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98453 | |
005 | 20190917154232 | |
007 | ta | |
008 | 190917s2019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92475846 ▼g 93070 | |
035 | ▼a (KERIS)BIB000015099953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92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006.754 ▼2 23 |
085 | ▼a 006.754 ▼2 DDCK | |
090 | ▼a 006.754 ▼b 2019 | |
100 | 1 | ▼a Hansen, Derek L. |
245 | 1 0 | ▼a 노드엑셀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분석 : ▼b 빅데이터와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이론 - NodeXL 분석론 / ▼d Derek L. Hansen, ▼e Ben Shneiderman, ▼e Marc A. Smith ; ▼e 권상희 옮김 |
246 | 1 9 | ▼a Analyzing social media networks with NodeXL : ▼b insights from a connected world |
260 | ▼a [서울] : ▼b 컴원미디어, ▼c 2019 | |
300 | ▼a 480 p. : ▼b 삽화(주로천연색), 도표 ; ▼c 26 cm | |
504 | ▼a 각 장마다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30 | 0 0 | ▼a NodeXL |
650 | 0 | ▼a Data mining ▼x Computer programs |
650 | 0 | ▼a Information visualization ▼x Computer programs |
650 | 0 | ▼a Webometrics ▼x Computer programs |
650 | 0 | ▼a Online social networks |
653 | ▼a 멀티미디어시스템 ▼a 데이터마이닝 ▼a 소셜미디어네트워크 ▼a NodeXL ▼a 노드엑셀 | |
700 | 1 | ▼a Schneiderman, Ben, ▼e 저 |
700 | 1 | ▼a Smith, Marc A., ▼d 1965-, ▼e 저 |
700 | 1 | ▼a 권상희, ▼e 역 |
900 | 1 0 | ▼a 한센, 데렉 L., ▼e 저 |
900 | 1 0 | ▼a 슈나이더만, 벤, ▼e 저 |
900 | 1 0 | ▼a 스미스, 마크 A.,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신착 | 청구기호 006.754 2019 | 등록번호 13105375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 청구기호 006.754 2019 | 등록번호 1513529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신착 | 청구기호 006.754 2019 | 등록번호 13105375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 청구기호 006.754 2019 | 등록번호 1513529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빅데이터와 소셜 네트워크 분석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에게 노드엑셀(NodeXL)을 소개하는 입문서. 소셜 네트워크의 세부 장르별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을 통하여 실제 사례를 적용하여 응용할 수 있는 사례로 구성하였다. 특히, 노드엑셀을 처음으로 사용하는 초보자를 위해 노드엑셀 개념, 설치, 이론, 실습방법을 단계적으로 구성하여 초보에서 응용까지 할 수 있게 하였다.
빅데이터와 소셜 네트워크 분석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에게
노드엑셀(NodeXL)을 소개하는 최고의 입문서!
이 책을 통해 소셜 미디어와 빅데이터 시대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데이터를 수집, 분석, 시각화할 수 있다. 이 책의 1장-3장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 이론을 간략히 소개하고 4장-7장은 노드엑셀 사용에 관한 튜토리얼(교습)을 바탕으로 노드엑셀 설치와 시작방법을 통하여 노드엑셀의 메뉴별 기능과 사용법을 소개하고 있다. 8장-15장은 다양한 소셜 미디어의 분석방법을 다루는 장으로 데이터 다운로드와 분석방법을 실제 데이터로 쉽게 설명하고 있다.
