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말뭉치 기반) 담화의 언어정보학적 탐구

(말뭉치 기반) 담화의 언어정보학적 탐구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손현정, 1973- 이재윤, 저
서명 / 저자사항
(말뭉치 기반) 담화의 언어정보학적 탐구 / 손현정, 이재윤
발행사항
서울 :   박이정,   2014  
형태사항
289 p. : 삽화, 도표 ; 23 cm
총서사항
인문지식기반총서 ;5
ISBN
9788962926613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84-289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03840
005 20191029101423
007 ta
008 191028s2014 ulkad b 000c kor
020 ▼a 9788962926613 ▼g 93700
035 ▼a (KERIS)BIB000013519816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01.41 ▼2 23
085 ▼a 401.41 ▼2 DDCK
090 ▼a 401.41 ▼b 2014z5
100 1 ▼a 손현정, ▼d 1973- ▼0 AUTH(211009)14166
245 2 0 ▼a (말뭉치 기반) 담화의 언어정보학적 탐구 / ▼d 손현정, ▼e 이재윤
260 ▼a 서울 : ▼b 박이정, ▼c 2014
300 ▼a 289 p. : ▼b 삽화, 도표 ; ▼c 23 cm
440 0 0 ▼a 인문지식기반총서 ; ▼v 5
504 ▼a 참고문헌: p. 284-289
536 ▼a 이 책은 2009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09-361-A00027)
700 1 ▼a 이재윤, ▼e▼0 AUTH(211009)2740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41 2014z5 등록번호 11181691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7-07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양적인 접근 방법에 의해 질적인 연구를 보완하는 언어정보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해 트위터, 신문기사, 2인의 면대면 대화 등 다양한 형태의 담화에 대해 분석한 책. 정보학에서 사용하는 기법들을 담화 말뭉치에 적용하여 언어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대한 해석과 설명을 제시하고 있다. 기초 단계의 언어학 전공자를 위하여 가능한 평이한 용어를 사용하고 자세히 설명하였으며, 동일한 연구 주제를 다루는 언어학 연구자들이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언어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 책은 양적인 접근 방법에 의해 질적인 연구를 보완하는 언어정보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해 트위터, 신문기사, 2인의 면대면 대화 등 다양한 형태의 담화에 대해 분석한 책이다. 정보학에서 사용하는 기법들을 담화 말뭉치에 적용하여 언어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대한 해석과 설명을 제시하고 있다. 기초 단계의 언어학 전공자를 위하여 가능한 평이한 용어를 사용하고 자세히 설명하였으며, 동일한 연구 주제를 다루는 언어학 연구자들이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언어 자료를 제공하였다.

문장의 범위를 넘어서는 언어 연구를 일컬어 담화 연구 또는 담화 분석이라 부른다. 담화 연구는 화용론, 사회언어학을 비롯한 언어학, 사회학, 심리학, 정치학, 인류학, 역사학, 커뮤니케이션을 비롯한 신문방송학, 컴퓨터 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행되어 왔다. 그런데 대부분의 담화 연구는 특수한 환경에서 발화된 담화를 대상으로 질적이고 미시적인 연구 방법론을 주로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를 다른 담화나 언어 현상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질적 담화 연구의 일반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제시된 연구 방법이 담화 말뭉치 구축과 분석이다. 담화 말뭉치 분석은 독립된 환경에서 발화된 복수의 담화를 수집하여 빅 데이터를 구축하고 해석하는 연구방식이다. 이는 개별 담화가 내포하고 있는 특수성과 우연성의 문제, 분석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관찰자의 주관성 개입 문제를 완화할 수 있으며, 또 말뭉치에서 출현 빈도에 따른 자료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1장 <트위터, 디지털 담화의 이야기 방식>에서는 디지털 기술 환경 조건 하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활동이 일상대화에서 이루어지는 구어 담화나 텍스트를 구성하는 문어 담화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 차이는 왜 발생하는 것인지에 대하여 분석한다.
2장 <이야기 방식에 숨겨진 주관성 - ‘박원순 신문기사 말뭉치’를 중심으로>에서는 주관성을 교묘하게 숨기고 객관성을 가장한 담화, 바로 신문기사에 숨겨진 발화자의 주관성과 시점을 분석해내는 언어정보학적 방법론을 제시한다.
3장 <반의 관계를 활용한 신문기사의 주관성 분석 - ‘복지’ 대 ‘포퓰리즘’>에서는 사전적으로는 반의 관계가 아니지만, 발화 문맥에 따라 반의 관계를 갖는 ‘복지’와 ‘포퓰리즘’이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신문기사의 주관성을 분석하고 있다.
4장 <청자의 ‘말 끼어들기’, 주관성의 언어적 충돌>에서는 화자의 이야기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언어학자들에게 외면 받았던 ‘청자의 이야기 방식’을 살핀다. 특히 화자가 발화를 끝내기 전에 청자가 발화를 시작하는 행위인 ‘말 끼어들기’를 들어 청자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이라는 해석을 비판하고, 말 끼어들기의 ‘비우호성’의 판단 기준과 언어적 실현 방식에 대해 분석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손현정(지은이)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 박사(언어학). 현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HK연구교수. ‘몸짓 분석을 위한 프랑스어 다면자료 구축 연구(2011)’, ‘불-한 병렬말뭉치의 문장 단위 정렬 방식에 대한 연구(2007)’를 비롯하여 다수의 논문을 발표.

이재윤(지은이)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1장. 트위터, 디지털 담화의 이야기 방식
1.1 트위터 언어와 기술
1.2 트위터의 내용 : 어휘 사용 양상
1.3 트위터 언어의 형식 : 트위터 언어는 구어일까 문어일까?
1.4 결론

2장. 이야기 방식에 숨겨진 주관성 - ?박원순 신문기사 말뭉치?를 중심으로
2.1 연구 방법과 말뭉치 소개
2.2 주요어 분석
2.3 명사 주요어의 동시출현 관계 네트워크
2.4 차별어 분석
2.5 집단 차별어와 집단 주요어 분석
2.6 결론

3장. 반의 관계를 활용한 주관성 분석 - ?포퓰리즘 신문기사 말뭉치?를 중심으로
3.1 ‘복지’와 ‘포퓰리즘’의 반의 관계
3.2 발화 문맥 선정
3.3 ‘포퓰리즘’ 네트워크
3.4 중심성(centrality) 분석
3.5 결론

4장. 청자의 이야기 방식 - 프랑스어 사용 청자와 한국어 사용 청자의 ''말 끼어들기'' 분석 시론
4.1 청자의 이야기 방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4.2 말뭉치 개요
4.3 정상적인 순서교대 발화와 말 끼어들기의 빈도 비교
4.4 말 끼어들기의 수행 방식 분석
4.5 결론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