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ㅣ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ㅣ 3
가. 관련 정책 및 연구의 필요성 ㅣ 3
나. 선행 연구 및 본 연구의 차별성 ㅣ 5
다. 연구 목적 ㅣ 12
2. 연구 내용 ㅣ 13
가. 디지털 리터러시 및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이해 ㅣ 13
나.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분석 ㅣ 13
다. 교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 분석 ㅣ 14
라. 교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선 방안 탐색 ㅣ 15
3. 연구 추진 방법 ㅣ 15
가. 문헌 연구 ㅣ 15
나. 교과별 워킹그룹 운영 ㅣ 16
다. 설문 조사 및 통계 분석 ㅣ 16
라. 수업 사례 분석 및 심층 면담 ㅣ 17
마. 전문가 협의회 및 정책 협의회 ㅣ 17
바. 세미나 개최 18
Ⅱ 디지털 리터러시 및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이해 ㅣ 19
1.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 ㅣ 21
2.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동향 ㅣ 26
가. 국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동향 ㅣ 26
나. 국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동향 ㅣ 37
Ⅲ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분석 ㅣ 49
1. 국어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51
가. 국어과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51
나.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ㅣ 52
다. 국어과 교육과정 수용 양상 분석에 따른 종합 논의 ㅣ 64
2. 도덕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65
가. 도덕과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65
나.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ㅣ 66
다. 도덕과 교육과정 수용 양상 분석에 따른 종합 논의 ㅣ 71
3. 사회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72
가. 사회과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72
나. 2015 개정 사회와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ㅣ 73
다. 사회과 교육과정 수용 양상 분석에 따른 종합 논의 ㅣ 88
4. 수학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90
가. 수학과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90
나.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ㅣ 91
다. 수학과 교육과정 수용 양상 분석에 따른 종합 논의 ㅣ 96
5. 과학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97
가. 과학과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97
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ㅣ 97
다. 과학과 교육과정 수용 양상 분석에 따른 종합 논의 ㅣ 106
6. 실과(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107
가. 실과(기술·가정)과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107
나.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ㅣ 111
다. 실과(기술·가정)과 교육과정 수용 양상 분석에 따른 종합 논의 ㅣ 122
7. 정보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124
가. 정보과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124
나. 2015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ㅣ 126
다. 정보과 교육과정 수용 양상 분석에 따른 종합 논의 ㅣ 137
8. 영어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138
가. 영어과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양상 ㅣ 138
나.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ㅣ 138
다. 영어과 교육과정 수용 양상 분석에 따른 종합 논의 ㅣ 143
Ⅳ 교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 분석 ㅣ 145
1. 설문 조사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 분석 ㅣ 147
가. 설문 조사의 계획과 실행 ㅣ 147
나. 교사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 분석 결과 ㅣ 150
다. 학생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 분석 결과 ㅣ 177
라. 학부모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 분석 결과 ㅣ 185
마. 설문 결과 분석에 따른 종합 논의 ㅣ 191
2. 교과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 분석 ㅣ 193
가. 교과 수업 사례 분석의 계획 및 실행 ㅣ 193
나. 국어과 수업 사례 분석 결과 ㅣ 210
다. 도덕과 수업 사례 분석 결과 ㅣ 233
라. 사회과 수업 사례 분석 결과 ㅣ 254
마. 수학과 수업 사례 분석 결과 ㅣ 278
바. 실과(기술·가정)과 수업 사례 분석 결과 ㅣ 294
사. 정보과 수업 사례 분석 결과 ㅣ 308
Ⅴ 교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선 방안 탐색 ㅣ 325
1. 국어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선 방안 ㅣ 327
2. 도덕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선 방안 ㅣ 331
3. 사회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선 방안 ㅣ 336
4. 수학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선 방안 ㅣ 342
5. 실과(기술·가정)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선 방안 ㅣ 346
6. 정보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선 방안 ㅣ 349
Ⅵ 요약 및 정책 제언 ㅣ 355
1. 요약 ㅣ 357
2. 정책 제언 ㅣ 371
가. 교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강화를 위한 제도적·환경적 여건 조성 ㅣ 372
나. 교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업 여건 조성 ㅣ 388
다. 교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 인적 자원 체제 구축 및 전문성 신장 ㅣ 401
· 참고문헌 ㅣ 409
· ABSTRACT ㅣ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