기획홍보 부위원장으로 취임해 올림픽과 패럴림픽의 성공적 개최에 기여했다. 1987년 제일기획에 입사해 27년간 근무했으며, 2008년 명장(名匠)을 의미하는 ‘마스터(Master)’로 선정되었다. 제일기획에서 삼성그룹과 삼성전자의 해외 홍보, 올림픽을 포함한 스포츠 마케팅, 다수 기업의 통합 홍보 활동을 주도했다. 또 서울G20정상회의, 여수엑스포, 대전엑스포 등 국제행사에 참여했다. 특히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삼성의 초기 해외 홍보 네트워크 구축, 삼성전자 핸드폰 마케팅 론칭 플랫폼 등을 기획 제안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KPR과 콜라보K에서는 서울 도시 브랜드 통합 홍보, 부산국제광고제, 평창문화올림픽 홍보 등 통합 프로젝트를 맡기도 했다. 서강대학교 대우교수, 숙명여자대학교 겸임교수로 출강했고, 국제PR협회(IPRA) 한국 대표와 IPRA골든어워드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PR협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 유공자로 IOC로부터 올림픽훈장을, IPC로부터 패럴림픽훈장을 받았다. 2018년에는 한국PR협회의 ‘올해의 PR인상’을 받았으며 2008년, 2009년 네이버 파워블로거로 선정되기도 했다. 청주고등학교와 경희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으며,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노스웨스턴의 켈로그스쿨(Kellogg School)의 Executive MBA과정과 글로벌 PR회사 에델만 연수 과정을 거쳤다. 저서와 논문으로 《이기는 홍보 성공하는 PR》, 《세계 10대 메가 스포츠 이벤트 스폰서십》, 《올림픽의 홍보 효과에 관한 연구》, In Search of Professional Public Relations: Hong Bo and Public Relations in Korea(공저), 《산업조직론 기본체계에 기초한 국내 PR산업 기초 분석 연구》(공저) 등이 있다. 블로그 http://blog.naver.com/jhkim1909 페이스북 facebook/jhkim1909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개정 3판 서문 = ⅴ
개정 2판 서문 = ⅶ
개정 1판 서문 = ⅸ
서문 = xi
제1부 PR적 시각으로 보기 
 제1장 사회적 이슈 살펴보기 = 3
  01 평창 동계올림픽과 국가홍보 = 4
  02 싸이의 ''''강남스타일'''' = 13
  03 원더걸스와 인터넷의 힘 = 21
  04 미국 9ㆍ11 테러의 PR적 시각 = 27
  05 현대의 소떼 몰이 방북 = 35
  06 베네통의 사회적 논쟁 = 45
 제2장 PR로 본 인물 = 55
  01 한국과 베트남을 가깝게 만든 박항서 감독 신드롬 = 56
  02 케리 대통령 후보 부인 테레사 = 63
  03 메이저리그의 한국의 우상 박찬호 = 69
  04 미국 걸프전 영웅 콜린 파월 = 78
 제3장 PR히트상품 분석 = 87
  01 남이섬 스토리 :〈겨울연가〉와 나미나라공화국 = 88
  02〈말아톤〉과 한국영화 = 98
  03 화이자의 비아그라 = 106
  04 소니의 사외보《소니 스타일》 = 117
  05 코카콜라 핀 트레이딩 = 125
 사진으로 보는 PR 코드 : 평창 동계올림픽 = 137
제2부 PR의 성공사례를 찾아서 
 제1장 기업PR = 163
  01 피자헛의 우주선 프로젝트 = 164
  02 삼성과 올림픽 성화봉송 = 172
  03 SK텔레콤의 새로운 대한민국 이야기 = 181
 제2장 마케팅PR = 189
  01 원더브라 PR 이야기 = 190
  02 로버트카이스와 킹콩 = 197
  03 KFC 광고에 등장한 커넬 할랜드 샌더스 할아버지 = 203
  04 동서식품의 카누 론칭 = 211
 제3장 제3자의 활용 = 219
  01 미국우유가공협회와 스타 = 220
  02 미국설탕협회와 건강의 중요성 = 228
  03 로마와 영화〈로마의 휴일〉 = 235
 제4장 위기관리PR = 243
  01 맥도날드의 촛불집회 위기 넘기기 = 244
  02 멕시코 관광성의 치아파스 위기관리 = 252
  03 헝가리 가스 폭발과 위기관리 = 258
  04 캘빈 클라인의 광고 중단 = 263
 제5장 로비와 여론 조성 = 271
  01 미국자동차공업협회의 일본 자동차와의 싸움 = 272
  02 테네코의 일본 자동차 부품시장 확대 = 279
  03 후지필름의 코닥과의 전쟁 = 284
  04 스페인 무르시아 주정부의 가뭄과의 전쟁 = 294
 제6장 국제PR = 301
  01 삼성전자와 세빗 전시회 = 302
  02 중국의 베이징올림픽 유치 = 311
  03 IBM의 올림픽을 통한 하이테크 홍보 = 319
 제7장 공익을 추구하는 PR = 327
  01 오렌지 문학상 = 328
  02 유니레버의 국가유적 복원 = 335
  03 록펠러가와 록펠러센터 = 343
 제8장 PR의 사회적 역할 = 351
  01 월드비전 후후만세 콘서트 = 352
  02 힐앤놀튼과 전쟁PR = 359
  03 한국PR협회의 PR = 367
  04 케첨과 몽고메리 인권운동 = 374
 제9장 PR의 창의적 활용 = 381
  01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화봉송 스토리 만들기 = 382
  02 SK와이번스와 이만수 팬티 이벤트 = 391
  03〈오프라 윈프리 쇼〉와 상품PR = 398
  04 현대카드 슈퍼매치 = 405
  05 자선단체 ''''커먼 센츠''''의 동전 모으기 = 412
 제10장 정부가 PR을 한다 = 421
  01 대장경천년세계문화축전 = 422
  02 뉴욕패션위크의 한국 패션 홍보 = 429
  03 여수세계박람회의 PR 코드 = 437
  04 음성군과 품바축제 = 446
 제11장 콜라보레이션 = 453
  01 버거킹의 맥와퍼 캠페인 = 454
  02 롯데와 석촌호수 그리고 문화의 만남 = 461
  03 서울시와 사진작가 스티브 매커리의 만남 = 468
참고자료 = 47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