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98716 | |
005 | 20190919112718 | |
007 | ta | |
008 | 190918s2014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99703560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3489660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5/.001 ▼2 23 |
085 | ▼a 375.001 ▼2 DDCK | |
090 | ▼a 375.001 ▼b 2014z1 | |
100 | 1 | ▼a Oliva, Peter F. ▼0 AUTH(211009)132022 |
245 | 1 0 | ▼a 최신 교육과정 개발론 / ▼d Peter F. Oliva 저 ; ▼e 강현석 [외]공역 |
246 | 1 9 | ▼a Developing the curriculum ▼g (7th ed.)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4 | |
300 | ▼a 813 p. ; ▼c 27 cm | |
500 | ▼a 공역자: 이원희, 유제순, 신영수, 이윤복, 전호재 | |
500 | ▼a 부록수록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0 | 0 | ▼a Curriculum planning ▼z United States |
650 | 0 | ▼a School supervision ▼z United States |
700 | 1 | ▼a 강현석, ▼e 역 ▼0 AUTH(211009)94962 |
700 | 1 | ▼a 이원희, ▼e 역 ▼0 AUTH(211009)75444 |
700 | 1 | ▼a 유제순, ▼e 역 ▼0 AUTH(211009)73908 |
700 | 1 | ▼a 신영수, ▼e 역 ▼0 AUTH(211009)131652 |
700 | 1 | ▼a 이윤복, ▼e 역 ▼0 AUTH(211009)141604 |
700 | 1 | ▼a 전호재, ▼e 역 ▼0 AUTH(211009)118771 |
900 | 1 0 | ▼a Kang, Hyeon-suk, ▼e 역 |
900 | 1 0 | ▼a Lee, Won-hee, ▼e 역 |
900 | 1 0 | ▼a Yoo, Je-soon, ▼e 역 |
900 | 1 0 | ▼a Shin, Young-su, ▼e 역 |
900 | 1 0 | ▼a Lee, Yun-bok, ▼e 역 |
900 | 1 0 | ▼a Jeon, Ho-jae, ▼e 역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001 2014z1 | 등록번호 11181502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07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Peter F. Oliva가 집필한 Developing the Curriculum(7판)을 우리말로 옮긴 이 책은 판수가 얘기해 주듯이 교육과정에 종사하는 연구자, 교사, 교육행정가, 학부모, 교육 종사자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 온 책이다. 판수를 거듭해 오면서 사회 변화에 맞추어 내용이 추가되었으며, 점차 교육과정 개발의 다양한 문제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2012년에는 Peter F. Oliva와 William R. Gordon Ⅱ가 공저로 8판을 출간하였으며, 7판에 없었던 디지털 교실 부분을 추가하였다.
저자는 이 책에서 교육과정 개발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종사자가 어떻게 협력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교육과정 개발 분야에서 우리가 중요하게 확인하고 인식해야 할 핵심적인 모습을 설명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특히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총결산의 성격을 띠는 종합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총 15개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절차에 따라 목차가 구성되어 있다. 실제 개발 절차에 다른 내용은 6장 ‘교육의 철학과 목적’에서 시작하며, 13장 ‘교육과정 평가’에서 끝이 난다. 5장까지는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저 지식으로서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련성, 교육과정 개발 원리, 교육과정 계획의 성격과 인적 요인의 역할,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대해 논의한다. 14장에서는 교육과정의 산물을 다루고, 15장에서는 교육과정 개발의 최근 이슈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은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계획, 교육과정 개선을 위해 공부하는 학부생, 대학원생, 교육과정 연구자들을 위해 집필되었다. 특히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예비 혹은 현직 교육과정 조정자, 교장, 교감, 교육과정 담당자, 교과부장, 학년부장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 책은 이들 전문가에게 유용한 정보와 제안을 다루고 있으며 추가로 실제 학교의 많은 사례를 제공하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Peter F. Oliva(지은이)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와 Georgia Southern University에서 교수와 학과장을 지냈다. 교육 관련 저널의 유명 논문의 저자로 참여하거나 저명한 저서를 출간하였으며 Supervision for Today’s Schools(8판)의 저자로도 유명하다. 수년간 고등학교 교사와 상담자로도 근무하였다.
이원희(옮긴이)
경북대학교에서 교육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위스콘신 오클레어 대학에서 연구한 바 있다. 안동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대구교육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초등교육학회장, 한국교육과정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강현석(옮긴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 박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Post-Doc. Fellow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선임연구원 역임 (전)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장 (현) 한국교육과정학회장
유제순(옮긴이)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 졸업 경북대 대학원 교육과정 전공 교육학 박사 청주교대 연수원장겸 교직부장 역임 현 청주교대 초등교육과 교수
신영수(옮긴이)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 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강사
이윤복(옮긴이)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 졸업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외래 교수 역임 현재 대전 동명초등학교 교사 주요 저서: ‘최신 교육과정 개발론’
전호재(옮긴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졸업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졸업(교육과정 및 공학 전공)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 졸업(교육과정 및 방법 전공)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연구원 청주대학교 교직과 교수(현재)

목차
역자서문 저자서문 제1부 교육과정: 이론적 차원 제1장 교육과정과 수업의 정의 제2장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제2부 교육과정 개발: 교직원의 역할 제3장 교육과정 계획: 여러 수준과 영역이 어우러지는 과정 제4장 교육과정 계획: 인간 요소의 차원 제3부 교육과정 개발: 과정의 요소 제5장 교육과정 개발 모형 제6장 교육의 철학과 목적 제7장 요구사정 제8장 교육과정 목적과 목표 제9장 교육과정 조직과 실행 제10장 수업 목표와 명세목표 제11장 수업 전략 선택과 실행 제12장 수업평가 제13장 교육과정 평가 제4부 교육과정 개발: 산물과 이슈 제14장 교육과정의 선물 제15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슈 부록 인용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