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02287 | |
005 | 20230425111511 | |
007 | ta | |
008 | 191016s2019 ggka b 000c kor | |
020 | ▼a 9791158740603 ▼g 93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004.071 ▼2 23 |
085 | ▼a 004.071 ▼2 DDCK | |
090 | ▼a 004.071 ▼b 2019 | |
100 | 1 | ▼a Williams, Heidi |
245 | 2 0 | ▼a (두렵지 않은) 코딩교육 : ▼b 초등교사를 위한 코딩교육 길라잡이 / ▼d Heidi Williams 지음 ; ▼e 곽소아, ▼e 장윤재 옮김 |
246 | 1 9 | ▼a No fear coding : ▼b computational thinking across the K-5 curriculum |
260 | ▼a 고양 : ▼b 미디어숲 : ▼b 다빈치하우스, ▼c 2019 | |
300 | ▼a 245 p. : ▼b 천연색삽화 ; ▼c 26 cm | |
500 | ▼a 부록: A. 2016 ISTE 학생 표준, B. 코딩과 수학적 실천, C. 영어 공통핵심기준 외 | |
504 | ▼a 참고문헌: p. 203-207 | |
650 | 0 | ▼a Computer science ▼x Study and teaching (Elementary) |
650 | 0 | ▼a Computer programming ▼x Study and teaching (Elementary) |
700 | 1 | ▼a 곽소아, ▼e 역 ▼0 AUTH(211009)122886 |
700 | 1 | ▼a 장윤재, ▼e 역 |
900 | 1 0 | ▼a 윌리엄즈, 하이디,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4.071 2019 | Accession No. 11181632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코딩을 가르치고 컴퓨팅 사고를 키워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그리고 코딩과 컴퓨팅 사고를 가르치기 위한 방법을 다양한 도구들과 함께 소개한다. 아울러 기존의 교육과정 및 교수 활동에 코딩과 컴퓨팅 사고를 통합하는 방법들을 소개한다.
책의 구성은 비봇으로 코딩하기, 코드닷 오알지로 코딩하기, 다양한 교과에서 스크래치 활동하기 등으로 실제적인 교수법을 배울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부록으로 실린 ISTE 학생 표준과 교과별 공통핵심기준 등의 풍부한 자료가 수록되어 참고할 수 있다.
교사들이 코딩을 두려워하지 않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모든 교과 활동에서 컴퓨팅 사고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 배우기!
지금 우리의 교육제도는 어떠한가. 지난 100년 동안 교실의 모습은 사실상 달라진 것이 거의 없다. 교육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가르치는 것’에서 ‘학습하는 것’으로 교육 모델이 변해야 한다. 또한 모든 학생이 성공적으로 학습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교사가 차별화 수업을 실천해야 한다. 코딩은 학생들의 개인차를 반영한 차별화 수업을 돕는 21세기의 새로운 기술이다. 21세기에 반드시 필요한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코드(Code)를 배우고, 계산적으로 생각(think computationally)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이 책은 코딩을 가르치고 컴퓨팅 사고를 키워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그리고 코딩과 컴퓨팅 사고를 가르치기 위한 방법을 다양한 도구들과 함께 소개한다. 아울러 기존의 교육과정 및 교수 활동에 코딩과 컴퓨팅 사고를 통합하는 방법들을 소개한다. 책의 구성은 비봇으로 코딩하기, 코드닷 오알지로 코딩하기, 다양한 교과에서 스크래치 활동하기 등으로 실제적인 교수법을 배울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부록으로 실린 ISTE 학생 표준과 교과별 공통핵심기준 등의 풍부한 자료가 수록되어 참고할 수 있다.
이 책의 특징
. 비봇, 코드닷오알지 스크래치, 아리스의 알기 쉬운 교수법
. 검증된 교실 수업 모델과 실제적 활동 소개
. 다양한 교과통합형 코딩 활동과 수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풍부한 교육자료 제공
. 교과별 공통 핵심기준과 교과 표준 및 ISTE.CSTA의 표준 교육서
. 코딩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기술적 도구들과 자료들에 대한 사례 연구
다양한 코딩 교육과정을 통해
교사들이 친숙하게 코딩교육에 접근할 수 있다!
지금은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학생들이 학교에서 수업을 듣지 않고도 인터넷을 통해 교과 지식을 배울 수 있게 되었다. 어떤 학생들은 구글에서 관련 자료를 검색하거나 유튜브 동영상을 찾아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관심 분야를 열정적으로 학습한다.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인터넷과 모바일 장치를 기반으로 상호 연결된 환경에서는 더 이상 학생들이 같은 시간, 같은 교실에 앉아 모두가 똑같은 것을 배우지 않는다. 학생들은 칸 아카데미, 런질리언, 드림박스, IXL와 같은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서 자신이 원하는 주제에 대해 더욱 깊이 탐구하고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술(Technology)은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글을 읽고 쓰는 방법,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방법,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등 우리의 삶을 변화시킨다. 특히 컴퓨팅 기술은 일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기도 하지만, 우리의 삶을 혁신적으로 개선시킨다.
