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01202 | |
005 | 20191007144054 | |
007 | ta | |
008 | 191004s2019 ggk b 001c kor | |
020 | ▼a 9788946071841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5386935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82 | 0 4 | ▼a 327.519 ▼2 23 |
085 | ▼a 327.53 ▼2 DDCK | |
090 | ▼a 327.53 ▼b 2019z4 | |
100 | 1 | ▼a 하영선 |
245 | 1 0 | ▼a 한국 외교사 바로보기 : ▼b 전통과 근대 = ▼x A new perspective on the diplomatic history of Korea : ▼b tradition and modernity / ▼d 하영선 지음 |
246 | 3 1 | ▼a New perspective on the diplomatic history of Korea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19 | |
300 | ▼a 318 p. ; ▼c 24 cm | |
440 | 0 0 | ▼a 한울아카데미 ; ▼v 2184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53 2019z4 | Accession No. 1118157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문명사적 변화의 의미를 읽어야 국흥의 길로 갈 수 있다고 보고 새로운 문명 표준을 달성하고 주도하기 위해서는 세계 역량을 활용하고, 국내 역량을 결집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것은 21세기 국흥의 최소한의 필요조건이라 말한다.
저자는 21세기 한반도 정치사회의 주도 세력이 19세기의 비극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보수와 진보를 불문하고 경직화된 이분법적 사고와 행동에 익숙한 기성세대 대신 복합적 사고와 행동이 가능한 새로운 세대를 시급하게 키워야 한다고 했다. 밖으로는 한국 이익과 지구 이익을 동시에 품을 줄 아는 한국적 세계인으로서 지구적 경쟁력을 갖추어야 하고, 안으로는 우리 사회의 다양한 이해 갈등을 투쟁이 아닌 숙의로 풀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한말 외교사를 교훈 삼아
21세기를 국흥으로 이끌 것인가
이 책은 문명사적 변화의 의미를 읽어야 국흥의 길로 갈 수 있다고 보고 새로운 문명 표준을 달성하고 주도하기 위해서는 세계 역량을 활용하고, 국내 역량을 결집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것은 21세기 국흥의 최소한의 필요조건이라 말한다.
저자는 21세기 한반도 정치사회의 주도 세력이 19세기의 비극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보수와 진보를 불문하고 경직화된 이분법적 사고와 행동에 익숙한 기성세대 대신 복합적 사고와 행동이 가능한 새로운 세대를 시급하게 키워야 한다고 했다. 밖으로는 한국 이익과 지구 이익을 동시에 품을 줄 아는 한국적 세계인으로서 지구적 경쟁력을 갖추어야 하고, 안으로는 우리 사회의 다양한 이해 갈등을 투쟁이 아닌 숙의로 풀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 책을 통해 많은 독자가 21세기 한국 외교의 나아갈 길을 찾기를 기대한다.
19세기 한국 근대 국제정치와 외교를 돌아보고 미래 외교를 준비한다
저자는 10년 동안 기본 사료와 관련 연구들을 읽으면서 부딪혔던 가장 커다란 아쉬움은 당시 한국이 겪고 있던 국제정치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이 위정척사, 동도서기, 문명개화라는 3분법에 따라서 지나치게 단순화되는 답답함이었다고 한다.
1부에서는 국난 극복론을 현재가 아닌 당대의 지평과 개념에 따라 3분법 대신 해방론, 원용부회론, 양절체제론, 자강균세론, 국권회복론이라는 5분법으로 새롭게 정리했다.
저자는 5분법적 한국 근대 국제정치론은 단순히 한말 국난 극복의 대외적 노력을 오늘이 아닌 당대의 시각에서 제대로 해석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근대와 탈근대가 복합적으로 얽히고 있는 21세기 한국 외교의 미래사를 건축하는 데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보았다.
해방론부터 국권회복론에 이르는 한국 근대 국제정치론은 단순한 담론의 역사가 아니다. 국망의 비극을 맞이하지 않고 국흥의 길을 찾아보려는 지적 몸부림의 역사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하고 주저앉는 담론의 역사를 살아 있는 모습으로 재현하기 위해서는 근대 국제정치 무대의 치열한 경쟁 및 각축 과정에서 점증했던 국가 생존의 위협과 국내 정치 무대의 치열한 권력투쟁의 복합무대에서 벌어지는 담론 전쟁을 입체적으로 조명할 필요가 있다.
