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90709 | |
005 | 20190717165604 | |
007 | ta | |
008 | 190715s2017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99711145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4309625 | |
040 | ▼a 211014 ▼c 211014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001.4/2 ▼2 23 |
085 | ▼a 001.42 ▼2 DDCK | |
090 | ▼a 001.42 ▼b 2017z4 | |
100 | 1 | ▼a Creswell, John W. ▼0 AUTH(211009)38797 |
245 | 2 0 | ▼a (알기 쉬운) 혼합연구방법 / ▼d John W. Creswell 저 ; ▼e 김동렬 역 |
246 | 1 9 | ▼a A concise introduction to mixed methods research |
246 | 3 9 | ▼a Concise introduction to mixed methods research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7 ▼g (2018 2쇄) | |
300 | ▼a 205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193-197)과 색인수록 | |
650 | 0 | ▼a Mixed methods research |
650 | 0 | ▼a Social sciences ▼x Research ▼x Methodology |
650 | 0 | ▼a Research ▼x Methodology |
700 | 1 | ▼a 김동렬, ▼e 역 ▼0 AUTH(211009)8664 |
900 | 1 0 | ▼a 크레스웰, 존, ▼e 저 |
900 | 1 0 | ▼a Kim, Dong-ryeul, ▼e 역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42 2017z4 | 등록번호 111812340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8-21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42 2017z4 | 등록번호 1118663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John W. Creswell(지은이)
미시간대학교 가정의학과 교수이자 혼합적 방법 연구 및 장학금 프로그램의 공동 책임자이다. 그는 혼합적 방법 연구, 질적 연구 및 연구 설계에 관한 수많은 논문과 28권의 책을 저술했다. 네브래스카주립대학교-링컨 캠퍼스에 있는 동안 그는 Clifton 석좌교수직을 맡았고, 혼합적 방법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SAGE의 Journal of Mixed Methods Research를 창간했으며, 미시간대학교 가정의학과 겸임교수이자 재향군인관리의료서비스연구센터의 자문위원이었다. 그는 2008년 남아프리카공화국, 2012년 태국에서 수석 풀브라이트(Fulbright) 학자였다. 2011년에는 미국국립보건원에서 혼합적 방법 실습에 대한 국가 실무 그룹을 공동으로 이끌었으며, 하버드대학교 보건대학원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그리고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리토리아대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2014년 혼합적 방법 국제연구협회 회장직을 맡았으며, 2015년에는 미시간대학교 가정의학과 교수가 되었다. John은 지난 40년 동안 연구방법론을 가르쳐 왔다.
김동렬(옮긴이)
현재 대구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0년간 고등학교 과학교사로 근무하였고, 이러한 교직 경험을 바탕으로 집필한 저서로는 『기초 생명과학 실험, 교육과학사, 2020』, 『차별화된 과학수업 전략, 도서출판 신정, 2016』, 『과학교육연구방법의 시작에서 완성까지, 도서출판 신정, 2015』, 『과학교육 교수ㆍ학습의 실제, 교육과학사, 2010』이 있으며, 역서로는 『포토보이스 연구방법, 학지사, 2018』, 『질적연구에서 아동ㆍ청소년 면담 조사방법, 학지사, 2017』, 『알기 쉬운 혼합연구 방법, 학지사, 2016』, 『과학을 가르치기 위한 창의적인 방법들, 창지사, 2015』, 『초등교사를 위한 과학교육, 북스힐, 2014』 등을 출간하였다. 또한 다양한 연구방법을 적용한 과학교육연구 논문들을 발표하였으며, 미국 애리조나 대학에서 연구학자로 지내면서 양적ㆍ질적ㆍ혼합 연구방법을 적용한 과학교육연구에 참여하였다.

목차
제1장 혼합연구의 기본 특징 혼합연구의 이해 혼합연구란 무엇인가? 무엇이 혼합연구가 아닌가 혼합연구의 핵심 특성 권고사항 추가 읽을거리 제2장 혼합연구의 설계 단계 연구 계획의 필요성 혼합연구 과정의 단계 가제 연구의 필요성에 내재된 문제 연구의 파급효과를 기대하는 의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유형 혼합연구의 사용이유 세계관이나 이론의 상술 혼합연구의 정의 다이어그램, 절차 및 설계의 선택 잠재적인 방법론적 문젱와 타 당도 위혐요소 혼합영ㄴ구의 목적이나 목표 양적, 질적 및 혼합 연구의 문제 단계를 재구성하기 권고사항 추가 읽을거리 제3부 혼합연구를 시행하기 위한 필요한 기술 혼합연구 시행의 요건 혼합연구팀 연구에 필요한 기술 양적연구에 필요한 기술 질적연구에 필요한 기술 권고사항 추가 읽을거리 제4장 기초 및 고급 혼합연구 설계 예비 고려사항 기초설계 고급설계 설계를 선택하는 방법 권고사항 추가 읽을거리 제5장 연구 절차를 다이어그램화하는 방법 다이어그램의 정의 다이어그램의 사용 다이어그램 제작을 위한 도구 다이어그램을 위한 기호 다이어그램에서의 필수요소 다이어그램을 제작하는 데 있어 기초 단계 설계별 다이어그램의 시각적 모형 절차와 결과물을 다이어그램에 추가하기 고급 설계 다이어그램 그리기 권고사항 추가 읽을거리 제6장 혼합연구의 서론 좋은 서론의 중요성 혼합연구의 서론을 작성하기 위한 스크립트 혼합연구 목적 진술 혼합연궁의 문제 작성 권고사항 추가 읽을 거리 제7장 표본추출과 통합 문제 표본추출과 통합 문제 표분추출 통합 권고사항 추가 읽을거리 제8장 혼합연구를 출판하기 위한 글쓰기 적합한 학술지 찾기 JMMR 논문의 분석에 사용되는 기준 혼합연구 논문의 두 가지 유형 설계를 반영하여 실증적 논문 구조화하기 출판 시 포함해야 할 요소의 체크리스트 권고사항 추가 읽을거리 제9장 혼합연구의 질적 평가 평가 기준이 어떻게 적용되는가 우리는 평가 기준을 가지고 있어야만 하는가 JMMR의 공동편집자로서 필자가 사용한 평가 기준 혼합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 평가 기준 ''모범 규준''을 위한 미국보건영ㄴ구원 권고사랑 권고사항 추가 읽을거리 제10장 혼합연구의 발전과 진보 과학적 발전 디지털 시대의 혼합연구 권고사항 추가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