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04588 | |
005 | 20191107142112 | |
007 | ta | |
008 | 191105s2019 ggk 001c kor | |
020 | ▼a 9788962971903 ▼g 93910 | |
035 | ▼a (KERIS)BIB000015412964 | |
040 | ▼d 221022 ▼a 221022 ▼c 221022 ▼d 211009 | |
082 | 0 4 | ▼a 951.901 ▼2 23 |
085 | ▼a 953.03 ▼2 DDCK | |
090 | ▼a 953.03 ▼b 2019z2 | |
245 | 2 0 | ▼a (깁더) 삼국유사 / ▼d 정호완 엮음 |
260 | ▼a 파주 : ▼b 지문당, ▼c 2019 | |
300 | ▼a 477 p. ; ▼c 23 cm | |
500 | ▼a 권말에 원문 수록 | |
500 | ▼a 색인수록 | |
600 | 1 4 | ▼a 일연 ▼g 一然, ▼d 1206-1289. ▼t 增補 三國遺事 |
700 | 1 | ▼a 정호완, ▼e 편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3 2019z2 | 등록번호 11181723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삼국유사의 잃어버린 고리라 할 47분의 단군을 비롯한 발해와 북부여의 제왕을 넣어 그 고리를 잇고자 한 글 모음집이다.
기록이란 역사의 명맥입니다. 삼국사기만으로는 우리 역사가 기원 전 57년까지입니다. 삼국유사가 있어 반만년의 맥을 이어 왔습니다. 마침내 세종대왕께서 단군을 나라의 국조로 받들어 오늘날의 개천절이 되었습니다. 2015년 중국의 도사 유적에서 요 임금의 왕성 터와 문자가 나옴으로써 역사적인 인물이 되었습니다. 단군은 요 임금보다 50년 뒤에 태어났고 공민왕 12년(1363) 문하시중 이암 선생의 단군세기란 기록물이 있습니다. 이 책은, 삼국유사의 잃어버린 고리라 할 47분의 단군을 비롯한 발해와 북부여의 제왕을 넣어 그 고리를 잇고자 한 글 모음입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권제1 기이(紀異) 제1 고조선(古朝鮮) 왕검조선 위만조선(魏滿朝鮮) 마한(馬韓) 이부(二府) 칠십이국(七十二國) 낙랑국(樂浪國) 북대방(北帶方) 남대방(南帶方) 이서국(伊西國) 오가야(五伽耶) 북부여(北扶餘) 동부여(東夫餘) 고구려(高句麗) 발해(渤海) 말갈(靺鞨) 백제(百濟) 변한 진한(辰韓, 혹은 秦韓) 우사절유택(又四節遊宅) 신라 시조 혁거세왕(赫居世王) 제2대 남해왕(南解王) 제3대 노례왕(弩禮王) 제4대 탈해왕(脫解王) 김알지(金閼智), 탈해왕대 연오랑(延烏郞) 세오녀(細烏女) 제13대 미추왕(未鄒王) 죽엽군(竹葉軍) 제17대 내물왕(奈勿王), 김제상(金堤上) 제18대 실성왕(實聖王) 사금갑(射琴匣) 제22대 지철로왕(智哲老王) 제24대 진흥왕(眞興王) 도화녀(桃花女) 비형랑(鼻荊郞) 천사옥대(天賜玉帶) 제27대 선덕왕(善德王) 지기삼사(知幾三事) 제28대 진덕왕(眞德王) 김유신(金庾信) 제29대 태종 춘추공(春秋公) 장춘랑(長春郞) 파랑(罷郞) 권제2 기이 제2 제30대 문호(무)왕(文虎(武)王) 법민(法敏) 만파식적(萬波息笛) 제32대 효소왕 죽지랑(竹旨郞) 제33대 성덕왕(聖德王) 수로부인(水路夫人) 제34대 효성왕(孝成王) 제35대 경덕왕(景德王), 충담사, 표훈대덕 제36대 혜공왕(惠恭王) 