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83727 | |
005 | 20190516110511 | |
007 | ta | |
008 | 190515s2017 ulka b AK 001c kor | |
020 | ▼a 9788952119636 ▼g 03600 | |
035 | ▼a (KERIS)BIB000014678861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82 | 0 4 | ▼a 700.794 ▼2 23 |
085 | ▼a 700.794 ▼2 DDCK | |
090 | ▼a 700.794 ▼b 2017 | |
245 | 0 0 | ▼a 메세나와 상상력 : ▼b 근대 유럽의 문학과 예술 후원 / ▼d 나주리 [외] |
260 |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c 2017 | |
300 | ▼a 281 p. : ▼b 천연색삽화 ; ▼c 23 cm | |
500 | ▼a 공저자: 손수연, 신정환, 윤용욱,이영림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은 2013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았음 | |
700 | 1 | ▼a 나주리, ▼e 저 ▼0 AUTH(211009)129487 |
700 | 1 | ▼a 손수연, ▼e 저 ▼0 AUTH(211009)139483 |
700 | 1 | ▼a 신정환, ▼e 저 ▼0 AUTH(211009)121048 |
700 | 1 | ▼a 윤용욱, ▼e 저 ▼0 AUTH(211009)61516 |
700 | 1 | ▼a 이영림, ▼e 저 ▼0 AUTH(211009)81345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794 2017 | 등록번호 1118095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근대 유럽의 문학과 예술에 ‘후원’(메세나)이 끼친 영향을 조명한다. 로마 시대에서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메세나의 역사를 살펴보면 알 수 있듯 예술은 후원과 필연적 관계를 맺으며 존재해 왔다. 유럽에서 근대 사회로의 재편이 본격화되는 바로크 시대, 즉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혹은 장르에 따라 18세기에 이르는 시기를 배경으로, 예술 후원 및 생산의 전개 양상 및 그 배후의 작동 원리와 의미를 탐구한다.
총 4부로 구성되었고, 서문을 포함해 총 열두 편의 글이 담겼다. 각각의 글에서 저자들은 16-18세기 유럽에서 탁월한 성과를 이룩한 문학·연극·음악·미술 장르에서의 예술 창조와 후원의 관계를 심도 있게 분석한다. 세르반테스, 루소, 바흐 등 우리에게 익숙한 예술가들의 이면 또한 풍부하게 살펴볼 수 있게 하였다.
‘후원’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근대 유럽의 문학과 예술
이 책은 근대 유럽의 문학과 예술에 ‘후원’(메세나)이 끼친 영향을 조명한다. 로마 시대에서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메세나의 역사를 살펴보면 알 수 있듯 예술은 후원과 필연적 관계를 맺으며 존재해 왔다. 그런 의미에서 예술의 역사는 곧 예술 후원의 역사라 할 만하다. 이 책은 유럽에서 근대 사회로의 재편이 본격화되는 바로크 시대, 즉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혹은 장르에 따라 18세기에 이르는 시기를 배경으로, 예술 후원 및 생산의 전개 양상 및 그 배후의 작동 원리와 의미를 탐구한다. 독자들은 문학·예술 작품에 대한 기존의 순수 심미적인 관점을 넘어, 정치·사회·경제적 관점에서 문학·예술 작품을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얻게 될 것이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었고, 서문을 포함해 총 열두 편의 글이 담겼다. 각각의 글에서 저자들은 16-18세기 유럽에서 탁월한 성과를 이룩한 문학·연극·음악·미술 장르에서의 예술 창조와 후원의 관계를 심도 있게 분석한다. 세르반테스, 루소, 바흐 등 우리에게 익숙한 예술가들의 이면 또한 풍부하게 살펴볼 수 있게 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신정환(지은이)
스페인 마드리드 대학교(Complutense)에서 문학박사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장 및 스페인어통번역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스페인·중남미 문학과 문화, 바로크 미학, 생태비평 등이 주요 연구 분야다. 저서로 『두 개의 스페인』, 『라틴아메리카 역사 산책』, 『라틴아메리카 환경이슈와 국제협력』(이상 공저) 등이, 역서로는 『7개의 목소리』, 『돈키호테 성찰』, 『달콤한 고통: 알폰시나 스토르니 시선집』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Language Ecology and Comparative Literature”, 「비교문학과 아날로지」, 「『돈키호테』, 매혹과 환멸의 서사시」 등이 있다. 한국바로크학회, 한국비교문학회, 한국스페인어문학회 등의 회장을 지냈다.
윤용욱(지은이)
서울 출생으로 1989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를 졸업했다. 1993년 동 대학원 졸업 후 스페인 국립마드리드대학교(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로 유학해서 2002년 17세기 스페인 연극에 대한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외대, 덕성여대, 전북대 등에 출강했으며, 현재는 한국외대 스페인어과 및 스페인어통번역학과 강사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로페 데 베가의 삶과 문학≫(한국외대출판부)이 있고, 역서로 ≪라 셀레스티나≫(지식을만드는지식)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셰익스피어의 ‘햄릿’과 로뻬 데 베가의 ‘복수 없는 처벌’의 비교 연구>, <‘국민연극’ 이전의 로뻬 연극에 대한 고찰>, <띠르소 데 몰리나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들과 문화적 개념으로서의 성 역할에 대한 부조리>, <‘환상적 진실’: 17세기 초 스페인 희극에 나타난 바로크적 변증법>, <로르까 비극의 비극성 연구>, <스페인 비극에 나타난 비(非)보수적 전통> 외 다수가 있다.
