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생체권력의 사상

생체권력의 사상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大澤眞幸, 1958- 김선화, 역
서명 / 저자사항
생체권력의 사상 / 오사와 마사치 지음 ; 김선화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형태사항
xv, 269 p. ; 19 cm
원표제
事件から読み解く現代社会の転換
ISBN
9791128814228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65-269
일반주제명
Social history Power (Social sciences) --History --20th century
주제명(지명)
Japan --Social conditions --1989-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98250
005 20190911154753
007 ta
008 190910s2019 ulk b 000c kor
020 ▼a 9791128814228 ▼g 93300
035 ▼a (KERIS)BIB000015377266
040 ▼a 246009 ▼c 246009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301.0952 ▼2 23
085 ▼a 301.0952 ▼2 DDCK
090 ▼a 301.0952 ▼b 2019
100 1 ▼a 大澤眞幸, ▼d 1958- ▼0 AUTH(211009)44471
245 1 0 ▼a 생체권력의 사상 / ▼d 오사와 마사치 지음 ; ▼e 김선화 옮김
246 1 9 ▼a 事件から読み解く現代社会の転換
246 3 ▼a Seikenryoku no shisō : ▼b jiken kara yomitoku gendai shakai no tenkan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9
300 ▼a xv, 269 p. ; ▼c 19 cm
504 ▼a 참고문헌: p. 265-269
650 0 ▼a Social history
650 0 ▼a Power (Social sciences) ▼x History ▼y 20th century
651 0 ▼a Japan ▼x Social conditions ▼y 1989-
700 1 ▼a 김선화, ▼e▼0 AUTH(211009)46694
900 1 0 ▼a 오사와 마사치, ▼e
900 1 0 ▼a Ōsawa, Masachi,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952 2019 등록번호 1118149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근대적 인간상이 변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개인 정보가 오히려 나를 규정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나에 동일화되기를 재촉한다. 타자의 시선을 감옥으로 느끼면서 동시에 타인의 시선의 부재를 못 견뎌하는 양면성을 우리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저자는 일본의 몇 가지 특이한 범죄사건을 매개로 현대 일본 사회의 특징을 분석한다. 현대 한국 사회의 밑바탕에는 대체 어떤 권력과 욕망이 자리 잡고 있는지, 그것에 저항하기 위한 자유의 거점은 어디에 있는지 해답을 찾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큰 울림을 줄 것이다.

생체권력이란 미셸 푸코가 제창한 개념으로 고전시대의 ‘죽이는 권력’에 대응하여 ‘살리는 권력’으로서 근대 권력을 의미한다. 신민의 생을 장악하여 반대자를 살해하는 군주의 ‘죽이는 권력’이 근대사회에서는 노동자, 납세자로서의 시민을 ‘살리는 권력’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패놉티콘으로 상징되는 근대의 생체권력은 ‘보여지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불안을 매개로 자기반성 혹은 자기검열을 촉진해 개인을 사회적 규율에 따르도록 강제한다. 이 결과 규율화된 유순한 근대적 인간이 탄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규율화된 신체화로 대변되던 근대적 인간상이 변화하고 있다고 저자는 진단한다. 오늘날 정보사회에서는 예컨대 일상적으로 늘 접하는 감시카메라나 휴대전화의 위치 정보, 인터넷 검색 이력 등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개인 정보가 오히려 나를 규정짓고 데이터베이스화된 나에 동일화되기를 재촉한다. 개인 정보들의 과잉으로 둘러싸인 환경에서 인간은 ‘보여지고 있을지도 모른다’라는 불안에서 ‘보여지지 않고 있을지도 모른다’ 라는 불안으로 반전해 가고 있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지극히 개인적인 일기풍의 사생활을 낱낱이 공개하는 블로그나 자신의 실생활을 그대로 노출하는 1인 유튜버들, 잠시도 휴대전화를 가만두지 못하고 상대의 댓글이나 즉답을 기다리는 카톡 등은 이러한 ‘보여지지 않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불안을 반영하는 현대의 대표적인 사회 현상이다. 타자의 시선을 감옥으로 느끼면서 동시에 타인의 시선의 부재를 못 견뎌하는 이 양면성을 우리는 어떻게 이해해야 되는가? 이 책의 원서에는 ‘사건으로 해독하는 일본 사회의 전환’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즉 이 책에서 저자는 일본에서 발생한 몇 가지 특이한 범죄사건을 매개로 현대 일본 사회의 특징을 분석하고 있는 것이다. 묻지마 살인, 사이코패스 범죄, 피어싱이나 리스트 컷 등의 자해가 점점 만연해 가고 있는 현대 한국 사회의 밑바탕에는 대체 어떤 권력과 욕망이 자리 잡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에 저항하기 위한 자유의 거점은 어디에 있는지 해답을 찾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큰 울림을 줄 것이라고 감히 확신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오사와 마사치(지은이)

