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82231 | |
005 | 20190502101505 | |
007 | ta | |
008 | 190502s2018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1874281 ▼g 04910 | |
020 | 1 | ▼a 9788961874069 (세트) |
035 | ▼a (KERIS)BIB000015089821 | |
040 | ▼a 222003 ▼c 222003 ▼d 211009 | |
082 | 0 4 | ▼a 320.9519 ▼2 23 |
085 | ▼a 320.953 ▼2 DDCK | |
090 | ▼a 320.953 ▼b 2018z22 | |
100 | 1 | ▼a 홍면기 ▼g 洪冕基 |
245 | 1 0 | ▼a 연변 조선족 사회와 한반도 평화 통일 / ▼d 홍면기 지음 |
260 | ▼a 서울 : ▼b 동북아역사재단, ▼c 2018 | |
300 | ▼a 166 p. : ▼b 천연색삽화 ; ▼c 20 cm | |
440 | 0 0 | ▼a 동북아역사재단 교양총서 ; ▼v 04 |
504 | ▼a 참고문헌(p. 159-160)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0.953 2018z22 | 등록번호 1118087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0.953 2018z22 | 등록번호 1118149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홍면기(지은이)
국제정치 전공.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이며, 독도체험관장이다. 주요 논저로 『영토적 상상력과 통일의 지정학』, 『한반도 평화 번영을 위한 분야별 거버넌스 제도화 방안』(공저), 『동아시아 평화와 초국경협력』(공저), 『통일의 신지정학』(공저),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기원』(역서), 「장보고의 해상 활동과 미래 한국의 국가 전략 : 한반도 미래 비전과 지정학적 정체성의 모색」, 「‘동해 평화론’ 서설 : 소통·협력 공간으로서의 동해와 한반도의 역할」, 「재외한인 네트워크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외 다수가 있다.

목차
여는 글 잃어버린 지평선 제1장 통일공간의 재편과 연변, 조선족 1 국제질서와 생태의 지속과 변화 2 통일공간의 변화와 재구성 3 연변, 조선족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제2장 조선족 사회의 변화·발전과 역사의 유산 1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발전 2 과경성(跨境性)의 기회와 딜레마 3 역사의 유산 제3장 초국경 공간에서의 경쟁과 협력 1 중국의 변강 ‘재영역화’ 정책 2 연변의 탈경계, 탈경계의 연변 3 경쟁과 협력 사이의 문제들 제4장 갈라진 집은 서 있을 수 없다 1 한국인과 조선족, 그 굴절된 상호 인식 2 네트워크가 힘이다 : 화교와 유태인의 경우 3 남과 북 : ‘분단형’ 재외동포 정책의 한계 제5장 조선족 사회는 평화와 통일의 지렛대가 될 것인가 1 화교, 유태인의 성공 요인과 조선족 사회 2 재외동포(조선족) 정책의 환경과 방향 3 미래지향적·진취적 역사인식을 갖는다는 것 닫는 글 문제의 핵심은 다시 남북 관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