제38대 원성대왕(元聖大王) 조설(早雪) 제42대 흥덕왕 앵무새 제45대 신무대왕 염장(閻長) 궁파(弓巴) 제48대 경문대왕(景文大王) 처용랑(處容郞) 망해사(望海寺) 제51대 진성여대왕 거타지(居陀知) 제52대 효공왕(孝恭王) 제54대 경명왕(景明王) 제55대 경애왕(景哀王) 제56대 김부대왕(金傅大王) 남부여 전백제(前百濟) 북부여 무왕(武王) 후백제 견훤(甄萱) 가락국기(駕洛國記) 시조 수로왕(首露王) 거등왕(居登王) 마품왕(麻品王) 거질미왕(居叱彌王) 이시품왕(伊尸品王) 좌지왕(坐知王) 취희왕(吹希王) 질지왕(?知王) 겸지왕(鉗知王) 구형왕(仇衡王) 권제3 흥법(興法) 제3 순도조려(順道肇麗) 난타벽제(難?闢濟) 아도기라(阿道基羅)(我道 또는 阿頭) 원종흥법(原宗興法) 염촉멸신(厭觸滅身) 법왕금살(法王禁殺) 보장봉로(寶藏奉老) 보덕이암(普德移庵) 권제3 탑상(塔像) 제4 동경흥륜사(東京興輪寺) 금당십성(金堂十聖) 가섭불연좌석(迦葉佛宴坐石) 요동성(遼東城) 육왕탑(育王塔) 금관성(金官城) 파사석탑(婆裟石塔) 고려 영탑사(靈塔寺) 황룡사 장륙(丈六) 황룡사 구층탑 황룡사 종, 분황사 약사 봉덕사 종 영묘사(靈妙寺) 장륙(丈六) 사불산(四佛山), 굴불산, 만불산 생의사(生義寺) 돌미륵 흥륜사 벽화, 보현(普賢) 삼소관음(三所觀音) 중생사(衆生寺) 백률사(栢栗寺) 민장사(敏藏寺) 전후소장사리(前後所將舍利) 미륵선화(彌勒仙花) 미시랑 진자사 남백월이성(南白月二聖) 노힐부득 달달박박 분황사천수대비(芬皇寺千手大悲) 맹아득안 낙산이대성(洛山二大聖) 관음 정취 조신 어산불영(魚山佛影) 대산(臺山) 오만진신(五萬眞身) 명주(溟州, 강릉) 오대산 보질도태자전기 대산월정사(臺山月精寺) 오류성중(五類聖衆) 남월산(南月山, 일명 甘山寺) 천룡사(天龍寺) 무장사(?藏寺) 미타전(彌陀殿) 백엄사(伯嚴寺) 석탑사리 영취사(靈鷲寺) 유덕사(有德寺) 오대산(五臺山) 문수사 석탑기 권제4 의해(義解) 제5 원광서학(圓光西學) 보양이목(寶壤梨木) 양지사석(良志使錫) 귀축제사(歸竺諸師) 이혜동진(二惠同塵) 자장정률(慈藏定律) 원효불기(元曉不羈) 의상전교(義湘傳敎) 사복불언(?福不言) 진표전간(眞表傳簡) 관동풍악 발연수석기(鉢淵藪石記) 승전촉루(勝詮觸?) 심지계조(心地繼祖) 현유가(賢瑜?) 해화엄(海華嚴) 권제5 신주(神呪) 제6 밀본최사(密本?邪) 혜통항룡(惠通降龍) 명랑신인(明朗神印) 권제5 감통(感通) 제7 선도성모(仙桃聖母) 수희불사(隨喜佛事) 욱면비염불서승(郁面婢念佛西昇) 광덕(廣德) 엄장(嚴莊) 경흥우성(憬興遇聖) 진신수공(眞身受供) 월명사(月明師) 도솔가(兜率歌) 선율환생(善律還生) 김현감호(金現感虎) 융천사(融天師) 혜성가 정수사(正秀師) 구빙녀(救氷女) 권제5 피은(避隱) 제8 낭지승운(朗智乘雲) 보현수 연회도명(緣會逃名) 문수점(文殊岾) 혜현구정(惠現求靜) 신충괘관(信忠掛冠) 포산이성(包山二聖) 영재우적(永才遇賊) 물계자(勿稽子) 영여사(迎如師) 포천산(布川山) 오비구 경덕왕대 염불사(念佛師) 권제5 효선(孝善) 제9 진정사(眞定師) 효선쌍미 대성효이세부모(大城孝二世父母) 신문왕대 향득사지(向得舍知) 할고공친(割股供親) 경덕왕대 손순매아(孫順埋兒) 흥덕왕대 빈녀양모(貧女養母) 발문(跋文) 원문 紀異卷第一 三國遺事 卷第二 三國遺事 卷第三 興法第三 三國遺事 卷第三 塔像第四 三國遺事 卷第四 義解 第五 三國遺事 卷第五 神呪 第六 三國遺事 卷第五 感通 第七 三國遺事 卷第五 避隱 第八 三國遺事 卷第三 孝善 第九 跋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