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과정 탐구방법론 (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Short, Edmund C., 편 강현석, 역 조인숙, 역 전호재, 역 정상원, 역 이지은, 역
단체저자명
경북대학교. 교육과정연구회 번역팀, 역
서명 / 저자사항
교육과정 탐구방법론 / Edmund C. Short [엮음] ; 강현석 [외]옮김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2016  
형태사항
x, 365 p. ; 25 cm
원표제
Forms of curriculum inquiry
ISBN
9788968173783
일반주기
교육과정에 대한 기본 입문서  
공역자: 조인숙, 전호재, 정상원, 이지은, 경북대학교교육과정연구회 번역팀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Curriculum planning --Research --Methodolog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91425
005 20190724151002
007 ta
008 190723s2016 ulk b 001c kor
020 ▼a 9788968173783 ▼g 93370
035 ▼a (KERIS)BIB000014120815
040 ▼a 211012 ▼c 21101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5/.001/072 ▼2 23
085 ▼a 375.001072 ▼2 DDCK
090 ▼a 375.001072 ▼b 2016
245 0 0 ▼a 교육과정 탐구방법론 / ▼d Edmund C. Short [엮음] ; ▼e 강현석 [외]옮김
246 1 9 ▼a Forms of curriculum inquiry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6
300 ▼a x, 365 p. ; ▼c 25 cm
500 ▼a 교육과정에 대한 기본 입문서
500 ▼a 공역자: 조인숙, 전호재, 정상원, 이지은, 경북대학교교육과정연구회 번역팀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0 ▼a Curriculum planning ▼x Research ▼x Methodology
700 1 ▼a Short, Edmund C., ▼e
700 1 ▼a 강현석, ▼e▼0 AUTH(211009)94962
700 1 ▼a 조인숙, ▼e▼0 AUTH(211009)14293
700 1 ▼a 전호재, ▼e▼0 AUTH(211009)118771
700 1 ▼a 정상원, ▼e▼0 AUTH(211009)135771
700 1 ▼a 이지은, ▼e
710 ▼a 경북대학교. ▼b 교육과정연구회 번역팀,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1072 2016 등록번호 11181277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1-20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17개의 탐구 양식이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으며, 각 탐구 양식에서는 이 분야의 저명한 학자가 풍부한 문헌과 구체적인 탐구 논리와 절차 등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단순한 연구방법이나 기법이 아니라 나름의 논리와 철학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Edmund C. Short(1991)가 편집한 「Forms of Curriculum Inquiry」를 번역한 것이다. 직역하면 ‘교육과정 탐구의 형식’ 쯤이 된다. 꽤 오래 전에 출간된 책으로서 교육과정 연구자들에게는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책이다. 이 책에는 17개의 탐구 양식이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으며, 각 탐구 양식에서는 이 분야의 저명한 학자가 풍부한 문헌과 구체적인 탐구 논리와 절차 등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어서 독자들에게는 매우 유익한 느낌을 주는 책이다.
이 책은 학부생이나 대학원생, 교육과정 전문 연구자, 그리고 교육연구 방법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도 충분한 가치가 있는 책이다. 특히 요즘처럼 연구방법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독자들에게는 단순한 연구방법이나 기법이 아니라 나름의 논리와 철학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 차원 높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머리말]