나주리(지은이)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피아노과를 졸업하고, 독일 마부르크 대학교에서 음악학(Musicology) 석사학위를,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음악학 박사학위(Ph. D.)를 취득했다. 현재 동덕여자대학교 예술대학 관현악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바흐의 ‘바이올린 솔로를 위한 소나타’의 푸가들. 그 작법과 의미의 특이성에 대하여”,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종교적 성악작품에 나타나는 악기의 상징성 - 칸타타와 수난곡의 레치타티보와 아리아를 중심으로”, “하이든의 대위법: 후기 교향곡의 경우”, “음악의 ‘메신저’로서의 여성: 근대 초기 합스부르크 가문 여성의 음악후원과 음악문화 전파” 등이 있고, 저서로는 『메세나와 상상력. 근대 유럽의 문학과 예술 후원』(공저), 『뮤직 테오리아』(공저), 역서로는 『베토벤』(공저), 『바흐의 아들들』(공저) 등이 있다. 바흐의 교회 칸타타 전곡 최초 한글 번역본인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교회 칸타타』의 해제를 썼다.
이영림(지은이)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수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루이 14세는 없다』, 『근대유럽의 형성』(공저), 『교육과 정치로 본 프랑스사』(공저)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사생활의 역사』 3, 『파리의 풍경』(공역) 등 다수가 있다.
손수연(지은이)
교수 | 홍익대학교 홍익대학교 예술학과와 대학원 미술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종교개혁 미술에 관한 글로 「루터는 미술에 반대하였는가」, 「종교개혁과 16세기 화가들」, 「17세기의 종교미술」을 『기독교 사상』 (2016년 3, 4, 5월)에 기고하였고, 종교미술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서문 메세나의 역사: 예술과 권력 _신정환·이영림 1. 메세나, 예술 창조의 목적인 2. 권력과 메세나 3. 근대 예술과 메세나 4. 예술의 독립과 메세나 5. 국가와 장르별로 본 메세나의 지형 변화 1부 스페인 문학 및 연극과 후원 스페인 황금세기 문화의 후원자들 _신정환 1. 황금세기의 정치와 예술 2. 절대군주와 가톨릭교회의 공적 후원 3. 총신 정치와 귀족의 사적 후원 4. 제국의 몰락과 예술의 영광 5. 대중사회의 개막과 공공 후원 스페인 연극의 발달과 메세나 _윤용욱 1. 연극의 발달과 후원자들 2. 공공 후원의 확대와 그 영향 공적 후원에서 공공 후원으로: 교회와 대중 요인을 중심으로 _윤용욱 1. ‘코메디아 누에바’와 가톨릭교회 2. 관객, 18세기 신고전주의 연극의 성패를 가르는 기준 3. 연극에 관한 교회의 윤리적 통제 4. 신고전주의 비극과 스페인 연극의 전통 5. 〈라켈〉의 성공과 공공 후원 2부 프랑스 문학과 후원 후원과 자립의 딜레마: 근대 프랑스 문학의 여정 _이영림 1. 왕실과 귀족의 사적 후원 2. 절대군주정의 성장과 공적 후원 체제의 확립 3. 살롱과 사적 후원의 부활 4. 독립에 대한 꿈과 현실 5. 공공 후원을 향하여 권력과 문학의 공생: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탄생 _이영림 1. 사적 후원에서 공적 후원으로: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설립 2.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목표와 성격 3. 권력과 문학의 변증법 4. 루이 14세의 친정과 공적 후원 체제의 확립 자립의 모색과 실험: 계몽사상가들의 이상과 현실 _이영림 1. 시대와 불화한 루소 2. 18세기 문인 사회와 후원 문화 3. 공적 후원과 사적 후원 4. 자립의 실험 5. 지적 자율성의 추구에서 문명의 고발로 3부 음악과 후원 음악과 후원, 공생의 역사 _나주리 1. 음악과 후원의 필연적 관계 2. 근대 이전의 공생 3. 근대의 공생 ‘과시’와 ‘선전’의 바로크 오페라: 바르베리니 가문의 오페라 후원 _나주리 1. 로마 오페라의 전통과 근대성에 이르는 길 2. 17세기 로마 교황의 재정 3. 바르베리니 가문의 오페라 후원: 〈고통받는 자여 희망을 가지라〉 4. 권력자의 통제적 후원이 일군 로마 오페라 빈고전주의 음악의 근대성: 합스부르크 제국의 황제와 귀족의 음악 후원 _나주리 1. 근대성으로의 또 다른 길 2. 합스부르크 황제의 음악 후원과 문화: 페르디난트 2세에서 칼 6세까지 3. 합스부르크 제국 귀족들의 음악 후원과 문화 4. 음악의 근대성, 음악 후원의 ‘진정한’ 근대성 4부 미술과 후원 서구 미술의 후원자들: 주문자에서 컬렉터로 _손수연 1. 르네상스의 후원자들 2. 바로크 군주들과 로코코 귀족들 3. 미술시장을 통한 대중 후원과 컬렉터들 미술시장을 통한 대중 후원: 네덜란드 황금시대의 메세나 _손수연 1. 네덜란드 황금시대의 미술 2. 대중 참여의 미술시장: 전시회, 경매와 복권 3. 주문을 통한 전통적인 거래: 역사화와 초상화 4. 아트딜러들의 활동 5. 근대적 후원의 출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