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민주주의와 민주화

민주주의와 민주화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웅진 김지희, 金志姬, 1967-, 저
Title Statement
민주주의와 민주화 / 김웅진, 김지희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신서원,   2018  
Physical Medium
2책 : 삽화, 도표 ; 24 cm
Series Statement
近現代 韓國知性史大系 叢書 ;1-2
ISBN
9788979402902 (v.1) 9788979402919 (v.2) 9788979402896 (세트)
Content Notes
1. 자주적 근대화와 저항의 담론 / 김웅진 지음 (290 p.) -- 2. 민주주의 담론의 경험과학적 내용분석 / 김지희 지음 (321 p.)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 부록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98356
005 20231122094048
007 ta
008 190916s2018 ulkad b 001c kor
020 ▼a 9788979402902 (v.1) ▼g 94910
020 ▼a 9788979402919 (v.2) ▼g 94910
020 1 ▼a 9788979402896 (세트)
035 ▼a (KERIS)BIB000014972689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321.809519 ▼2 23
085 ▼a 321.80953 ▼2 DDCK
090 ▼a 321.80953 ▼b 2018z2
100 1 ▼a 김웅진 ▼0 AUTH(211009)144159
245 1 0 ▼a 민주주의와 민주화 / ▼d 김웅진, ▼e 김지희 지음
260 ▼a 서울 : ▼b 신서원, ▼c 2018
300 ▼a 2책 : ▼b 삽화, 도표 ; ▼c 24 cm
490 1 0 ▼a 近現代 韓國知性史大系 叢書 ; ▼v 1-2
504 ▼a 참고문헌과 색인, 부록수록
505 0 0 ▼n 1. ▼t 자주적 근대화와 저항의 담론 / ▼d 김웅진 지음 ▼g (290 p.) -- ▼n 2. ▼t 민주주의 담론의 경험과학적 내용분석 / ▼d 김지희 지음 ▼g (321 p.)
536 ▼a 이 저서는 2013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진흥사업단)의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AKS-2013-KFR-1230002)
700 1 ▼a 김지희, ▼g 金志姬, ▼d 1967-, ▼e▼0 AUTH(211009)16891
830 0 ▼a 근현대 한국지성사대계 총서 ; ▼v 1-2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1.80953 2018z2 1 Accession No. 1118149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1.80953 2018z2 2 Accession No. 11181496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1.80953 2018z2 2 Accession No. 11188886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학 분야 토대연구 지원사업의 성과로서 출간된 8종의 근현대 한국 지성사대계 총서 중 1권이다. 본서는 우리 근현대 지성사 속에서 진행된 민주주의 담론의 주체, 목표와 맥락을 개항기, 일제 강점기, 그리고 현대 한국이라는 역사적 구간 속에서 추적함으로써 한국의 정치지형 위에서 고유한 민주주의관과 민주주의 개념이 어떻게 구축되었고, 또 어떻게 변용(變容)되었는가를 현대 정치학의 경험과학적 연구방법론과 이론에 따라 탐색하였다.

지난 수 세기에 걸쳐 형성된 구미 정치사의 궤적 속에서 이념적 ․ 실천적 원리뿐만 아니라 제도적 설계가 완성된 민주주의는 오늘날에 이르러 가장 이상적인 정치질서의 원형(原型)으로 간주된다. 그렇다면 근현대 한국정치사, 한국지성사의 전개과정에서 민주주의는 어떤 의미를 획득했으며, 우리의 선구적 정치지성들은 개화기, 일제 강점기와 현대 한국의 정치지형 위에서 무엇을 위해 민주주의를 논의했는가?

현대 한국사회에서 민주주의는 지극히 당연한 정치이념이자 정치질서로서 수용되고 있다. 또한 지난 30년에 걸쳐 이루어진 절차적 민주주의(procedural democracy)의 성공적 정착과정은 현대 한국의 정치사 역시 구미의 근현대 정치사와 크게 다르지 않은 민주화의 역사였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한국의 민주화는 어디까지나 고유한 한국적 정치지형 위에서 이루어졌으며, 따라서 민주주의를 ‘한국적으로 길들이는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즉, 시민과 권력집단 간의 정치적 협약을 바탕으로 한 민주주의 정치질서는 기제와 절차의 측면에서는 상당한 보편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그러한 정치질서를 운용하는 목적과 양상은 국가에 따라, 사회에 따라 역사문화적인 특수성을 담지하고 있다. 우리 민주주의 정치질서 또한 개항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정치체계가 직면해 온 수많은 도전을 우리 나름의 방식으로 수용하기 위해 선택된 정치적 대안이었음이 분명하다.

