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정책평가론 / 제3판

정책평가론 / 제3판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윤식
Title Statement
정책평가론 / 이윤식 지음
판사항
제3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대영문화사,   2018  
Physical Medium
331 p. : 삽화 ; 26 cm
ISBN
978897644707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95-321) 및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90302
005 20190711141712
007 ta
008 190709s2018 ulka b 001c kor
020 ▼a 9788976447074 ▼g 93350
035 ▼a (KERIS)BIB000014758681
040 ▼a 211044 ▼c 211044 ▼d 211009
082 0 4 ▼a 352.34 ▼2 23
085 ▼a 352.34 ▼2 DDCK
090 ▼a 352.34 ▼b 2018z1
100 1 ▼a 이윤식
245 1 0 ▼a 정책평가론 / ▼d 이윤식 지음
246 1 1 ▼a Policy evaluation
250 ▼a 제3판
260 ▼a 서울 : ▼b 대영문화사, ▼c 2018
300 ▼a 331 p. : ▼b 삽화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295-321) 및 색인수록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2.34 2018z1 Accession No. 15134650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제3판 머리말/3
제2판 머리말/5
초판 머리말/6

제1장 정책평가의 의의 및 특징 17

제1절 정책평가의 의의 17
1. 개 념/17
2. 목 적/19
제2절 정책평가의 특징 23

제2장 정책평가와 유사 기능 25

제1절 감사와 정책 분석 및 평가의 개념과 특징 25
1. 개 념/25
2. 특 징/26
제2절 감사와 정책 분석 및 평가의 관계 29
1. 이론적 모형/29
2. 수렴 과정의 네 가지 유형/30
3. 효율적인 수렴 과정을 위한 선결 조건/35

제3장 정책평가의 절차 41

제1절 평가 목적의 식별과 평가 기준의 결정 42
제2절 정책구조 분석: 정책목표?수단 간의 관계 규명 43
제3절 정책평가의 이론적 모형 수립 44
제4절 정책평가 방법 및 기법의 선정 45
제5절 자료의 수집 및 분석 47
제6절 평가 결과의 종합 및 정책적 제언 48

제4장 정책평가의 유형 50

제1절 평가 업무에 따른 유형 50
1. 예비평가/50
2. 본평가/51
제2절 평가 대상에 따른 유형 52
1. 총괄평가/52
2. 과정평가/54
3. 종합평가/56
4. 메타평가/57
5. 통합평가/58
제3절 평가 주체에 따른 유형 59
1. 내부평가/59
2. 외부평가/60
제4절 평가 시기에 따른 유형 61
1. 사전평가/61
2. 사후평가/61
제5절 체제이론에 따른 유형 63
1. 투입평가/63
2. 과정평가/65
3. 결과평가/67
4. 영향평가/69

제5장 정책평가모형 71

제1절 Evert Vedung의 분류 72
1. 효과성 평가모형/73
2. 경제성 평가모형/79
3. 전문가 모형/81
4. 의사결정 모형/81
제2절 Daniel L. Stufflebeam의 분류 82
1. 개선 책임성 평가모형/83
2. 사회적 어젠다 대안 평가모형/84
3. 질문방법 중심 평가모형/86
제3절 Jonathan A. Morell의 분류 87
1. 고객비교 평가모형/88
2. 추적 평가모형/89
3. 양상검증 평가모형/89
제4절 E. Chelimsky의 분류 90
1. 사전분석 모형/90
2. 평가성 평정모형/91
3. 과정(형성적 개발) 평가모형/91
4. 효과성(영향, 총괄, 결과) 평가모형/91
5. 정책 및 문제 모니터링 모형/92
6. 메타평가 또는 평가종합모형/92

제6장 정책평가 방법 93

제1절 정책평가 방법에 관한 논의 93
1. 정책평가 방법의 과학성 결여/93
2. 정책평가 방법 적용의 편향성/95
3. 정책평가 방법의 지원체계의 미비/96
4. 종 합/96
제2절 정책평가 설계접근법의 의미 및 필요성 97
1. 의 미/97
2. 필요성/98
제3절 정책평가 설계접근법의 유형별 논리 99
1. 실험 설계접근법/100
2. 비실험 설계접근법/109
제4절 정책평가 설계접근법의 비교 116
제5절 정책평가 설계접근법 활용 시 고려 사항 119
1. 평가설계접근법의 적용 여건 고려/119
2. 평가설계접근법의 장단점 이해/120
3. 평가이론 및 평가모형과 평가설계접근법의일관성 도모/120
4. 정책모형의 수립 및 활용/121
5. 평가설계접근법과 평가 방법 및 기법의합치성 제고/122
6. 정책의 평가가능성 평정 철저/122
7. 종 합/123

제7장 정책평가와 성과관리 124

제1절 성과관리에 대한 이해 124
1. 성과관리의 의미 및 목적/124
2. 성과관리의 절차/126
3. 성과관리의 방법/137
제2절 성과관리를 위한 평가 139
1. 성과관리를 위한 평가의 의미/139
2. 성과관리를 위한 평가의 구성 요소/141

