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타자들의 시공간을 열다 : 식민지 소설과 공감의 상상력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황지영
서명 / 저자사항
타자들의 시공간을 열다 : 식민지 소설과 공감의 상상력 / 황지영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짓다,   2019  
형태사항
315 p. : 삽화 ; 23 cm
ISBN
9791195611843
서지주기
참고문헌(p. 283-288)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94604
005 20190813133657
007 ta
008 190813s2019 ulka b 001c kor
020 ▼a 9791195611843 ▼g 03800
035 ▼a (KERIS)BIB000015343151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82 0 4 ▼a 895.73309 ▼2 23
085 ▼a 897.3509 ▼2 DDCK
090 ▼a 897.3509 ▼b 2019
100 1 ▼a 황지영
245 1 0 ▼a 타자들의 시공간을 열다 : ▼b 식민지 소설과 공감의 상상력 / ▼d 황지영 지음
260 ▼a 서울 : ▼b 짓다, ▼c 2019
300 ▼a 315 p. : ▼b 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283-288)과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3509 2019 등록번호 1118136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제 강점기 시절에 다양한 타자들이 만들어졌고 그 타자들을 구획짓는 오늘날의 의식이 형성되었다. 식민지 시대의 경험은 한국인이 근대 한국사회의 의식구조와 삶의 방식을 형성하는 데 주요한 문화적 기제로 작용했다. 이런 관점에서 식민지 소설은 한국인들의 현재와 시대적 자화상이기도 하다. 식민지 시대의 영향 관계를 넘어서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상상하기 위해서도 식민지 소설을 살피는 것은 유의미한 작업이다. 나아가 문학은 시대와 조건을 넘어서 타자의 고통에 공명하면서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저자는 식민지 시대를 억압과 저항의 구도로만 볼 것이 아니라 당시에도 생동하는 삶이 존재했으므로 비애와 슬픔뿐만 아니라 보통 사람들의 ‘웃음’도 함께 읽어내기를 요청한다. 무엇보다 식민지 시기부터 구체화된 나와 타자의 공간을 구획짓는 방식과 질서를 기반으로 하는 사고체계와 제도의 형성은 오늘날까까지 그 연속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저자는 우리의 현재를 잘 이해하고 다양한 타자들의 고통에 공감하기 위해 시대를 가로지르는 문학의 상상력이 여전히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식민지 소설을 타자의 고통이 담긴 보편적 서사로 읽다!

시간과 공간을 가로지르는 인간의 보편성에 대한 공감
다양한 타자의 고통과 추문에서 시작되는 현재의 변화


근대 사회에 대한 한국인의 의식과 삶 그리고 제도를 형성하는 데 식민지 시대는 어떤 영향을 주었었는가? 식민지 시대에 대한 획일적 접근은 다양한 타자들의 목소리를 어떻게 소멸하거나 재현하는가? 식민지 시대의 소설은 현대 한국인의 고통과 정서에 어떤 식으로 교감하는가?

일제 강점기 시절에 다양한 타자들이 만들어졌고 그 타자들을 구획짓는 오늘날의 의식이 형성되었다. 식민지 시대의 경험은 한국인이 근대 한국사회의 의식구조와 삶의 방식을 형성하는 데 주요한 문화적 기제로 작용했다. 이런 관점에서 식민지 소설은 한국인들의 현재와 시대적 자화상이기도 하다. 식민지 시대의 영향 관계를 넘어서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상상하기 위해서도 식민지 소설을 살피는 것은 유의미한 작업이다. 나아가 문학은 시대와 조건을 넘어서 타자의 고통에 공명하면서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저자는 식민지 시대를 억압과 저항의 구도로만 볼 것이 아니라 당시에도 생동하는 삶이 존재했으므로 비애와 슬픔뿐만 아니라 보통 사람들의 ‘웃음’도 함께 읽어내기를 요청한다. 무엇보다 식민지 시기부터 구체화된 나와 타자의 공간을 구획짓는 방식과 질서를 기반으로 하는 사고체계와 제도의 형성은 오늘날까까지 그 연속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저자는 우리의 현재를 잘 이해하고 다양한 타자들의 고통에 공감하기 위해 시대를 가로지르는 문학의 상상력이 여전히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황지영(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식민지 말기 소설의 권력담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국어교육과에 재직 중이다. 국가, 권력, 파시즘 등을 중심으로 식민지 시기에 창작된 소설들을 연구하면서, 이 소설들의 대중화에도 관심을 갖고 역사, 정치, 철학, 문화연구 등과 접목된 글을 쓰고 있다. 저서로는 <타자들의 시공간을 열다>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근대 여학교 기숙사와 젠더규율의 이중성」, 「테크노-파시즘의 문학적 형상화 연구」, 「실패한 가족로망스와 고아들의 공동체」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 식민지 소설과 타자들 7 
1부. 근대라는 시공간 
1장. 접속의 기술이 만드는 새로운 세상 27 
2장. 근대인! 규율공간 안에 거하라 51 
3장. 악마와 지식 73 

2부. 다채로운 일상의 풍경 
4장. 여우 목도리와 낙타털 코트 93 
5장. 배고픔의 비극과 ‘맛’이라는 문화자본 111 
6장. 골목, 교화와 배척의 이중공간 131 

3부. 삶과 죽음의 길항 
7장. 죽지도 못하는 남자 151 
8장. 이상(李箱)과 나비의 춤 175 
9장. 삶의 정치? 죽음의 정치! 193 

4부. 순응의 외피, 이면의 저항 
10장. 비웃음을 당하는 자여, 침을 뱉어라! 213 
11장. 겁쟁이 남편과 수다스러운 아내 233 
12장.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 251 

에필로그 : 말들의 잔치와 타자의 정치 269참고 문헌 283작가 및 작품 정리 289색인 31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