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03836 | |
005 | 20191029095353 | |
007 | ta | |
008 | 191028s2019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42611782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5082436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82 | 0 4 | ▼a 375 ▼2 23 |
085 | ▼a 375 ▼2 DDCK | |
090 | ▼a 375 ▼b 2019 | |
100 | 1 | ▼a 김승호 ▼0 AUTH(211009)49738 |
245 | 1 0 | ▼a 교육과정과 수업 / ▼d 김승호, ▼e 김은정, ▼e 박일수 |
246 | 1 1 | ▼a Curriculum & instruction |
246 | 3 1 | ▼a Curriculum and instruction |
260 | ▼a 서울 : ▼b 창지사, ▼c 2019 | |
300 | ▼a 302 p.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김은정, ▼e 저 ▼0 AUTH(211009)67334 |
700 | 1 | ▼a 박일수, ▼e 저 ▼0 AUTH(211009)54016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5 2019 | Accession No. 111816906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15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일수(지은이)
(현)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박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석사) 인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통합교과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0) 「교육과정과 수업」 공저(2019) 「예비 및 현직 교사를 위한 교육평가의 이해」(2021) 교사교육, 교육과정 설계, 교사교육과정, 과정중심평가 등에 관심을 가짐.
김승호(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과(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석사, 박사) 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주요 저서: 통합교과 교육론(공저, 교육과학사, 1998) 스콜라주의 교육목적론(성경재, 2004) 초등학교교육의 이해(교육과학사, 2005) 여가란 무엇인가: 여가와 교육(교육과학사, 2015) 통합교과의 이론과 실제(공저, 교육과학사, 2015) 교육과정과 수업(공저, 창지사, 2019) 수업이란 무엇인가(학지사, 2019)
김은정(지은이)
공주교육대학교 교수다.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주 연구 분야는 교육과정과 수업, 학습 양식이며 학부모교육과 청소년 정서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청소년 자녀의 건강한 경계선 형성과 분리-개별화를 위한 부모의 역할”(2019), “대학생용 인지적·정의적 학습양식 검사지 개발 및 타당화”(2015), “대학수학능력시험 등급에 따른 대학생의 인지적ㆍ정의적 학습양식 특성 분석”(2015)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교육과정과 수업”(공저, 2019)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2 제1장 교육과정 개관 9 1. 문제 의식 10 2. 교육과정의 이론적 기초 12 3. 교육과정을 보는 다양한 관점들 21 4. 대안적 교육과정 개념의 모색 27 제2장 타일러 교육과정 모형 31 1. 개관 32 2. 타일러의 학문적 배경과 이론적 토대 34 3. 타일러의 교육과정 요소별 특징 38 4. 교육과정 이론에서 타일러 모형의 위치와 재개념화론자의 비판 48 5. 논의 53 제3장 브루너 교육과정 모형 57 1. 지식의 구조 58 2. 발견학습 62 3. 내러티브 사고양식 64 4. 내러티브 67 5. 일상교수학 74 제4장 오우크쇼트 교육과정 모형 81 1. 교육과정 철학 82 2. 지식론: 정보와 판단 89 3. 교수·학습 이론: 정보의 ‘교수’와 판단의 ‘전수’ 95 4. 교사론: 문명의 대리인(代理人) 100 5. 평가론: ‘판단’의 평가 102 6. 오우크쇼트 사상의 교육과정적 시사점 104 제5장 아이즈너 교육과정 모형 109 1. 아이즈너의 학문적 배경 110 2. 행동적 목표에 대한 비판과 ‘표현적 결과’ 112 3. ‘표상의 형식’에 드러난 예술성과 질적 특성 117 4. ‘교육비평’을 통한 질적 접근 120 5. ‘영교육과정’과 ‘기예와 예술로서의 수업’ 126 6. 아이즈너 이론의 시사점 129 제6장 교육과정의 재개념화 135 1. 교육과정 재개념화(Reconceptualization) 탐구 영역 137 2. 파이너의 실존적 재개념화 140 3. 애플의 사회적·문화적 재개념화 이론 146 4. 반 매넌의 현상학적 재개념화 이론 151 제7장 백워드 교육과정 모형 163 1.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도입 배경 164 2. ‘이해’의 의미 165 3. 백워드 교육과정 모형의 개요 168 4. 백워드 교육과정 모형의 기본 가정 및 특징 169 5. 백워드 교육과정 모형의 절차 172 6. 백워드 교육과정 모형을 활용한 단원 개발 사례 181 7. 백워드 교육과정 모형의 시사점 186 제8장 교수·학습 이론 191 1. 학습과 학습이론 192 2. 고전적 조건화 이론 195 3. 조작적 조건화 이론 198 4. 사회적 인지주의 202 5. 구성주의(constructivism) 206 6. 교수와 교수 이론 211 제9장 수업의 근본 구조 225 1. 수업의 근본 구조 226 2. 수업의 보편적 요소와 역할 228 3. 수업의 근본 구조 탐색 238 4. 마무리 245 제10장 수업의 인식론 249 1. ‘내면화 과정’으로서의 수업 251 2. 수업의 ‘자득적 측면’ 255 3. ‘간접전달’로서의 수업 261 4. 마무리 274 제11장 교육평가 개관 279 1. 교육평가의 개념 및 유형 280 2. 교육평가의 일반적 절차 284 3.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과정중심평가 286 4. 교육과정평가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