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97898 | |
005 | 20190911111659 | |
007 | ta | |
008 | 190909s2008 ggk b 001c kor | |
020 | ▼a 9788953493032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1363630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82 | 0 4 | ▼a 379.519 ▼c 23 |
085 | ▼a 379.53 ▼2 DDCK | |
090 | ▼a 379.53 ▼b 2008z7 | |
100 | 1 | ▼a 박준형 |
245 | 1 0 | ▼a 한국교육정책 형성과정에서의 국가주도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 ▼d 박준형 |
260 |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08 | |
300 | ▼a 92 p. ; ▼c 23 cm | |
440 | 0 0 | ▼a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학총서 ; ▼v 01 |
504 | ▼a 참고문헌(p. [85]-89)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9.53 2008z7 | 등록번호 1118147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Ⅰ 논의를 시작하며: 위기에 처한 한국 교육 Ⅱ 한국교육정책의 특징 1. 교육정책 개념상의 특징 2. 교육정책 형성과정상의 특징 Ⅲ 교육정책 형성과정에 대한 국가주도성 1. 교육정책에 대한 국가주도성의 신화형성 2. 교육의 공공성 앙양과 교육의 자율성 확보 사이의 긴장 : 공동체주의와 신자유주의의 이념공방 Ⅳ 한국교육위기와 한국교육정책 형성과정의 국가주도성, 그 극복을 위한 노력 1. 국가와 개인의 관계 2. 절차적 참여의 주체와 과정 3. 교육정책 형성과정의 주체 4. 법패러다임 Ⅴ 마치며: 국가와 교육영역의 평화로운 공존을 위해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