2부에서는 한국 외교사 바로보기를 시도하고 있다. 우선 한국 외교의 대표 조건인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정벌, 회유, 예치의 3중 복합적 천하질서라는 새로운 시각에서 해석했다. 다음으로 19세기 한국 외교사의 필독서인 『조선책략』과 『서유견문』을 21세기적 지평에서 해석하고, 19세기 한국 외교의 중심개념인 ‘문명’이 표준 경쟁, 국제정치, 국내 정치적·사회적 3중 전쟁 속에서 어떻게 자리 잡았는가를 검토했다. 그리고 한말 외교사의 현대적 교훈을 문명 표준 경쟁, 국제 역량 활용, 국내 역량 결집이라는 시각에서 정리했다.
한국 외교사를 역사적 안목에서 미래지향적으로 바로 보려면 삼중의 노력이 시급하다. 우선 문명 표준의 변환을 바로 읽어야 한다. 한국은 19세기에 문명 표준이 전통 천하질서에서 근대 국제질서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부강 국가 건설에 결과적으로 실패했다. 21세기 한국은 근대 국제질서에서 탈근대 복합 질서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그물망 국가 건설을 선도적으로 추진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국제 역량의 활용을 바로 해야 한다. _머리말에서
저자는 위과 같이 말하며 21세기 국난에서 22세기 국흥으로 가는 길은 우리 사회가 21세기의 복합 과제를 얼마나 성공적으로 푸느냐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하영선(지은이)
국제정치 이론과 역사를 반세기 동안 연구해 온 한국의 대표적 국제정치학자다. 현재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이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1980-2012)로 재직했고 미국 프린스턴 대학 국제문제 연구소와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의 초청 연구원이었으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 연구소장, 미국학 연구소장, 한국 평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 20년 동안 400편의 시론을 썼고, “하영선 칼럼”을 7년 동안 연재했다. 전파연구, 한국외교사, 정보세계 정치, 동아시아연구원의 연구 모임들을 이끌며 한국 국제 정치학의 길을 개척해 왔다. 강의와 답사를 연계해서 ‘체험하는 외교사’라는 학습 모델을 개발하여 ‘서울대 교육상’을 수상하였으며, 서울대학교와 동아시아연구원에서 지난 20년 동안 동아시아 질서 건축사와 한국의 생존전략을 젊은 세대들과 함께 공부하고 현장을 찾아보는 학술답사를 계속하고 있다. 최근 저서 및 편저로는 국제정치이론 분야에서 『사랑의 세계정치: 전쟁과 평화』(2019), 『미중의 아태질서 건축경쟁』(2017), 『복합 세계정치론: 전략과 원리 그리고 새로운 질서』(2012), 『변환의 세계정치』(2012), 한국외교사 분야에서 『한국외교사 바로보기: 전통과 근대』(2019), 『사행의 국제정치: 16-19세기 조천?연행록 분석』(2016), 한국외교정책 분야에서 『1972 한반도와 주변4강 2014』(2015), 『2020 한국외교 10대과제: 복합과 공진』(2013), 『하영선 국제정치 칼럼 1991-2011』(2012), 『북한2032: 선진화로 가는 공진전략』(2010), 『한일 신시대를 위한 제언: 공생을 위한 복합 네트워크의 구축』(2010), 한국개념사연구 분야에서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냉전기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근대 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성사 1/2』(2009/2012)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서문 제1부 한국 근대 국제정치론 연구 01. 머리말 02. 해방론 03. 원용부회론 04. 양절체제론 05. 자강균세론 06. 국권회복론 07. 맺는말 제2부 한국 외교사 바로보기 08. 머리말 09. 연암 박지원의 국제정치학 10. 『열하일기』의 국제정치학: 청, 티베트, 그리고 조선 11. 21세기의 조선책략 12. 21세기의 서유견문: 국제화와 세계화 13. 근대 한국의 문명 개념 도입사 14. 한말 외교사의 현대적 교훈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