역자 서문

이 책은 Edmund C. Short(1991)가 편집한 「Forms of Curriculum Inquiry」를 번역한 것이다. 직역하면 ‘교육과정 탐구의 형식’ 쯤이 된다. 꽤 오래 전에 출간된 책으로서 교육과정 연구자들에게는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책이다. 교육과정의 연구 방법에 관심을 있는 연구자라면 익히 몇 번은 읽었을 법한 전문 서적이다. 대표 역자인 나 자신도 이 책을 1990년대 말에 세미나에서 읽은 적이 있다. 그 당시에는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유형론적으로 교육과정 탐구에는 이러이러한 것들이 있구나 하는 식으로 대충 넘어간 기억이 새롭다.
그러던 중에 대학원 강의인 교육과정연구방법론 강좌를 몇 번 운영하다가 전문적인 저서가 빈약하다는 사실에 많이 놀랐다. 이러던 차에 그 옛날의 이 책을 다시 접하게 되었다. 이전 학기에서는 일반적인 교육연구방법론의 개론서를 먼저 읽고 그 다음으로 교육과정에 적용하는 식으로 강의를 운영해왔다. 혹은 특정 연구방법 하나를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방식이나 발표자들이 선호하는 특정 방법을 다양하게 소개하는 수준이었다. 정리되지 않는 이러한 방식들이 어느 정도는 효과가 있었지만, 교육과정 연구방법론에 대한 심층적인 탐구 욕구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러한 와중에 나의 도발적인 제안으로 본 저서를 읽고 발표하면서 그 결과물로 우리말 번역서를 출간하는 것으로 의견이 수렴되었다. 이 역서는 그 성과물이다.
본 역서의 상세한 소개는 별도로 하지 않겠다. 왜냐하면 목차를 보면 본 저서의 구조를 금방 알아차릴 수 있기 때문이다. 17개의 탐구 양식이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으며, 각 탐구 양식에서는 이 분야의 저명한 학자가 풍부한 문헌과 구체적인 탐구 논리와 절차 등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어서 독자들에게는 매우 유익한 느낌을 주는 책이다.
지금까지 이 책보다 교육과정 탐구론이나 연구방법을 종합적으로, 체계적으로, 정밀하게 소개한 책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책에 등장하는 수많은 교육과정 학자들, 풍부한 문헌, 학자들의 핵심 사상, 연구방법들의 논리와 관련성들을 읽어내려 가다 보면 그 세밀성과 광대함에 놀라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역서의 번역의 질이 많이 어설프겠지만, 나름으로 교육과정 분야의 전문 탐구방법 저서를 세상에 내놓게 되어 무척 기쁘기도 하다.
이 책은 여러 독자들에게 유익할 것으로 유익할 것으로 예상한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 교육과정 전문 연구자, 그리고 교육연구 방법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도 충분한 가치가 있는 책이다. 특히 요즘처럼 연구방법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독자들에게는 단순한 연구방법이나 기법이 아니라 나름의 논리와 철학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 차원 높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번역하는 일은 참으로 힘들고 길었다. 여러 사람들이 작업하다 보니 흔히 생기는 실수와 오류가 많았다. 그래서 몇 번이고 모여서 하나의 탐구양식별로 고치고 다시 고치고 하는 일을 반복하였다. 그래도 독자들의 눈에는 많은 허점이 보일 것이다. 그 잘못은 전적으로 이 일을 저지른 책임자인 나의 것이다. 독자들의 질정을 기대한다. 그리고 이 책을 수정하고 교정보는 과정에 수고를 해준 모든 분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한다. 그리고 본 번역 작업에 참여한 모든 대학원생들(경북대교육과정연구회 번역팀: 김필성, 신경애, 정수경, 송경화, 박창숙, 배가민, 배은미, 박정영, 김태수, 김병일, 신혜원)에게 고마음을 전한다. 동시에 이 역서를 멋지게 편집하여 출간해주신 사장님과 편집부에 감사의 뜻을 전하고 싶다. 모쪼록 이 역서가 교육 연구자들과 교육과정 학문 공동체에 조그만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대표역자 강현석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역자 서문 

서론:교육과정 탐구 이해하기 
Edmund C. Short 

1장. 철학적 탐구: 개념적 분석 
Jerrold R. Coombs 
Le Roi B. Daniels 

2장. 철학적 탐구: 확장적 비평 
Nelson L. Haggerson 

3장. 철학적 탐구: 사변적 에세이 
William H. Schubert 

4장. 역사적 탐구: 실제 이야기를 말하기 
O. L. Davis, Jr. 

5장. 과학적인 탐구: 설명과 제한 
Arthur W. Foshay 

6장. 문화기술지 탐구: 문화와 경험을 이해하기 
Valerie J. Janesick 

7장. 내러티브 탐구: 이야기된 경험 
F. Michael Connelly 
D. Jean Clandinin 

8장. 미학적 탐구: 예술 비평 
Elizabeth Vallance 

9장. 현상학적 탐구: 삶의 세계를 지각하기 
George Willis 

10장. 해석학적 탐구: 해석학적 상상력과 교육적 텍스트 
David. G. Smith 

11장. 이론적 탐구: 구성요소와 구조 
Richard W. Grove 
Edmund C. Short 

12장. 규범적 탐구: 차원과 입장 
Louise M. Berman 

13장. 비판적 탐구: 실천을 위한 패러다임 
Kenneth A. Sirotnik 

14장. 평가적 탐구: 상황평가 
Jean A. King 

15장. 통합적 탐구: 연구 종합 
Colin J. Marsh 

16장. 숙의적 탐구: 계획의 기예 
Ilene Harris 

17장. 실행연구: 세심하게 계획된 행위 절차 
Jim McKernan 

후기: 끝맺는 성찰 
Edmund C. Short 

기고자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