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과정과 목적 / 제5판

교육과정과 목적 / 제5판 (Loan 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Walker, Decker F. Soltis, Jonas F., 저 허숙 許菽, 1949-, 역 박승배 朴昇培, 1959-, 역
Title Statement
교육과정과 목적 / Decker F. Walker, Jonas F. Soltis 지음 ; 허숙, 박승배 옮김
판사항
제5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교육과학사,   2017  
Physical Medium
316 p. ; 23 cm
Varied Title
Curriculum and aims (5th ed.)
ISBN
9788925412078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311-316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Education --Aims and objectives --United States Education --Curricula --United States Curriculum planning --United State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00592
005 20190930105355
007 ta
008 190930s2017 ggk b 000c kor
020 ▼a 9788925412078 ▼g 93370
035 ▼a (KERIS)BIB000014609982
040 ▼a 211014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5/.0010973 ▼2 23
085 ▼a 375 ▼2 DDCK
090 ▼a 375 ▼b 2017z7
100 1 ▼a Walker, Decker F.
245 1 0 ▼a 교육과정과 목적 / ▼d Decker F. Walker, ▼e Jonas F. Soltis 지음 ; ▼e 허숙, ▼e 박승배 옮김
246 1 9 ▼a Curriculum and aims ▼g (5th ed.)
250 ▼a 제5판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7
300 ▼a 316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311-316
650 0 ▼a Education ▼x Aims and objectives ▼z United States
650 0 ▼a Education ▼x Curricula ▼z United States
650 0 ▼a Curriculum planning ▼z United States
700 1 ▼a Soltis, Jonas F., ▼e
700 1 ▼a 허숙 ▼g 許菽, ▼d 1949-, ▼e▼0 AUTH(211009)28398
700 1 ▼a 박승배 ▼g 朴昇培, ▼d 1959-, ▼e▼0 AUTH(211009)134708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17z7 Accession No. 11181545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교육과정의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주제들을 서로 대립적인 관점에서 소개하면서 우리로 하여금 많은 문제들을 생각하도록 해주는 책이다. 교육과정의 내용을 교과서식으로 설명하거나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정의 탐구에서 바탕이 되는 기본적인 문제에 대해 '왜?'라고 하는 질문을 묻고 생각해 보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 책은 본래 J. F. Soltis의 편집 책임 아래 미국 컬럼비아대학에서 교육탐구 시리즈(Thinking About Education Series)로 출판된 다섯 권의 소책자 중의 하나이다. 저자들은 이 책에서 교육과정의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주제들을 서로 대립적인 관점에서 소개하면서 우리로 하여금 많은 문제들을 생각하도록 해준다. 즉, 이 책은 교육과정의 내용을 교과서식으로 설명하거나 소개하는 책이 아니라, 교육과정의 탐구에서 바탕이 되는 기본적인 문제에 대해 “왜?”라고 하는 질문을 묻고 생각해 보도록 요구한다. “왜 가르치는가?”, “왜 그것은 가르칠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가?”, “교육과정의 결정권은 누구에게 있는가?”, “왜 교육과정의 개혁은 제대로 성공하지 못하는가?” 이러한 질문들은 교육과정을 공부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한번쯤 고민하게 되는 문제들이다.
사실 그동안의 교육과정에 대한 많은 서적들은 “왜?”라는 질문보다는 “어떻게?”라는 질문에 초점을 두어 온 것이 사실이다. “어떻게 교육과정을 개발할 것인가?”, “교육과정은 어떻게 전개되는가?”, “지도안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이러한 질문들은 교육과정의 문제를 기술적이고 방법적인 차원에 묶어놓음으로써 교육과정의 탐구를 하나의 학문(교육과정학)으로 정착시키는 데에 미흡하였다. 교육이 언제나 목적을 지향하는 활동이라면 교육과정학은 어쩔 수 없이 가치판단이라는 무거운 과제를 짊어지게 되는 학문이다. 교육과정학의 논의에서 “어떻게”라는 방법적인 측면과 함께 “왜”라고 하는 가치적 측면이 함께 강조된다면 교육과정학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탐구의 폭이 더 넓어질 것이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면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 또는 교육대학원의 코스에서 교육과정학을 탐구식으로 학습하고자 할 때에 좋은 참고 도서가 될 것이며, 또한 교육현장에서 직접 교육과정을 다루고 있는 교사들이 자신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고민하고 생각해보는 데에도 하나의 지침서가 되어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제8장에 실려 있는 “논의를 위한 사례들”은 동료들과의 토론과 논의를 통해 교육과정에 대한 우리의 사고를 깊게 해주는 데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옮긴이의 머리말 3

Chapter_1 교사와 교육과정 9
교육과정 업무에 대한 불확실한 느낌들 12
교육과정 업무를 위한 시간과 자원의 확보 14
누가 교육과정의 결정 권한을 가지는가? 16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가치판단 21
교육과정 업무를 위한 준비 28
추가 권독서 32

Chapter_2 교육의 목적 35
이상적인 교육의 목적 38
진보적 관점과 전통적 관점 50
교육과정 이론 60
추가 권독서 63

Chapter_3 교양교육 65
기본교과의 내용 69
역사적 선례 70
학교와 생활의 연계 78
가장 좋은 교양교육과정의 탐색 83
서로 다른 관점의 가치 90
추가 권독서 95

Chapter_4 교육과정 현상의 개념화 97
지식의 활용 101
배움의 과정에 대한 개념화 108
교과의 구조 114
의미 있는 학습경험 116
프로그램의 개념화 120
추가 권독서 129

Chapter_5 교육과정 구성의 절차 131
교육과정 구성의 원천 132
타일러의 논리 136
슈왑의 실제적ㆍ절충적 접근 146
프레이리의 해방이론 152
교육과정 구성과 의사결정 158
추가 권독서 162

Chapter_6 교육과정의 실제와 비판 165
타일러의 논리에 대한 비판 167
교육과정과 현대 사회의 비판 171
교육과정의 전개 과정에 대한 이해 176
문화의 변천과 교육과정 180
추가 권독서 189

Chapter_7 교육개혁에 관한 고찰 191
개혁안의 분석 198
교육개혁과 점진적 변화 202
교사와 교육개혁 213
교육과정의 결정권은 누구에게 있는가? 217
미국의 교육과정 결정 체계 222
개혁은 바람직한 것인가? 227
교육개혁: 찬성론자와 반대론자 231
개혁에 대한 대처방식 233
학교 교육과정 개혁의 현재와 미래 238
추가 권독서 247

Chapter_8 논의를 위한 사례들 251

참고문헌 31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