1958년생. 도쿄대학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지바(千葉)대학 문학부 조교수, 교토대학 대학원 인간 ·환경학 연구과 교수 역임. 저서로 《허구 시대의 끝》《문명 내 충돌》《불가능성의 시대》《내셔널리즘의 유래》(2007년 마이니치출판문화상)《‘세계사’의 철학》《자유라는 감옥》(2015년 가와이하야오학예상) 등이 있으며 공저서도 다수이다. 일본 사회학의 거두 미타 무네스케(필명 마키 유스케)의 직계 제자로서, 90년대 오타쿠에 의한 연쇄 살인 사건, 옴진리교에 의한 사린가스 테러 사건 등 세간을 들썩이게 한 사회현상들에 대한 명쾌하고도 독창적인 분석을 선보이며 일본을 대표하는 사회학자로 부상했다. 탈냉전 체제의 세계, 일본의 전후 사회 등을 배경으로, 자유, 정의, 내셔널리즘, 극단주의와 테러리즘, 위험사회론 등의 굵직굵직한 주제를 거침없는 필치로 다뤄왔다. 특히 2009년 교수직 사임이라는 개인적 사건과 2011년 3월 11일의 동일본 대진재(東日本大震災)라는 재앙적 사건 이후에는 기존 사회 이론이 봉착한 한계를 첨예하게 인식하고, 더욱 과감한 저술과 강연 활동을 펼쳐나가고 있다. 전통의 문예지 《군조(群像)》에 연재 중인 대형 기획 《‘세계사’의 철학》(현재 네 권이 출간되었다)이나, 직접 선정한 특집으로 펴내는 개인 무크지 《THINKING ‘0’》에서 그 일단을 엿볼 수 있다. 또한 《군조》 이상의 대표성을 가진 사상지 《현대사상(現代思想)》의 주요 필진으로 활약하며 사회 이론의 혁신을 위한 ‘새로운 유물론’을 주창하고 있기도 하다. 이 책의 일본어판 《사고술(思考術)》은 2013년 말에 출간되어 천편일률적인 독후감이 아닌 ‘책 읽기에서 독창적 사고를 이끌어내는 법’을 보여주는 책으로서 큰 반향을 얻었고, 2014년에는 이에 힘입어 후속작 격인 《‘질문’의 독서술》이 출간되기도 했다.

김선화(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고 교토대학교 대학원 인간·환경학 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오사와 마사치의 저서 『내셔널리즘의 역설(近代日本のナショナリズム)』(2011/2014)을 번역 출간했다. 주요 논문으로 “아시아주의와 문명(アジア主義と文明)”(2014), “파국과 재생으로서의 일본 근대(破局と再生としての日本近代)”(2015), “근대초극론이라는 물음(近代超克論論という問い)”(2015)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 서문

서론

01 생체권력과 ‘법의 문’
생체권력의 등장
법의 문으로서의 자동개찰기
또 다른 ‘법의 문’
여성화하는 슈레버

02 신체의 현재
건강한 신체와 부패한 사체 37
신체의 미분 52
극한적인 직접성 61
‘존재의 가벼움’ 69

03 0도의 신체
‘체육’과 내셔널리즘
0도의 신체
보이지 않는 ‘여성의 신체’
신체 가공의 현재

04 파시즘의 신체
신체의 ‘관리’
동성애 배제
유대인의 ‘감응력’
배제의 배제

05 관리형 권력
전체적=개별적
보이고 있지 않다는 것에 대한 불안
고백의 과잉과 부족
휴대전화·네트워크
‘나타나는 신’을 찾아서

06 여자 문지기의 정체
얼굴의 위협
신체 가공의 여러 단계
‘믿음’ 과 ‘지식’
‘쾌/불쾌’-제3자의 심급의 소진과 회복
유(類)로서의 종(種)

보론
파르헤지아와 그 이면
데카르트의 회의
고백에서 파르헤지아로
소크라테스적인 ‘대화’의 위장적 수직 관계
원인에 대한 결과의 과잉

후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