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전시 디자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 좋은 전시관을 만들기 위한 가이드북

전시 디자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 좋은 전시관을 만들기 위한 가이드북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Hughes, Philip, 1936- 권순관, 역
서명 / 저자사항
전시 디자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 좋은 전시관을 만들기 위한 가이드북 / 필립 휴즈 지음 ; 권순관 옮김
발행사항
고양 :   Daega books,   2012   (2014 2쇄)  
형태사항
271 p. : 삽화(일부천연색) ; 26 cm
원표제
Exhibition design
ISBN
9788962850871
일반주기
부록: 용어 사전, 더 읽어야 할 도서들, 유용한 웹사이트  
일반주제명
Exhibitions --Design Trade shows --Exhibition techniques Exhibit booths --Design and construction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90857
005 20190717160802
007 ta
008 190716s2012 ggka 000c kor
020 ▼a 9788962850871 ▼g 93540
035 ▼a (KERIS)BIB000012744146
040 ▼a 241044 ▼c 241044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59.152 ▼a 069.5 ▼2 23
085 ▼a 659.152 ▼2 DDCK
090 ▼a 659.152 ▼b 2012z2
100 1 ▼a Hughes, Philip, ▼d 1936- ▼0 AUTH(211009)39236
245 1 0 ▼a 전시 디자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 ▼b 좋은 전시관을 만들기 위한 가이드북 / ▼d 필립 휴즈 지음 ; ▼e 권순관 옮김
246 1 9 ▼a Exhibition design
260 ▼a 고양 : ▼b Daega books, ▼c 2012 ▼g (2014 2쇄)
300 ▼a 271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6 cm
500 ▼a 부록: 용어 사전, 더 읽어야 할 도서들, 유용한 웹사이트
650 0 ▼a Exhibitions ▼x Design
650 0 ▼a Trade shows ▼x Exhibition techniques
650 0 ▼a Exhibit booths ▼x Design and construction
700 1 ▼a 권순관, ▼e▼0 AUTH(211009)95607
900 1 0 ▼a 휴즈, 필립,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52 2012z2 등록번호 1118124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좋은 전시관을 만들기 위한
전시 디자인의 모든 것!


시장에 가면 과일가게의 주인은 싱싱해 보이는 과일을 손님 눈에 잘 띄는 앞쪽에 배열한다. 그 과일이 팔리면 좋은 것을 골라 다시 앞쪽에 진열한다. 이 주인은 전시를 배우지는 않았지만 고객의 관심을 끄는 방법을 알고 있다. 박물관의 전시물이나 쇼윈도의 상품도 관람객이나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아야 한다. 이를 위해 전시 및 상품을 진열하는 사람들은 전시 전략을 계획하여 효과적인 진열을 하려고 노력한다.
이제 ‘전시 방법’은 시장에서부터 전문적인 박물관까지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더 나아가 최근의 전시는 박물관과 같은 일반적인 장소를 넘어 패션, 광고, 영화, 연극, 전위예술 등 다양한 장르와 융합되어 대중적 공공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제 전시는 산업도시에서 문화도시로 바뀌는 데도 일익을 담당하고 있으며 또 산업으로 발전하여 경제 활성화의 주역이 되고 있다.