21세기에 반드시 필요한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코드를 배우고, 계산적으로 생각(think computationally)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코딩은 학생들이 학습 콘텐츠를 단순히 소비하는 것을 넘어 직접 학습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준다. 만약 어떤 학생이 전기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다른 친구들보다 훨씬 앞서서 열정적으로 학습을 하고 있다면, 다른 학생들과 함께 교실에 앉아 선생님의 강의를 듣거나 이미 학습한 내용을 반복하여 학습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이러한 학생에게는 코딩이 효과적인 학습방법이 될 수 있다.
이 책은 주제별 코딩 활동을 소개하는 다른 책들과는 달리, 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교과에 컴퓨터과학 관련 기술(skills)들을 통합하는 방법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학습자가 문제를 분해하고 새롭게 생각하며 문제를 해결하도록 이끌어주는 과정에서 교사 역시 계산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될 것이다.
『두렵지 않은 코딩교육, No Fear Coding』 추가 자료 사이트 https://sites.google.com/view/no-fear-coding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하이디 윌리엄즈(지은이)
위스콘신 주에 위치한 제퍼슨 라이트하우스 초등학교의 교장을 역임하였으며, 재능이 있는 모든 어린이들을 돕기 위해 “STRETCh(Striving to Reach Every Talented Child, stretchinstructor.com)”에서 차별화 학습 전문가 및 코디네이터로 활동했습니다. 초등교육과 온라인교육 및 코칭 전문가이며, 커리큘럼 책임자, 교육 담당 책임자에게만 주어지는 리더십 라이센스를 갖고 있습니다. 현재는 마르케트 대학Marquette University에서 컴퓨터과학 커리큘럼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지역이나 주 단위, 전국 규모로 열린 컨퍼런스에 참여하여 ‘차별화 학습’과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술 사용’과 관련된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습니다. 2019 ISTE 컨퍼런스에서 『컴퓨터과학은 전정 무엇인가?』, 『컴퓨터과학 네트워크 플레이그라운드: 컴퓨터과학, 컴퓨팅 사고 로봇과 ISTE 표준』, 『컴퓨팅 사고와 인공지능』 등 여섯 가지 섹션에서 강연 및 토론에 참여했습니다.
장윤재(옮긴이)
고려대학교에서 컴퓨터교육학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학부에서 앨런 케이(Alan Kay)와 스퀵(Squeak)을 만나 아이들을 위한 코딩 교육에 관심을 갖고 공부를 해왔다. 현재는 고려대학교 정보창의교육연구소에서 재직하며 코딩 교육 관련 연구를 하고 있으며, 여러 대학 및 대학원에서 정보 교사 양성을 위한 강의를 맡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코딩 플레이그라운드』, 『초등교사를 위한 코딩교육 길라잡이 : 두렵지 않은 코딩교육』이 있다. http://janggoons.kr
곽소아(옮긴이)
사랑스러운 두 아이의 엄마. 여덟 살 아들, 세 살 딸과 함께 일상의 창작을 즐기는'감성 창작자'입니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컴퓨터와 기술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생각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최근에는 즐거운 놀이와 창작의 재료가 되는 코딩과 인공지능을 연구하고 있고,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창의적학습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옮긴 책으로는 《코딩 플레이그라운드》, 《초등교사를 위한 코딩교육 길라잡이: 두렵지않은 코딩교육》, 《중등교사를 위한 코딩교육 길라잡이: 창의적 코딩교육》이 있습니다. -덕성여자대학교 영재교육원 중등 융합소프트웨어반 강사 -전) 고려대학교 영재교육원 초중등 수학, 정보, 융합반 담임교사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컴퓨터교육학 전공 박사 과정.

Table of Contents
시작하며 이 책을 소개합니다 Part 1) 코딩과 컴퓨팅 사고 CHAPTER 1)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 코딩을 반드시 가르쳐야 하는 이유 CHAPTER 2) 코딩 = 컴퓨팅 사고? CHAPTER 3) 기존 교육과정에 코딩을 통합하는 방법 CHAPTER 4) 어떻게 코딩을 가르칠 것인가 Part 2) 비봇으로 코딩하기 CHAPTER 5) 학생들에게 비봇(Bee-Bot)을 소개해야 하는 이유 CHAPTER 6) 비봇 프로그래밍을 가르치는 방법 CHAPTER 7) 수업 사례 : 비봇 수업 Part 3) 코드닷오알지로 코딩하기 CHPATER 8) 학생들에게 코닷 오알지(Code.org)를 소개해야 하는 이유 CHAPTER 9) 기존 교육과정에서 코드닷오알지를 사용하는 방법 CHAPTER 10) 수업 사례 : 코드닷오알지를 사용하여 수업하기 Part 4) 다양한 교과에서 스크래치 활동하기 CHAPTER 11) 컴퓨팅 사고를 경험할 수 있는 스크래치 CHAPTER 12) 스크래치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CHAPTER 13) 다양한 교과 시간에 스크래치 프로젝트 만들기 Part 5) 코딩 그 이상으로... CHAPTER 14) ARIS로 실세계 경험 만들기 부록 A. 2016 ISTE 학생 표준 부록 B. 코딩과 수학적 실천 부록 C 영어 공통핵심기준 수학 공통핵심기준 차세대 과학표준 ISTE 소개 이 책에 도움을 주신 분들 감사의 말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