지성사가 인류사회에 대한 정치경제적 ․ 사회문화적 도전을 극복하기 위한 지적 성찰의 역사라 할 때, 민주주의는 지성사 연구의 핵심적 주제가 될 수밖에 없다. 한국의 민주주의도 마찬가지이다. 민주주의는 한국 사회가 당면해 온 다양한 정치적 위기와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이념적 ․ 실천적 담론의 개념적 축으로 자리 잡았으며, 따라서 근현대 한국지성사 연구가 반드시 다루어야 할 영역이라 단언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한국은 “제3의 민주화 물결” 속에서 체제전환(regime transformation)에 성공한 대표적 사례로 간주된다. 그러나 그 경로는 민주화를 열망한 시민사회와 억압적 국가권력 간의 끊임없는 갈등과 대립으로 인해 진전과 퇴행이 반복되고 교차되는 길이었다. 또한 한국의 민주화는 결코 현대 한국의 정치지형 위에서 단기간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지난 한 세기 반을 통해 축적된 체제전환의 동력이 빚어낸 소산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환의 동력은 변화를 거듭한 한국의 정치지형 위에서 민주주의 담론과 실천을 주도해 온 우리 정치지성들의 지적 성찰과 대중동원에 힘입어 유지되어 왔다. 따라서 한국 민주주의 담론의 역사, 민주주의 담론을 중심으로 전개된 근현대 한국지성사는 곧 정치적 민주화의 역사인 것이다.

본서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한국학 분야 토대연구 지원사업의 성과로서 출간된 8종의 근현대 한국 지성사대계 총서 중 1권이다.

본서는 우리 근현대 지성사 속에서 진행된 민주주의 담론의 주체, 목표와 맥락을 개항기, 일제 강점기, 그리고 현대 한국이라는 역사적 구간 속에서 추적함으로써 한국의 정치지형 위에서 고유한 민주주의관과 민주주의 개념이 어떻게 구축되었고, 또 어떻게 변용(變容)되었는가를 현대 정치학의 경험과학적 연구방법론과 이론에 따라 탐색하였다.

본서는 근현대 한국 지성사 연구뿐만 아니라, 근현대 한국의 정치적·사회적 변동양상에 관한 광범위한 인문사회과학 연구의 기반자료 및 한국학 관련 교재나 학술자료로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웅진(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82년 미국 신시내티 대학교(University of Cincinnati)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분야는 정치학연구방법론과 사회과학철학이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영국 엑시터 대학교(University of Exeter)와 프랑스 보르도 소재 국립정치대학(시앙스포 보르도, Sciences Po Bordeaux)에서 각각 리버흄 펠로우(Leverhulme Fellow)와 객원교수로서 학부 강의를 담당했으며, 한국정치학회 연구이사 및 편집이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정치행정언론대학원 원장을 역임했다. <인과모형의 설계: 사회과학적 접근>(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1)과 <과학패권과 과학민주주의>(서강대학교출판부, 2009) 등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저서≫로 지정된 두 권의 책을 포함해 총 11종의 단독저서를 출간했고, 역시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정치학연구방법론: 경험과학연구의 규준과 설계>(명지사, 2005), <현대정치학의 방법론적 성찰>(인간사랑, 2018) 등 총 26종의 공동저서를 출간한 바 있다. 또한 "사회과학지식의 방법론적 인증: 경험적 인식의 선험적 정당화"(<국제정치논총> 54집 4호, 2014), "방법론의 이론 종속성과 이론의 방법론 종속성: 연구방법론의 聖化와 지식의 化石化"(<한국정치학회보> 27집 2호, 1993) 등 수십 편의 연구논문을 주요 학술지에 게재했다. 2018년 8월 31일에 33년 6개월간의 교수 생활을 마무리하고 퇴임할 예정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v.2]
『근현대 한국지성사대계 총서』를 출간하며
머리글

