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87455 | |
005 | 20190621162932 | |
007 | ta | |
008 | 190621s2014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99703195 ▼g 03180 | |
035 | ▼a (KERIS)BIB000013583187 | |
040 | ▼a 245016 ▼c 24501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914023 ▼2 23 |
085 | ▼a 616.8914023 ▼2 DDCK | |
090 | ▼a 616.8914023 ▼b 2014 | |
100 | 1 | ▼a Kottler, Jeffrey A. ▼0 AUTH(211009)104221 |
245 | 1 0 | ▼a 상담자가 된다는 것 / ▼d Jeffrey A. Kottler 저 ; ▼e 이지연, ▼e 황진숙 공역 |
246 | 1 9 | ▼a On being a therapist ▼g (4th ed.)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4 ▼g (2018 3쇄) | |
300 | ▼a 453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434-451)과 색인수록 | |
650 | 0 | ▼a Psychotherapists ▼x Psychology |
650 | 0 | ▼a Psychotherapy ▼x Practice ▼x Psychological aspects |
700 | 1 | ▼a 이지연, ▼e 역 ▼0 AUTH(211009)129554 |
700 | 1 | ▼a 황진숙, ▼e 역 ▼0 AUTH(211009)59913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4023 2014 | 등록번호 1118113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모든 실무자―사회사업가, 상담자, 심리치료사, 심리학자, 간호사, 가족치료사, 인간서비스 전문가, 목회상담자, 다른 정신건강 전문가―를 위해 쓰였다. 조력 전문가들의 개인적인 부분을 다룬 것, 즉 어떻게 이 직업이 심오하고도 기대치 않지만 때로는 기쁘면서도 놀라운 방식으로 우리에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이 책은 다루고 있다.
이 4판은 완전히 업데이트해서 독자와 대화하고, 최근 연구와 최신 사례들을 다루었다. 상담 관계, 실패 다루기, 잘 이야기하지 않는 금지된 주제 등이 상호적 변화로 더해졌고, 체계적인 변화 촉진자나 억압받고 주변인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상담자의 역할 등에 대해 새로운 장을 추가했다.
이 책은 상담 관련 실무자 외 다른 전공의 학생들이라도 조력 기술을 배운다면 커리어를 준비하는 과정에 유용할 것이다. 내담자로서 상담을 경험했거나 이런 만만찮은 모험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사람들은 여기에서 특별히 흥미를 끌 만한 주제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제프리 A. 코틀러(지은이)
현재 풀러턴 캘리포니아 대학의 상담 전공 교수이며, 위기에 처한 네팔 소녀들의 교육을 지원하는 조직인 Empower Nepali Girls재단(www.EmpowerNepaliGirls.org) 대표를 맡고 있다. 페루와 아이슬란드에서 상담 실제 및 이론을 가르치는 풀브라이트 장학생(Fulbright Scholar) 겸 부교수를 역임하였다. 또한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홍콩, 네팔에서 교환교수로 있었다. 그는 상담자, 치료자, 교사 및 대중 분야의 책을 80권 이상 저술하였다.
이지연(옮긴이)
인천대학교 창의인재개발학과 교수,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주임교수로 있으면서, 상담 전문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상담심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서강대학교 상담교수, 이화여대 교수를 지냈다. 저서로는 《청소년 개인상담》, 《내 생애 첫 심리학》, 《걱정없이 살 수는 없을까》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대상관계 이론과 실제》, 《심리치료에서 대상관계와 자아기능》, 《대상관계이론 입문》, 《애착과 심리치료》, 《상담자가 된다는 것》, 《함께 지내기 힘든 성격들》 등이 있다.
황진숙(옮긴이)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한 이후 인간 심리와 행동에 관한 깊은 관심이 생겨 다시 배움의 전당으로 돌아갔다. 이화여자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심리학을 전공했으며, 공역서로는 『상담자가 된다는 것』(학지사, 2014)과 『진행성 암 환자를 위한 의미중심 집단정신치료』(눈출판그룹, 2019)가 있다. 이민 2세대 자녀를 키우는 부모로서 국제유목민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 현재 남편과 함께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으며 슬하에 아들이 하나 있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01 상담자의 길 02 힘과 영향력의 문제 03 사적인 삶과 전문적인 삶 04 내담자는 어떻게 상담자를 변화시키는가 05 상담 실무의 어려움 06 완벽하지 않기: 실패와 더불어 살기 07 우리의 인내심을 시험하는 내담자들 08 권태와 소진 09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는 것 10 우리 자신과 다른 이들에게 하는 거짓말 11 상담자를 위한 대안 치료 12 창의성과 개인적 성장을 향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