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道岡詩稿 : 도강 문상구 한시집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문상구 文相九, 1933-2011 신범식 申範植, 역
서명 / 저자사항
道岡詩稿 : 도강 문상구 한시집 / 문상구 지음 ; 신범식 옮김
발행사항
파주 :   휴먼필드,   2019  
형태사항
355 p. : 천연색삽화, 초상화 ; 24 cm
ISBN
9791195511068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90441
005 20190712115443
007 ta
008 190711s2019 ggkac 000cp kor
020 ▼a 9791195511068 ▼g 038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a chi ▼h chi
082 0 4 ▼a 895.715 ▼2 23
085 ▼a 897.1067 ▼2 DDCK
090 ▼a 897.1067 ▼b 문상구 도
100 1 ▼a 문상구 ▼g 文相九, ▼d 1933-2011
245 1 0 ▼a 道岡詩稿 : ▼b 도강 문상구 한시집 / ▼d 문상구 지음 ; ▼e 신범식 옮김
260 ▼a 파주 : ▼b 휴먼필드, ▼c 2019
300 ▼a 355 p. : ▼b 천연색삽화, 초상화 ; ▼c 24 cm
546 ▼a 漢韓對譯
700 1 ▼a 신범식 ▼g 申範植,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1067 문상구 도 등록번호 1118119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도강 문상구는 우리 사회가 근대에서 현대로 건너오는 시기, 옛 학문인 한학을 공부한 마지막 세대이다. 장년기였던 1950~1980년대, 그가 공부한 한학은 소모가 큰 학문은 아니었다. 그러나 평생에 걸쳐 도강 선생이 매진한 것은 고전과 고문, 한학과 서예였다. <도강시고>는 그가 한학의 마지막 세대로서, 예도를 지켜 정석으로 기록한 한시를 엮은 책이다.

도강 선생의 한시 스펙트럼은 일상의 소소한 감회로부터 시작해 고전에 대한 사랑, 세태에 관한 염려까지 넓고도 깊다. 칠언절구, 일곱 자의 한자로 감회를 풀어내고, 한시의 율격 안에서 형식의 아름다움을 지킨다. 댓구와 파격의 활용, 고전과 선현에 대한 지식은 한시의 기본을 담고 있고, 그 양이 자못 방대하다는 점에서 일생을 바친 노작이다. 또한, 근현대를 아우르는 우리 사회 곳곳의 모습을 옛 언어인 한자로 기록했다는 점에서, 오늘날 돌아봐도 구하기 어려운 사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책을 엮는 과정에서 도강 선생이 남긴 시와 유묵은 원운시와 차운시 등을 합쳐 300여 수가 넘었다. 때로 선후를 가늠하기 어려운 비슷한 작품들이 있었는가 하면, 일정 시기의 작품들은 찾을 수 없어 담지 못하기도 하였다.

그중 213수를 추려 주제에 따라 다섯 장으로 분류했다. 주제 역시 일상과 주유, 사제와 권학, 시우 등 선생이 살아온 삶처럼 소박하다. 그러나 간단치 않은 사고의 깊이, 엄격한 형식미 등은 한시와 고전을 모르는 현대인에게도 옛 시의 정석과 아름다움을 전한다.

<道岡詩稿>는 호남의 마지막 선비, 도강 문상구 선생이 평생에 걸쳐 지은 200여 수의 시편과 유묵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해방과 한국전쟁의 엄혹한 시절에 근대 교육을 받지 못한 도강 선생은 걸출한 한학자였던 백당 위대한 선생으로부터 한학을 배우고 추범 선종석, 송담 이백순 선생 등으로부터 서예와 고전을 사사하였다.
중농 집안의 장남으로서 형제와 자손을 보살피는 와중에 옛 학문인 한학은 시로 승화되었다. 일상과 여행의 소회, 사제와 벗들과 나눈 정담은 칠언절구와 율시, 오언절구 형식의 한시로 기록되었다. 시의 내용은 주로 교유, 술회, 송축시가 대부분이나, 특별히 세태에 대한 비판과 후학들에게 지남이 될 만한 권학시, 경전의 대의를 밝힌 시와 선현 숭모시가 많다는 점은 고전에 낯선 현대인들에게 소중한 자료가 될 만하다.
도강 선생은 평생에 걸쳐 어린아이부터 대학교수에 이르기까지, 한학의 가르침이 필요한 곳에서 지금은 쓸모없다 여겨지는 한문과 고전, 한학 교육에 대한 열정을 불태웠다. 지방에 은거한 이름 없는 선비의 창작이라 하기엔 학문적 성취가 높고, 시의 제재와 격이 오늘날 만나기 어려운 경지에 올라 있다.
유묵 편은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도강 선생의 서예작품을 모은 것이다. 선생이 각별히 아끼신 고전 싯구와 올곧은 성품을 필체로 확인할 수 있는 작품들이다. 더불어 설주 송운회 선생 등 당대의 유명 서예가들과의 교류 통해 소장하신 작품도 함께 실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문상구(지은이)

1933년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도강마을에서 태어나 2011년 타계하였다. 조부 덕은공(德隱公)에게서 한문의 기초를 배우고, 백당 위대한 선생에게 사숙하였다. 설주 송운회(雪舟 宋運會) 선생에게는 서예를, 송담 이백순(松潭 李栢淳) 선생에게는 고문강해를 사사하였다. 향리와 광주 등지에서 후학들에게 고전강해를 가르친 호남의 마지막 한학자이자 선비이다.

신범식(옮긴이)

유원대학교 교양융합학부 교수(문학박사). 부친 경운공(景雲公)으로부터 한문을 수학하였고, 청주향교 명륜당에서 한문을 수학하였다.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석촌 이두희(石邨 李斗熙) 선생을 사사하였으며, 한국고전번역원 한학교수 한송 성백효(寒松 成百曉) 선생과 성균관 한림원장 고당 김충호(古堂 金忠浩) 선생을 사사하였다.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 정보화사업 교열위원, 회인서당 이사, 유원대학교 평생교육원장, 유원대학교 교무차장과 학생처장을 지냈다. 현재 (사)해동경사연구소 이사, 백곡 김득신 기념사업회 연구위원, 유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 전임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역서로는 《국역 백곡집》(2006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2006), 《백곡 김득신의 문학론과 문학세계》(2011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10), 《역주 명가보묵》(2011) 공역, 《충청북도 지역의 문집해제》(2016) 공저, 《충청의 남한강을 읊은 선비의 시》(2017) 공역, 《국역 영조국장도감의궤》(2018) 공역, 《역주 대곡집》(2018) 공역 외 다수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을 펴내며 
역자 해설 
행장 
초상 

1편 漢詩 

1장 日常 
2장 周遊 
3장 師弟 
4장 勸學 
5장 詩友 

2편 遺墨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