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00297 | |
005 | 20190926173041 | |
007 | ta | |
008 | 190926s2019 ulk 000c kor | |
020 | ▼a 9788994655758 ▼g 0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1.26 ▼2 23 |
085 | ▼a 371.26 ▼2 DDCK | |
090 | ▼a 371.26 ▼b 2019z3 | |
100 | 1 | ▼a 김병룡 |
245 | 1 0 | ▼a 과정 중심 평가 : ▼b 역동적 평가로 실천하기 / ▼d 김병룡, ▼e 김형욱, ▼e 황의택 공 지음 |
246 | 1 | ▼a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효율적인 피드백의 계획부터 실행까지 |
260 | ▼a 서울 : ▼b 지식프레임, ▼c 2019 | |
300 | ▼a 208 p. ; ▼c 21 cm | |
700 | 1 | ▼a 김형욱, ▼e 저 |
700 | 1 | ▼a 황의택,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1.26 2019z3 | Accession No. 151347179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2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으로 ‘과정 중심 평가’가 도입되었다. 하지만 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혼란스럽기만 하다.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상이한 해석과 적지 않은 오해, 그리고 구체적인 실천 방법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과정 중심 평가의 기본 이해와 설명, 그리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법으로 ‘역동적 평가’를 제안한 책이다. 초등 교실 속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교과 지도 사례를 제시하며, 그동안 막연했던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과정 중심 평가,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학생들의 성장과 발달에 초점을 맞춘
역동적 평가로 과정 중심 평가 실천하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으로 ‘과정 중심 평가’가 도입되었다. 하지만 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혼란스럽기만 하다.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상이한 해석과 적지 않은 오해, 그리고 구체적인 실천 방법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과정 중심 평가는 도대체 무엇이고,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가? 교사는 과정 중심 평가를 실천하기 위해 어떤 역량을 갖춰야 하는가?
이 책은 과정 중심 평가의 기본 이해와 설명, 그리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법으로 ‘역동적 평가’를 제안한다. 초등 교실 속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교과 지도 사례를 제시하며, 그동안 막연했던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과정 중심 평가, 제대로 이해하기
교육과정, 수업, 평가, 기록이 함께 이루어지는 과정 중심 평가는 교사에게 많은 준비를 요구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구체적인 실천 방법은 여전히 미궁 속에 빠져 있다.
이 책은 먼저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2015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기본 이해, 학교 현장에서 혼란을 야기하는 여러 사례들의 오해와 진실, 그리고 과정 중심 평가를 제대로 실천하기 위한 교사들의 기본 준비 등을 학교 현장의 목소리로 생생하게 전달한다.
과정 중심 평가, 역동적 평가로 실천하기
역동적 평가란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과 그 결과에 있어서 교사와 학생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평가 방법이다. 이러한 역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교사는 학생에게 부족한 지원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도울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의 정보를 수집하고 해석하면서 학생 개개인에 맞는 맞춤 피드백을 제공하게 된다.
이 책은 과정 중심 평가를 실천하기 위한 방법으로 역동적 평가를 제안하는 이유, 역동적 평가에 대한 정의, 역동적 평가의 모든 실천 과정을 상세하게 안내한다. 계획과 실행, 결과 기록으로 이어지는 역동적 평가의 3단계와 평가의 대상이 되는 과제 분석, 효율적인 피드백 실천 방법으로서의 교수 적합화 등에 대한 설명이 실제 교과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학생의 성장을 돕는 정보 공유
역동적 평가에서는 학부모와 교사가 협력하여 학생의 정보를 공유하여 성장과 발달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학생의 평가 결과를 학부모에게 일방적으로 통보했던 기존과 달리, 역동적 평가에서는 학생의 학습 성향과 생활 태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교사와 학부모 간의 정보 공유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학생의 성장은 단지 현재의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미래로까지 이어져야 한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다음 학년 담임교사와의 학생 정보 공유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법과 실천 사례 또한 생생하게 담아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병룡(지은이)
강원도 광덕초등학교 선생님 이 책은 학교 현장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어려워하시는 많은 선생님들께 실용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고민으로부터 시작하였습니다. 과정 중심 평가를 어떻게 하면 잘 실천할 수 있을까를 고심하다가 역동적 평가를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 수업 사례와 이론을 정리하기 시작했고, 과정 중심 평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김형욱(지은이)
경기도 덕계초등학교 선생님 이 책은 학교 현장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어려워하시는 많은 선생님들께 실용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고민으로부터 시작하였습니다. 과정 중심 평가를 어떻게 하면 잘 실천할 수 있을까를 고심하다가 역동적 평가를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 수업 사례와 이론을 정리하기 시작했고, 과정 중심 평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황의택(지은이)
강원도 천전초등학교 선생님 이 책은 학교 현장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어려워하시는 많은 선생님들께 실용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고민으로부터 시작하였습니다. 과정 중심 평가를 어떻게 하면 잘 실천할 수 있을까를 고심하다가 역동적 평가를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 수업 사례와 이론을 정리하기 시작했고, 과정 중심 평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프롤로그 = 5 PART 1 과정 중심 평가의 도입 1 과정 중심 평가란 무엇인가? = 15 2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오해와 진실 = 19 3 과정 중심 평가 실천을 위한 준비 = 25 PART 2 역동적 평가의 이해 1 역동적 평가란 무엇인가? = 33 2 역동적 평가는 왜 필요한가? = 39 3 역동적 평가의 유형 = 49 4 역동적 평가의 과정 = 53 5 역동적 평가의 기록 = 59 PART 3 과제 분석과 교수 적합화 1 역동적 평가 실천을 위한 과제 분석 = 65 2 국어 교과 과제 분석의 예 = 69 3 수학 교과 과제 분석의 예 = 76 4 피드백 실천을 위한 교수 적합화 = 82 5 교수 적합화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 87 PART 4 역동적 평가 실천하기 1 역동적 평가의 3단계 = 101 2 역동적 평가 계획하기 = 109 3 역동적 평가 실행하기 = 136 4 역동적 평가 결과 기록하기 = 171 PART 5 학생의 성장과 발달 정보 공유 1 학부모와 정보 공유하기 = 181 2 다음 학년 담임교사와 정보 공유하기 = 192 에필로그 =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