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90553 | |
005 | 20190716111257 | |
007 | ta | |
008 | 190715s2018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96360160 ▼g 13370 | |
035 | ▼a (KERIS)BIB000015020003 | |
040 | ▼a 224010 ▼c 224010 ▼d 211009 | |
082 | 0 4 | ▼a 371.1024 ▼2 23 |
085 | ▼a 371.1024 ▼2 DDCK | |
090 | ▼a 371.1024 ▼b 2018z1 | |
245 | 0 0 | ▼a 회복적 생활교육으로 학급을 운영하다 : ▼b 학생과 공동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관계의 집짓기 / ▼d 강현경 [외]씀 |
260 | ▼a 서울 : ▼b 교육과실천, ▼c 2018 ▼g (2019 2쇄) | |
300 | ▼a 329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공저자: 김승아, 김준호, 노슬기, 박수미, 이현주, 전안나, 한득재 | |
504 | ▼a 참고문헌: p. 328-329 | |
700 | 1 | ▼a 강현경, ▼e 저 ▼0 AUTH(211009)1834 |
700 | 1 | ▼a 김승아, ▼e 저 ▼0 AUTH(211009)80703 |
700 | 1 | ▼a 김준호, ▼e 저 ▼0 AUTH(211009)126426 |
700 | 1 | ▼a 노슬기, ▼e 저 ▼0 AUTH(211009)50780 |
700 | 1 | ▼a 박수미, ▼e 저 ▼0 AUTH(211009)44680 |
700 | 1 | ▼a 이현주, ▼e 저 ▼0 AUTH(211009)31605 |
700 | 1 | ▼a 전안나, ▼e 저 ▼0 AUTH(211009)8890 |
700 | 1 | ▼a 한득재, ▼e 저 ▼0 AUTH(211009)5325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1024 2018z1 | 등록번호 11181210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1.1024 2018z1 | 등록번호 1513442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1024 2018z1 | 등록번호 11181210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1.1024 2018z1 | 등록번호 1513442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현장의 교사들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는 학급운영과 생활지도를 ‘회복적 생활교육’의 철학과 관점에서 풀어낸 책이다. 현직 교사인 8명의 저자가 온·오프라인 연수와 공부 모임, 책 등을 통해 배운 내용을 학교에서 활용하여 실천해본 결과물로, 학기 초에서 학기 말까지 일 년 동안 학급을 운영하면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시나리오와 다양한 사례를 담고 있다.
소개하는 회복적 생활교육에 기반한 학급운영을 통해 학급 아이들의 마음에 소통과 지지, 공감과 존중, 격려와 연결, 협력과 회복, 공동체 등이 자리 잡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학급을 마음으로 연결되는 평화로운 공동체로 만들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관계 맺기가 서툴고 힘든 교실을 위한 회복적 생활교육 관점의 학급운영
학년 초부터 말까지 일 년에 걸쳐 활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와 구체적인 사례
현장의 교사들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는 학급운영과 생활지도를 ‘회복적 생활교육’의 철학과 관점에서 풀어낸 책이다. 현직 교사인 8명의 저자가 온·오프라인 연수와 공부 모임, 책 등을 통해 배운 내용을 학교에서 활용하여 실천해본 결과물로, 학기 초에서 학기 말까지 일 년 동안 학급을 운영하면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시나리오와 다양한 사례를 담고 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회복적 생활교육에 기반한 학급운영을 통해 학급 아이들의 마음에 소통과 지지, 공감과 존중, 격려와 연결, 협력과 회복, 공동체 등이 자리 잡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학급을 마음으로 연결되는 평화로운 공동체로 만들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준호(지은이)
그림책으로 아이들을 만나며 생각이 자라고 마음이 따뜻해지는 수업을 꿈꾸는 교사입니다. 신길중학교에서 도덕을 가르치며, 그림책사랑교사모임을 운영을 맡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 《그림책, 교사의 삶으로 다가오다》, 《그림책으로 시작하는 철학연습》(공저), 《c질문이 있는 그림책 수업》(공저), 《14가지 빛깔의 그림책 수업》(공저) 등이 있습니다.
강현경(지은이)
경기 응곡중 교사
김승아(지은이)
경기 응곡중 교사
노슬기(지은이)
경기 응곡중 교사
박수미(지은이)
경기 소사고 교사
이현주(지은이)
경기 응곡중 교사
전안나(지은이)
경기 응곡중 교사
한득재(지은이)
경기 응곡중 교사

목차
들어가며 1장. 왜 회복적 생활교육인가? 1. 학급운영 들여다보기 2. 회복적 생활교육의 밑바탕_ 회복적 정의와 비폭력대화 2장. 학기 초 관계의 밑돌 놓기 1. 따뜻한 교실맞이 2. 첫 만남 신뢰서클 3. 공유된 목적 세우기 4. 1인 1역과 학급 자치회 부서 운영 5. 신뢰서클로 진행하는 소규모 집단상담 6. 학부모 편지와 가정방문 7. 학부모 신뢰서클 3장. 학기 중 관계의 기둥 세우기 1. 존중의 약속 만들기 2. 비폭력대화 기반의 그로그 상담 3. 공감친구 캠페인 4. 학급소통신문 4장. 학기 중 관계 다지기 1. 모든 의견이 존중되는 학급회의 2. 평화적인 갈등 해결 1_ 회복적서클과 긴급중재 3. 평화적인 갈등 해결 2_ 문제해결서클 5장. 학기 말 관계의 지붕 얹기 1. 따뜻한 마무리_ 학년 말 신뢰서클 2. 학급문집 참고 문헌 및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