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조직의 가치와 목표 중심의) HRD 평가 (Loan 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태성 장지현, 저 백평구, 저
Title Statement
(조직의 가치와 목표 중심의) HRD 평가 = HRD evaluation / 김태성, 장지현, 백평구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박영story :   피와이메이트,   2019  
Physical Medium
ix, 265 p. : 삽화, 도표 ; 23 cm
ISBN
9791189643485
General Note
HRD = Human Resource Development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00407
005 20190926154440
007 ta
008 190926s2019 ulkad b 001c kor
020 ▼a 9791189643485 ▼g 93370
035 ▼a (KERIS)BIB000015111596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658.3 ▼2 23
085 ▼a 658.3 ▼2 DDCK
090 ▼a 658.3 ▼b 2019z2
100 1 ▼a 김태성 ▼0 AUTH(211009)5342
245 2 0 ▼a (조직의 가치와 목표 중심의) HRD 평가 = ▼x HRD evaluation / ▼d 김태성, ▼e 장지현, ▼e 백평구
260 ▼a 서울 : ▼b 박영story : ▼b 피와이메이트, ▼c 2019
300 ▼a ix, 265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0 ▼a HRD = Human Resource Development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장지현, ▼e▼0 AUTH(211009)99548
700 1 ▼a 백평구, ▼e▼0 AUTH(211009)73052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58.3 2019z2 Accession No. 111815307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4-21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1부 ‘HRD 평가 개요’에서는 HRD 및 HRD 평가에 대한 개관에 이어, 프로그램 중심의 시각에서 조직의 가치와 목표 중심의 전략적 시각으로 HRD 평가의 접근이 전환되어야함을 제시하였다. 2부 ‘HRD 평가의 이론적 토대’에서는 평가 실무와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이론과 모델들을 핵심 사항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3부 ‘HRD 평가의 분석적 토대’에서는 분석 설계, 데이터 수집, 양적.질적.통합적 및 관계망 분석 방법 등에 대해 분석 기술중심이 아닌 개념적 이해를 중심으로 설명하였고, 4부 ‘HRD 평가 프로세스’에서는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평가 실무를 계획, 실행, 종결, 소통의 프로세스로 상정하고 각 단계에서의 주요 사항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Does HRD matter? Prove it!

HRD 실천과 연구에 있어 전략적 역할과 책무성이 강조되고, 변화하는 기술적.사회적 환경에 발맞추어 혁신적인 제도와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실행 측면에서와 달리 HRD 평가의 현주소는 어제와 오늘이 크게 다르지 않고, 데이터와 분석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이의 활용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이러한 문제는 학문과 실천의 접목을 촉진하는 가이드의 부족 즉, HRD 평가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안내서의 부재에 큰 책임이 있다는 점에 저자들은 공감했다.

HRD 개론서의 일부 요소로 다루어지는 정도로는 HRD 평가와 관련한 폭넓은 내용을 다루기 어렵다. 통계분석 중심의 책들은 HRD평가의 맥락과는 거리가 있고 독자의 접근성 측면에서도 한계가 있다. 하지만 실천가나 연구자를 막론하고 HRD 평가에 대한 시각의 확장과 논의의 심화가 필요하고, 평가 이론과 방법론에 대해서도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리가 필요하다. 본서는 이러한 필요성과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실무 현장의 전문가나 HRD를 공부하는 대학(원)생 및 연구자를 위해 준비되었다.

본서는 총 5부로 구성되었다.
1부 ‘HRD 평가 개요’에서는 HRD 및 HRD 평가에 대한 개관에 이어, 프로그램 중심의 시각에서 조직의 가치와 목표 중심의 전략적 시각으로 HRD 평가의 접근이 전환되어야함을 제시하였다.
2부 ‘HRD 평가의 이론적 토대’에서는 평가 실무와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이론과 모델들을 핵심 사항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3부 ‘HRD 평가의 분석적 토대’에서는 분석 설계, 데이터 수집, 양적.질적.통합적 및 관계망 분석 방법 등에 대해 분석 기술중심이 아닌 개념적 이해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4부 ‘HRD 평가 프로세스’에서는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평가 실무를 계획, 실행, 종결, 소통의 프로세스로 상정하고 각 단계에서의 주요 사항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5부 ‘HRD 평가의 도전과 미래’에서는 당면한 과제뿐만 아니라 HRD 평가의 발전을 위한 보다 폭넓은 주제들을 다루었다. HRD 평가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원하는 독자는 전체에 걸친 정독을, 특정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이해나 활용이 필요한 독자는 해당 부분에 대한 열독을 권한다.

본서의 각 장은 학습 목표, 핵심 용어, 읽을거리, 학습내용, 논의, 참고문헌으로 구성되었다. 내용에 본격적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학습목표와 핵심 용어를 통해 장 전체를 개관하고, 학습이 끝나면 몇 가지 질문들에 대해 논의해 보도록 하였다. 또한, 해당 장과 관련하여 더욱 심도 있는 학습을 원하는 독자를 위해 읽을거리를 제공하였다. 과하지 않도록 한두 편의 논문이나 책을 제시하였으나, 여전히 미흡하다면 참고문헌의 자료들도 살펴보기 바란다.

참고로, 본서 전체에 걸쳐 ‘HRD’와 ‘인재.조직개발’은 동일한 개념으로 혼용되었다. HRD가 인적자원개발로 통용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나, 실제 HRD는 개인과 조직의 발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활동이므로 용어의 사용에 있어 이 두 요소에 동일한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유사한 맥락에서 ‘교육담당자’ 등의 용어 대신 ‘HRD 전문가’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맥락상 HRD 담당자 등의 용어가 일부 사용되었다). 교육담당자와 같은 표현은 HRD의 역할을 개인에 대한 교육적 개입 중심으로 제한하여 인식하게 하고, HRD 전문가의 지위를 ‘교육’ 관련 특정 업무를 부여받은 ‘담당자’로 격하시키는 결과로 이어진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인적자원개발을 넘어 인재와 조직의 개발로, 교육담당자를 넘어 HRD 전문가로 관점의 확장과 전환을 바라는 의도를 반영하였다.

본서의 집필이 가능하도록 학문적, 실무적으로 가르침을 주신 많은 분들과 출판을 도와주신 박영스토리에 감사드린다. 또한, 검토 과정에서 수고와 정성을 아끼지 않은 인천대학교 창의인재개발학과 임지은, 임혜경, 강지훈 석사과정생,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김근호 박사 과정생에게 특별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언제나 그렇듯이 가족들에게 사랑과 감사를 보낸다.

2019년 2월
저자 일동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백평구(지은이)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졸업 중앙대학교 인적자원개발 전공 박사 전 한국생산성본부 핵심역량센터 근무 전 현대오토에버(주) 인사팀 근무 전 중원대학교 경영학과 부교수 현재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조교수

김태성(지은이)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졸업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HRD/OD 전공 박사 전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World Campus Lecturer 전 삼정KPMG Learning & Development 센터 근무 전 크레듀 근무 현재 인천대학교 창의인재개발학과 교수

장지현(지은이)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인적자원개발 전공 박사 전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현재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겸임교수 현재 미래비즈니스아카데미 원장 현재 FMASSOCIATES BUSINESS CONSULTING 위원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제1부 HRD 평가 개요
제2부 HRD 평가의 이론적 토대
제3부 HRD 평가의 분석적 토대
제4부 HRD 평가 프로세스
제5부 HRD 평가의 도전과 미래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Schilling, Melissa A (2023)
Daniels, John D. (2022)
김진한 (2023)
神田昌典 (2022)
Farmer, J. Doyne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