제8장 정책평가 결과 활용과 지식관리 144

제1절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개념 및 중요성 144
제2절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유형 146
1. Rich의 견해/146
2. Pelz의 견해/147
3. Knorr의 견해/147
4. Weiss의 견해/148
5. Alkin과 동료들의 견해/149
6. Leviton과 Hughes의 견해/149
7. King과 Pechman의 견해/150
8. Cousin과 Leithwood의 견해/150
9. Green의 견해/150
10. Shadish와 동료들의 견해/151
11. Johnson의 견해/151
12. Owen의 견해/153
13. 종 합/153
제3절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영향 요인 154
1. Patton과 동료들의 견해/154
2. Alkin과 동료들의 견해/155
3. Leviton과 Hughes의 견해/155
4. Alkin의 견해/156
5. Siegel과 Tuckel의 견해/156
6. Cousin과 Leithwood의 견해/157
7. Boyer와 Langbein의 견해/158
8. Preskill과 Caracelli의 견해/159
9. Hofstetter와 Alkin의 견해/159
10. 종 합/160
제4절 정책평가 결과 활용에서 ICT의 역할 161
1. 촉진자로서 ICT/162
2. 제어자로서 ICT/163
3. 방관자로서 ICT/163
제5절 정책평가 결과 활용에서 ICT 이용 영향 요인 165
제6절 ICT를 이용한 정책평가 결과 활용 방안 165

제9장 정책평가의 제도화 168

제1절 국가별 정책평가 제도화 정도 168
제2절 정책평가 제도화 선도 국가 171
1. 미 국/171
2. 캐나다/172
3. 호 주/174
4. 스웨덴/175
5. 영 국/178
6. 독 일/181
제3절 정책평가 제도화 개발 국가 182
1. 덴마크/182
2. 노르웨이/185
제4절 정책평가 제도화 미개발 국가 187

제10장 정책평가와 국정참여 활동 189

제1절 정책평가와 정부활동 190
1. 국무총리실의 정부업무평가제도/190
2. 통합 정부업무평가제도의도입 배경 및 운영 현황/194
3. 우리나라 통합 정부업무평가제도의 성과/207
제2절 정책평가와 의회 활동 210
1. 의회의 기능/211
2. 의회의 정책평가 필요성/212
3. 의회의 정책평가 체제 및 기능/214
4. 의회의 정책평가 한계/218
제3절 정책평가와 시민단체(NGO) 활동 219
1. 시민단체의 의의/219
2. 시민단체의 특징/221
3. 정책 과정에서 시민단체의 활동/223
4. 시민단체의 정책평가 활동 사례/225
5. 시민단체의 의정활동 평가 한계/229

제11장 정책평가의 새로운 이슈: 정책평가의 정치적 성향 231

제1절 정부정책의 정치적 속성 231
1. 정치적 지지 및 반대와 타협/231
2. 정책평가자와 정책담당자의 이견/232
3. 정책의 실질적 목적과 명목상 목적의 차이/232
4. 평가 과정과 정치적 압력/233
제2절 상위계층의 정치성 233
1. 상위계층의 관심/233
2. 정책결정체제의 지원/234
3. 정치적 관계 규명/234
4. 정책 과정의 시한/235
5. 권력 행사의 수단/236
제3절 정책평가의 내재적 정치성 236
1. 정책평가의 본성/236
2. 평가 대상 정책의 정치성/238
3. 정부기관의 상황/238
4. 평가 여건/240
5. 정책평가의 책임성/242
6. 접근 방법/243
제4절 정책평가에서 정치성의 한계 244

제12장 정책평가의 사례(1): 진실험평가 248

제1절 예방적 건강정책 평가 사례 248
1. 평가 대상 정책의 개요/248
2. 평가 방법/249
3. 평가 결과/249
4. 정책적 제언/250
제2절 전화를 통한 보석금 지급정책 평가 사례 251
1. 평가 대상 정책의 개요/251
2. 평가 방법/251
3. 평가 결과/252
4. 정책적 제언/253
제3절 해병대원 무단결근 방지정책 평가 사례 253
1. 평가 대상 정책의 배경/253
2. 욕구평정(needs assessment) 및 문제의 상세화/254
3. 무단결근 방지정책의 개요/255
4. 평가설계/257
5. 평가 결과/259
6. 정책적 제언/263

제13장 정책평가의 사례(2): 준실험평가 264

제1절 건강정책 평가 사례 264
1. 건강정책 개정이 직업 만족과 간호사 교체에미치는 영향평가 사례/264
2. 지역간호 서비스의 이용이 병원 방문과 의료비 지출에미치는 영향평가 사례/266
제2절 미국 테네시 주 어린이 안전장치법의 효과성 평가 사례 268
1. 평가 대상 정책의 개요/268
2. 평가 방법/270
3. 평가 결과/274
4. 정책적 제언/281

제14장 정책평가의 사례(3): 비실험평가 283

제1절 행정자치부 자체평가 사례 283
1. 평가 대상 정책의 개요/283
2. 평가 방법/284
3. 평가 결과/285
4. 개선보완 사항/287
제2절 알래스카 주의 알코올 중독 개선정책 평가 사례 287
1. 평가 대상 정책의 개요/287
2. 평가 방법/288
3. 평가 결과/293
4. 정책적 제언/294

참고문헌/295
찾아보기/322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