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95912 | |
005 | 20190826144351 | |
007 | ta | |
008 | 190826s2010 ulka 001c kor | |
020 | ▼a 9788994347028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2107688 | |
040 |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9/17 ▼2 23 |
085 | ▼a 616.8917 ▼2 DDCK | |
090 | ▼a 616.8917 ▼b 2010z2 | |
100 | 1 | ▼a Bion, Wilfred R. ▼q (Wilfred Ruprecht), ▼d 1897-1979 ▼0 AUTH(211009)78927 |
245 | 1 0 | ▼a 경험에서 배우기 / ▼d 윌프레드 비온 지음 ; ▼e 윤순임 옮김 |
246 | 1 9 | ▼a Learning from experience |
260 | ▼a 서울 : ▼b 눈, ▼c [2010] ▼g (2013 2쇄) | |
300 | ▼a 184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Psychoanalysis |
700 | 1 | ▼a 윤순임, ▼e 역 ▼0 AUTH(211009)8088 |
900 | 1 0 | ▼a 비온, 윌프레드,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917 2010z2 | Accession No. 11181424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월프레드 비온(지은이)
비온은 1897년 인도연합령 무트라에서 출생하였고, 멜라니 클라인에게 교육분석을 받았고, 1962~65년에 영국 정신분석학회 회장을 맡았고, 1979년 급성골수성 백혈병으로 사망하였다.
윤순임(옮긴이)
현재 서울정신분석상담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으며 정신분석가이자 임상심리전문가다. 독일뷔르츠부르크 대학교와 동 대학원 및 박사과정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뷔르츠부르크 대학교 디플롬 임상심리학자 자격을 취득한 후 뷔르츠부르크 대학교 임상심리학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하였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정신분석연구소에서 정신분석 전공으로 수련 및 임상활동을 하였고, 독일정부 공인 정신분석가(정신분석치료) 자격면허를 획득하여 독일에서 정신분석가로 활동하였다. 1989년 귀국 이후 정신분석가로 임상 및 교육활동을 활발히 하며,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특별연구원,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부교수 및 상담연수실장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 및 역서로는 『경험에서 배우기』(윤순임 역, 눈출판사, 2012), 『현대 상담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윤순임 외 공저, 중앙적성출판사, 1995), 『남녀 관계의 사랑과 공격성』(윤순임 외 공역, 학지사, 2005), 『경계선 장애와 병리적 나르시시즘』(윤순임 외 공역, 학지사, 2008), 『만화로 만나는 20세기의 큰 인물 ‘프로이드’』(윤순임 감수, 웅진출판사, 1996) 등이 있으며, 정신분석과 정신분석 치료에 관련된 다수의 논문이 있다. 방송 출연으로는 KBS 일요스페셜 특별기획다큐 <마음, 제3편 무의식에 새겨진 마음을 깨우다>, EBS <도종환의 책과 함께 하는 세상,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강의」>, SBS , 방송대학 TV <우리 시대의 고전이야기, 꿈의 해석> 등과 KBS <아침마당,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KBS 라디오 <자녀교육상담실> 등 다수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