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00907 | |
005 | 20191002092524 | |
007 | ta | |
008 | 191002s2019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28800993 ▼g 04300 | |
020 | 1 | ▼a 9791128800009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791.4301 ▼2 23 |
085 | ▼a 791.4301 ▼2 DDCK | |
090 | ▼a 791.4301 ▼b 2019 | |
100 | 1 | ▼a 장미화 |
245 | 1 0 | ▼a 디지털 영화와 들뢰즈의 시간-이미지 / ▼d 장미화 지음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9 | |
300 | ▼a 109 p. ; ▼c 19 cm | |
490 | 1 0 | ▼a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19 | 등록번호 1118570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91.4301 2019 | 등록번호 15134755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19 | 등록번호 1118570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91.4301 2019 | 등록번호 15134755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오늘날 관객이 영화에서 지각하는 시간성은 필름 시대와는 크게 다르다.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는 영화 이미지를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로 나누었다. 오늘날 영화 이미지는 필름 이미지에서 매우 멀어졌다. 이미지는 디지털 매체가 일으키는 기술적 변화를 거치면서 미학적으로 새로운 해석을 요구한다. 이 책은 디지털 영화에서 시간-이미지가 이전과 다른 특성을 나타내면서 변화하는 측면에 초점을 둔다.
영화가 필름 형태로 상영되던 시절의 관객은 오늘날 디지털 영화에서 나타나는 지각적 차이에 놀라곤 한다. 포스트 디지털 시대엔 극장 상영 영화가 대부분 디지털 영화다. 중요한 사실은 디지털 시대 영화는 매체와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시간성의 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오늘날 관객이 영화에서 지각하는 시간성은 필름 시대와는 크게 다르다.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는 영화 이미지를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로 나누었다. 오늘날 영화 이미지는 필름 이미지에서 매우 멀어졌다. 이미지는 디지털 매체가 일으키는 기술적 변화를 거치면서 미학적으로 새로운 해석을 요구한다. 이 책은 디지털 영화에서 시간-이미지가 이전과 다른 특성을 나타내면서 변화하는 측면에 초점을 둔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장미화(지은이)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강사다. 코리아나 화장품, 이랜드 리테일에서 패션, 유통 분야 광고 카피라이터로 일했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프랑스 파리 1대학에서 영화 시청각 과정을 거쳤다. ‘샹탈 아케르망의 <잔느 딜망>(1975)을 중심으로 한 영화의 최면과 시간성’에 대한 논문으로 학위를 받았다. 중앙대 첨단 영상대학원 영상학과 박사논문에서 할리우드 영화의 시간성을 질 들뢰즈의 시간-이미지의 진화라는 관점에서 다루었다. 들뢰즈의 영화서를 중심으로 해서 영화 미학 강의를 한 일을 계기로 여러 대학에서 영화, 광고 마케팅에 대해서 강의했다. 작가 정책, 작가주의 비평, 여성주의,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 영화와 타 장르의 경계를 넘는 다양한 연구 분야에 관심이 많다. 『히치콕에게 묻고 싶은 것들』, 『디지털 영화와 들뢰즈의 시간-이미지』를 출간했다.

목차
01 포스트컨티뉴이티 02 프레임과 픽셀 간격 03 베냐민과 들뢰즈의 시각적 촉각성 04 가상 카메라와 디지털 미미크리 05 합성 롱 테이크의 계시성 06 촉각적 스크린의 인터페이스 07 불릿 타임과 멀티튜드 08 모션캡처, 몰핑의 시간성 09 디지털 영화와 게임의 상호작용 10 홀로그램-이미지와 바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