서론 지성사 연구, 민주주의 담론과 경험과학적 내용분석
제1장 지성사 연구에 있어서 경험과학적 내용분석의 의의
 1. 지성사 연구: 담론구조와 맥락의 탐색
 2. 경험과학적 내용분석의 방법론적 효용성
 3. 민주주의 담론의 경험과학적 내용분석 - 지성사적 함의
제2장 민주주의: 개념적 지칭성과 경계
 1.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
 2. 민주주의 개념의 정의: 최대정의적 관점과 최소정의적 관점
 3. 민주주의 담론: 범주와 주체의 설정
제3장 연구설계: 경험과학적 내용분석의 구도, 대상과 기법
 1. 분석구도
 2. 분석대상: 문헌표본
 3. 분석기법: 〈워드 클라우드〉와 〈입체원도표〉

제1부 『서유견문』: 유길준의 문명개화 담론
제1장 개화기 조선에 있어서 민주주의: 전통성과 근대성의 선택적 결합
제2장 한국 민주주의 담론의 전개과정에 있어서 유길준의 위상
제3장 유길준의 민주주의관: 기존 연구의 시각과 맥락
 1. 정치체제의 개혁: ‘임금과 국민이 함께 다스리는 정치체제’
 2. 민주주의 이념과 정치질서
  1) 국민의 권리로서의 자유와 통의(通義)
  2) 권리와 법, 시민적 자유, 자주적 개인
  3) 평등
  4) 법치
 3. 근대국제질서로의 편입: 국가주권으로서의 자주와 평등
제4장 『서유견문』을 통해 본 유길준의 민주주의: 경험과학적 내용분석
 1. 범주정의: 일반사전 구축과 분석단위 선정
 2. 민주주의 인식의 표본별 양상과 특성
  1) 제5편-1 「정부의 시초」
  2) 제5편-2 「정부의 종류와 제도」
  3) 제4편 「국민의 권리」
  4) 제3편 「나라의 권리」
제5장 유길준의 민주주의 인식구도: 구조적 특성과 맥락별 중요성

제2부 『조선문명사』: 안확의 진화 담론
제1장 식민지배에 대한 저항과 타협
제2장 한국 민주주의 담론의 전개과정에 있어서 안확의 위상
제3장 안확의 민주주의관: 기존 연구의 시각과 맥락
 1. 조선정치사에 내재된 보편적 근대성
 2. 한국의 전통적 정치질서와 근대적 민주주의 정치질서의 상응성
  1) 민권의 향상
  2) 군주권의 통제
  3) 붕당: 정치적 근대성의 표상
 3. 민족적 자주성의 기반으로서 조선정치의 민주주의적 성격
 4. 일제 식민통치에 대한 사상적 대항기제로서의 민주주의
제4장 『조선문명사』를 통해 본 안확의 민주주의: 경험과학적 내용분석
 1. 범주정의: 일반사전 구축과 분석단위 선정
 2. 민주주의 인식의 표본별 양상과 특성
  1) 제1장 「서언」
  2) 제6장-1 민권의 발달과 군권의 제한
  3) 제6장-2 정당, 당파, 그리고 정치적 진화
  4) 제6장-3 자치제
  5) 제6장-4 국제관계와 외교
제5장 안확의 민주주의 인식구도: 구조적 특성과 맥락별 중요성

제3부 『사상계』와 『씨알의 소리』: 장준하와 함석헌의 저항 민주주의 담론
제1장 현대 한국의 반독재 저항운동
제2장 한국 민주주의 담론의 전개과정에 있어서 장준하와 함석헌의 위상
제3장 『사상계』를 통해 본 장준하의 민주주의: 경험과학적 내용분석
 1. 기존 연구의 시각과 맥락
 2. 경험과학적 내용분석
  1) 범주정의
  2) 민주주의 인식의 시기별 양상과 특성
 3. 장준하의 민주주의 인식구도: 구조적 특성과 맥락의 시기별 중요성
제4장 『사상계』와 『씨알의 소리』를 통해 본 함석헌의 민주주의: 경험과학적 내용분석
 1. 기존 연구의 시각과 맥락
  1) 민중, 씨알, 그리고 민주주의
  2) 정치적 주체로서의 민중, 전체로서의 민중과 민주주의
  3) 민중의 계몽과 지식인의 역할
  4) 민중의 자주, 민중의 자치, 그리고 저항의 민주주의
  5) 민족주의, 반공주의와 근대화
 2. 경험과학적 내용분석
  1) 범주정의
  2) 민주주의 유형별 인식의 양상과 특성
 3. 함석헌의 민주주의 인식구도: 구조적 특성과 맥락의 시기별 중요성

결론 한국적 민주주의관의 편향성: 절차적 민주주의로의 경도

부록
참고문헌
색인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