사례로 다루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장르는 이메일(E-mail) 스레드메일(Thread mail) 네트워크, 트위터(Twitter), 페이스북(Facebook), 웹(Web, 하이퍼링크 네트워크), 플리커(Flickr), 유튜브(YouTube), 위키(Wiki) 등으로, 소셜 미디어의 데이터 수집과 분석사례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소셜 네트워크의 세부 장르별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을 통하여 실제 사례를 적용하여 응용할 수 있는 사례로 구성하였다. 특히, 노드엑셀을 처음으로 사용하는 초보자를 위해 노드엑셀 개념, 설치, 이론, 실습방법을 단계적으로 구성하여 초보에서 응용까지 할 수 있게 하였다. 아 책을 통하여 기본이론을 학습하고 프로그램을 쉽게 익혀서 소셜 미디어의 빅데이터와 소셜 미디어 텍스트 분석, 미디어 마케팅, 문화소비 등에 자신의 사례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벤 슈나이더만(지은이)
메릴랜드 대학교의 컴퓨터 과학과 교수로(1983 ~ 2000), 휴먼 컴퓨터 인터랙션 랩(www.cs.umd.edu/)의 창립자이다(www.cs.umd.edu/~ben). ≪Leonardo’ Laptop : Human Value and the New Computing Technologies≫(2002, MIT Press) 등을 출간하여 IEEE 도서 상을 수상했다.
마크 스미스(지은이)
사회학자로 컴퓨터를 매개로 하는 상호작용과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회 조직화 전문가이다. 그는 엑셀 스프레드시트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능을 갖춘 무료 NodeXL 프로젝트(www.codeplex.com/nodexl)에 참여하고 있으며, 설명서는 책으로도 발간되었으며,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http://casci.umd.edu/NodeXL_Teaching).마크 스미스는 필라델피아 드렉셀 대학교에서 국제지역학을 전공하였고, 캠브리지대에서 사회이론으로 석사를 마치고, UCLA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데렉 한센(지은이)
메릴랜드 대학교 iSchool의 교수이자 커뮤니티와 정보의 진화 연구센터의 관리자이다(http://casci.umd.edu). 한센 박사는 미시간 대학교 정보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소비자 건강 정보, 온라인 커뮤니티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으로 의료, 과학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를 중심으로 “목록 추천 시스템” 및 “소셜 네트워킹의 특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권상희(옮긴이)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과 고급 커뮤니케이션 통계분석론을 강의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 미디어이론을 연구하고, 빅(big)데이터, 소셜 미디어, AI, 미디어이론에 관심을 두고 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학사, 캘리포니아 주립대 Radio-Television-Film학과에서 석사, 남일리노이 대에서 Mass Communication & Media Arts로 박사를 마쳤다. (주)삼성전자 홍보실과 아칸사스 주립대 신문방송학과에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캠브리지 대에서 연구년을 보냈다. 역서로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이론>, <디지털 시대 미디어 임팩트>, <미디어의 경쟁과 공존>, <아나운싱 : 디지털시대 방송 커뮤니케이션>과 저서로 <컨버전스와 미디어의 세계>, <디지털 문화론>이 있다. 주요 연구로 상호작용 차원연구, 미디어 적소연구, 인터넷 미디어 뉴스형식 연구, 인터넷 발달 보도 프레임 연구, 뉴 할리우드 영화의 포스트모더니즘 연구, 인터넷 광고 효과 모형, 온라인 저널리즘 기사구성방식 비교, 뉴 미디어시대 방송, 통신 융합 연구, 생명공학 보도경향 연구 등이 있다.

