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01209 | |
005 | 20191007154150 | |
007 | ta | |
008 | 191004s2017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99712012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4601229 | |
040 | ▼a 211044 ▼c 211044 ▼d 211044 ▼d 211009 | |
082 | 0 4 | ▼a 371.1 ▼2 23 |
085 | ▼a 371.1 ▼2 DDCK | |
090 | ▼a 371.1 ▼b 2017z1 | |
245 | 2 0 | ▼a (최신) 교직실무 = ▼x Teaching practice / ▼d 김희규 [외]공저 |
246 | 1 | ▼i 판권기표제: ▼a 예비교사의 수업과 실무를 위한 최신 교직실무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7 ▼g (2018 2쇄) | |
300 | ▼a 475 p. ; ▼c 26 cm | |
500 | ▼a 공저자: 김순미, 안성주, 최상영 | |
500 | ▼a 부록: 교육 관련 법규(발췌)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김희규 ▼g 金熙圭, ▼e 저 ▼0 AUTH(211009)102625 |
700 | 1 | ▼a 김순미 ▼g 金順美, ▼e 저 ▼0 AUTH(211009)136041 |
700 | 1 | ▼a 안성주 ▼g 安性柱, ▼e 저 ▼0 AUTH(211009)116567 |
700 | 1 | ▼a 최상영 ▼g 崔相英, ▼e 저 ▼0 AUTH(211009)109558 |
900 | 1 0 | ▼a Kim, Hee-kyu, ▼e 저 |
900 | 1 0 | ▼a Kim, Soon-mi, ▼e 저 |
900 | 1 0 | ▼a An, Seong-ju, ▼e 저 |
900 | 1 0 | ▼a Choi, Sang-young,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1 2017z1 | Accession No. 11181572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부 교직의 이해 제1장 교직과 교사 1. 교육과 교직의 이해 2. 교직관의 유형 3. 교직의 전문성 제2장 교사의 역할과 자질 1. 교사의 역할 2. 교사의 자질 3. 바람직한 교사상 제3장 교원의 권리와 의무 1. 교원의 신분과 지위 2. 교권 3. 교원의 권리 4. 교원의 의무 제4장 교직윤리와 직무갈등 1. 윤리의 개념 2. 교직윤리의 의미 3. 교직윤리의 내용과 영역 4. 교직에서의 직무갈등 제2부 교사의 직무 제5장 학교자율경영조직 1. 단위학교책임경영제 2. 학교운영위원회의 의의 3.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위원선출 4.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 5.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과 6. 학교운영위원회의 발전방안 제6장 교원단체 1. 교원단체의 정의 2. 우리나라의 교원단체 3. 교원노조의 단체교섭 4. 교원노사관계 안정화 방안 제7장 교원의 인사 1. 교육인사행정의 개요 2. 교원의 수급과 복무 3. 교원의 휴직과 복직 4. 교원의 전보·승급·승진 5. 교원의 상훈과 징계 제8장 교원평가 1. 교원평가의 의의 2. 교원평가의 유형 3. 전문성 신장평가의 특성 4. 교원능력개발평가 5. 주요국의 교원평가시스템 제9장 학교경영과 학급경영 1. 학교경영의 개념 및 원리 2. 학교장의 학교경영 3. 학급경영의 개념 및 원리 4. 학급경영의 구성요소 5. 학급경영의 실제 6. 학급담임교사의 역할 제3부 교사의 성장 제10장 장학의 이해 1. 장학의 배경 2. 장학담당자의 자질과 역할 3. 장학의 과업 4. 장학의 유형 5. 수업장학의 실제 _ 제11장 교직문화와 학생생활문화의 이해 1. 교직문화의 이해 2. 학생생활문화의 이해 제12장 인성 및 진로교육 1. 생활지도의 이해 2. 인성교육으로의 접근 3. 학교안전생활 4. 학교폭력 5. 상담의 이해 6. 진로교육 제13장 학부모 및 지역사회 1. 학교와 학부모 2. 학교와 지역사회 3. 학교·학부모·지역사회와의 교공동체 만들기 부록 교육 관련 법규(발췌) 1. 대한민국 헌법 2. 교육기본법 3. 초·중등교육법 4.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5. 교육공무원법 6. 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 7. 교육공무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규칙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