14개의 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디자인, 브리프의 구성에서부터 건축 그리고 고객에게 전달하는 과정까지 전시 디자인 과정의 주요 요소들을 살펴보고 있다. 각각의 장은 이 과정의 각 요소들을 다루고 있으며, 전문 용어를 설명하고, 주요 정보를 제공한다.
‘서문’은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전시 활동에 대한 개요를 제시하고 있고, 전시 디자인에서의 역사적 이정표와 영향력 있는 디자이너들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무역박람회와 공공 전시회에서 전시 디자이너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설명한다.
1장 ‘브리프’는 훌륭한 브리프를 구성하는 방법과 여기에 포함될 수 있는 유용한 정보의 유형에 대해 설명한다.
2장 ‘관람자’는 전시 관람자들에 대한 분석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브랜딩과 타깃 수용자에 대한 논의를 포함한다. 또 전시 디자이너들이 다양한 수준의 지식과 다양한 학습 스타일을 지니고 있는 관람자들을 다루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3장 ‘사이트’는 전시 부지에서 제공되는 기회와 제약 그리고 이것이 디자인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4장 ‘전시 전략’은 전시 디자이너가 전시회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 주어진 브리프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제시한다. 도표는 이러한 전략이 관람자의 여정을 구성하는 데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5장 ‘3-D 디자인 기술’은 전시 디자이너가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시각적 언급에 대해 연구하고, 전시 계획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 무역박람회와 박물관 및 갤러리에 대한 3차원 디자인 과정의 초기 단계 때 사용되는 모델과 스케치, 비주얼의 예를 포함한다.
6장 ‘2-D 디자인 기술’은 전시 환경에서 텍스트와 이미지의 이용에 대해 알아본다. 또 쉽게 판독하고 이해할 수 있는 텍스트와 텍스트-이미지 스케일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대형-포맷 프린팅과 제작 문제에 대한 조언을 제공한다.
7장 ‘조명’은 전시와 관련한 조명 전략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여러 가지 예를 통해 전시에서 조명의 위치, 대상물(예를 들어 조각 작품)을 모델화하기 위한 조명의 이용, 역광 조명, 에지라이팅 및 스포트라이팅 등에 대해 설명한다.
8장 ‘인터액션’은 인터액션 디자인의 지침에 대해 설명하고 그 대표적인 예를 제시한다.
9장 ‘사운드와 영상’은 전시 스토리라인을 지원하기 위해 사운드와 필름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검토하고, 시청각 전문가를 위임하고자 하는 디자이너들을 위한 조언과 설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10장 ‘재료’는 디자이너들이 용도와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 화재 안전, 지속성 그리고 적합성과 같이 재료를 규정할 때 검토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본다. 또 고객들에게 소개하는 데 이용되는 재료 샘플 보드의 예를 제시하고 있다.
11장 ‘이동 가능한 전시’는 손쉽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임시 전시 장비에 대해 논의한다.
12장 ‘기술 도안’은 전시 구성에서 기술 도안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주요 디자이너들의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 및 투시도 등의 예를 제시한다.
13장 ‘구성 및 납품’은 디자이너와 전시 디자인 업체가 제작 과정을 구성하고, 성공적인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계약자와 협력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또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할과 녹색 디자인의 실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14장 ‘결론’은 전시 디자인이 하나의 분야로써 어떻게 발전해왔고, 녹색 기준이 전시 디자인 산업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다줄 것인지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 분야에 대한 전통이 없는 나라에서 전시의 경제적 중요성과 전시 디자인 업계의 책임에 대해 설명한다.

이 책에서는 전시의 역사를 시작으로 전시 디자인의 모든 과정을 아주 쉬운 언어로 풀고 있다. 다만 상설 전시보다는 비상설 전시가 주를 이룬다. 또 이 책은 마음만 먹으면 하룻밤에도 읽을 수 있으며 전시를 시작한 사람이나 전시를 이해하고 있는 모두에게 소중한 책으로 다가갈 것이다. 이 책이 외국의 사례들로 꾸며져 있어서 우리나라와 다소 차이가 있는 부분들이 있지만 다른 나라의 전시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필립 휴즈(지은이)

런던에서 전시 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다. 1989년 RCA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후 전 세계의 박물관과 무역젆시회를 디자인해왔고 또 포츠머스대학교와 판햄 예술대학교(UCA)등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디자인 강의를 했다.

권순관(옮긴이)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학을 전공한 후, 영국 드몽포드대학교에서 실내디자인(전시 디자인 전공)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양대학교 건축공학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지난 15년간 전시 디자인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서일대하굑 실내디자인과 교수와 (사)대한전시디자인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역자 서문 
서문 

01 브리프 
02 관람자 
03 사이트 
04 전시 전략 
05 3-D 디자인 기술 
06 2-D 디자인 기술 
07 조명 
08 인터액션 
09 사운드와필름 
10 재료 
11 이동 가능한 전시 
12 기술 도안 
13 구성 및 납품 
14 결론 

부록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