목차
목차 Part 1 소셜 미디어 분석을 위한 소개 제1장 소셜 미디어 및 소셜 네트워크 소개 1.1. 들어가기 = 21 1.2. 역사적 관점 = 22 1.3. 소비자 적용 관점으로 본 소셜 미디어의 성장 = 23 1.4. 개인 기부가 공공 재산을 창출 = 24 1.5. 누가 이 책을 읽어야 하는가 = 26 1.6. 소셜 미디어를 민족 복지에 적용 = 26 1.7. 세계적인 노력 = 29 1.8. 실무요약 = 31 1.9. 연구의제 = 31 참고문헌 = 33 추가자료 = 33 제2장 소셜 미디어 : 집단 협업의 새로운 기술 2.1. 들어가기 = 35 2.2. 소셜 미디어의 정의 = 36 2.3. 소셜 미디어 디자인 프레임워크 = 37 2.4. 소셜 미디어 사례 = 47 2.5. 실무요약 = 68 2.6. 연구의제 = 69 참고문헌 = 70 추가자료 = 71 제3장 소셜 네트워크 분석 : 측정, 시각화, 모형도출 3.1. 소셜 네트워크 분석이란? = 72 3.2. 네트워크 관점 = 73 3.3. 네트워크의 유형들 = 77 3.4. 네트워크 분석결과와 실행자의 관점 = 79 3.5. 네트워크 분석 지표 = 80 3.6. 풍부한 연산 시대의 소셜 네트워크 = 81 3.7. 풍부한 소셜 네트워크의 시대 : 데스크에서 모바일로 = 82 3.8. 네트워크 분석의 도구 = 82 3.9. 소셜 네트워크의 시각적 표현 = 83 3.10. 소셜 미디어에 적용되는 일반적 네트워크 = 83 3.11. 실무요약 = 84 3.12. 연구의제 = 85 참고문헌 = 86 Part 2 NodeXL 튜토리얼 : 실습 학습 제4장 NodeXL 시작 : 레이아웃, 디자인, 라벨링 4.1. 들어가기 = 91 4.2. NodeXL 다운받기와 설치하기 = 93 4.3. NodeXL 실행하기 = 94 4.4. 레이아웃 : 그래프 창에서 꼭짓점(Vertex) 정렬하기 = 98 4.5. 비주얼 디자인 :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의미 있게 만들기 = 102 4.6. 레이블링 : Vertex 및 Edge에 텍스트 레이블(Label)을 추가하기 = 107 4.7. 실무요약 = 111 4.8. 연구의제 = 112 참고문헌 = 113 추가자료 = 114 제5장 네트워크 메트릭스의 계산과 시각화 5.1. 들어가기 = 115 5.2. Kite 네트워크 예시 = 116 5.3. 그래프 Metrics 계산 = 117 5.4. 레미제라블 동시출현 네트워크 = 124 5.5. 실무요약 = 130 5.6. 연구의제 = 131 참고문헌 = 132 제6장 데이터 준비와 필터링 6.1. 들어가기 = 133 6.2. SeriousEats 네트워크의 예 = 134 6.3. 중요한 특징을 보여주고 클러터를 줄이기 위한 필터링 = 140 6.4. 합성 = 150 6.5. 실무요약 = 151 6.6. 연구의제 = 151 참고문헌 = 152 제7장 클러스터링 및 그룹핑 7.1. 들어가기 = 154 7.2. 2007년 미국 상원의원 투표 분석 = 155 7.3. 레미제라블의 캐릭터 클러스터 = 164 7.4. FCC 로비 연합체 네트워크 = 164 7.5. 실무요약 = 169 7.6. 연구의제 = 170 참고문헌 = 171 추가자료 = 171 Part 3 SNS 사례분석 제8장 이메일(E-mail) : 오늘날 커뮤니케이션의 일상요소 8.1. 들어가기 = 175 8.2. 이메일의 정의와 역사 = 177 8.3. 이메일 네트워크 = 179 8.4. 이메일 네트워크 분석은 어떠한 질문들에 답할 수 있을까? = 181 8.5. 이메일 자료 사용하기 = 184 8.6. 노드엑셀에 있는 이메일 자료 정리하기 = 191 8.7. 개인 이메일 네트워크 분석하기 = 195 8.8. 조직 이메일 네트워크를 통해서 현재 사용되는 조직도 만들기 = 202 8.9. (엔론)이메일의 역사적 그리고 법리적 분석 = 208 8.10. 실무요약 = 211 8.11. 연구의제 = 212 참고문헌 = 213 제9장 스레드(Thread) 네트워크 : 매핑메시지보드와 이메일 리스트 9.1. 들어가기 = 215 9.2. Threaded 대화의 역사와 정의 = 216 9.3. 어떤 질문을 할 수 있는가? = 220 9.4. Threaded 대화 네트워크 = 221 9.5. 기술 지원 이메일 리스트 분석 : CCS-D = 224 9.6. ABC-D 이메일 리스트에 대한 새로운 커뮤니티 관리자 찾기 = 232 9.7. RAVELRY 그룹 이해하기 = 235 9.8. 실무요약 = 238 9.9. 연구의제 = 239 참고문헌 = 240 제10장 트위터(Twitter) : 대화, 오락, 정보를 하나의 네트워크에 통합한 플랫폼 10.1. 들어가기 = 242 10.2. 트위터의 너트와 볼트 = 246 10.3. 트위터의 네트워크 = 252 10.4. 데이터 수집 = 257 10.5. 트위터로 검색 = 262 10.6. 실무요약 = 280 10.7. 연구의제 = 281 참고문헌 = 282 추가자료 = 282 제11장 페이스북(Facebook) 네트워크의 시각화 및 해석 11.1. 페이스북 소개 : 세계의 소셜 그래프 = 284 11.2. 페이스북의 역사 = 286 11.3. 페이스북 네트워크를 매핑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88 11.4. 페이스북 우정 네트워크는 어떤 종류의 네트워크인가? = 289 11.5. 데이터를 노드엑셀로 가져오기 = 290 11.6. 기본 페이스북 시각화 만들기 = 295 11.7. 정렬된 및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와 속성 = 296 11.8. Friend wheel에서 Pinwheel로 : 페이스북을 통한 노드엑셀 시각화 = 306 11.9. 실무요약 = 312 11.10. 연구의제 = 313 참고문헌 = 314 추가자료 = 315 제12장 웹(Web) : 하이퍼링크 네트워크 12.1. 들어가기 = 316 12.2. 하이퍼링크 네트워크 = 318 12.3. 보손 데이터 제공자 = 322 12.4. 예 1 나의 조직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사람은 누구인가? = 323 12.5. 예 2 분야/산업/부문의 하이퍼링크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 337 12.6. 블로그, 임시 변경 사항 및 네트워크 흐름 = 340 12.7. 실무요약 = 342 12.8. 연구의제 = 342 참고문헌 = 344 제13장 플리커(Flickr) : 사람, 사진, 태그의 연결 13.1. 들어가기 = 346 13.2. 플리커 소셜 미디어 = 347 13.3. 플리커 네트워크 = 354 13.4. 플리커 네트워크를 분석함으로써 어떠한 질문들이 답변이 될 수 있을까? = 358 13.5. 노드엑셀에 플리커 자료 가져오기 = 360 13.6. 플리커 자료를 사용하는 것 = 364 13.7. 노드엑셀을 사용하여 플리커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것 = 365 13.8. 실무요약 = 377 13.9. 연구의제 = 380 참고문헌 = 383 제14장 유튜브(YouTube) : 컨텐츠, 인터렉션, 유명세의 대조적 패턴 14.1. 들어가기 = 385 14.2. 유튜브란 무엇인가? = 386 14.3. 유튜브의 구조 = 388 14.4. 유튜브 네트워크 = 391 14.5. 중심, 그룹, 층 : 유튜브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은 어떤 질문에 답할 수 있는가? = 392 14.6. 노드엑셀에 유튜브의 데이터 가져오기 = 395 14.7. 유튜브 네트워크 데이터에 대한 준비 = 399 14.8. 유튜브 네트워크에 대한 분석 = 400 14.9. 실무요약 = 420 14.10. 연구의제 = 421 참고문헌 = 422 제15장 위키(Wiki) 네트워크 : 창조성과 협업의 연결성 15.1. 들어가기 = 423 15.2. 위키시스템의 주요 특징들 = 426 15.3. 편집활동으로부터의 위키 네트워크 = 432 15.4. 위키 프로젝트내에서 다른 유형의 편집자를 식별하기 = 435 15.5. 특정 사용자 유형을 보이기 위한 노드엑셀 시각화 전략 = 441 15.6. 문서 토론 페이지에서 양질의 공헌자 찾기 = 449 15.7. 로스트피디아 돌아다니기 : 노드엑셀을 사용하여 위키시스템의 큰 규모의 협력적 구조 나타내기 = 455 15.8. 위키시스템으로부터의 데이터 수집 = 462 15.9. 실무요약 = 464 15.10. 연구의제 = 465 참고문헌 = 467 색인 = 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