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쉽게 풀어쓴 「한국어 어문규범」

쉽게 풀어쓴 「한국어 어문규범」 (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강미영 姜美英 김수정 金秀貞, 저 임지영 林志永, 저
서명 / 저자사항
쉽게 풀어쓴 「한국어 어문규범」 / 강미영, 김수정, 임지영 공저
발행사항
서울 :   박문사,   2019  
형태사항
413 p. ; 26 cm
ISBN
9791189292270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09-413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81622
005 20190423170917
007 ta
008 190422s2019 ulk b 000c kor
020 ▼a 9791189292270 ▼g 137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95.715 ▼2 23
085 ▼a 497.15 ▼2 DDCK
090 ▼a 497.15 ▼b 2019
100 1 ▼a 강미영 ▼g 姜美英
245 1 0 ▼a 쉽게 풀어쓴 「한국어 어문규범」 / ▼d 강미영, ▼e 김수정, ▼e 임지영 공저
246 3 0 ▼a 한국어 어문규범
260 ▼a 서울 : ▼b 박문사, ▼c 2019
300 ▼a 413 p. ; ▼c 26 cm
504 ▼a 참고문헌: p. 409-413
700 1 ▼a 김수정 ▼g 金秀貞, ▼e
700 1 ▼a 임지영 ▼g 林志永,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5 2019 등록번호 1118084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반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어문규범 해설서가 필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저자가 대학 강단과 언어교육원, 국립국어원과 국어문화원, 한국어교원양성과정 2급과 3급 강의를 진행하면서 얻은 경험과 4대 규범인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조항과 함께 2017년 새롭게 보완된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의 <해설>을 참고했다.

한국어 어문규범은 우리말과 글을 적는 규칙을 정한 것으로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4대 규범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4대 규범의 조항이나 이를 쉽게 풀어쓴 「해설」에 담긴 내용이 ‘문법’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고, 생소한 용어나 전문 용어가 포함되어 있어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 책은 일반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어문규범 해설서가 필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필자의 대학 강단과 언어교육원, 국립국어원과 국어문화원, 한국어교원양성과정 2급과 3급 강의를 진행하면서 얻은 경험과 4대 규범인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조항과 함께 2017년 새롭게 보완된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의 <해설>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생각하였다.
첫째, 4대 규범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온전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책을 쓰다보면 욕심을 부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대중들에게 멀어지게 되는데 이 책은 이 점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였다. 어려운 용어는 쉽게 풀어서 쓰고, 조항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전문 용어는 조항 설명에 앞서 제시하였다. 둘째, 조항에 이견이 있거나 견해가 분명하지 않은 부분은 <더 알아두기>를 두어 학계의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규정에서 논란이 되는 문제를 제기하여 독자들이 좀 더 관심을 갖고 규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분량 측면에서 조항에 제시되어 있는 단어를 모두 다루지는 못하지만 각주를 통해 뜻풀이를 최대한 제시하였다.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은 1988년에 고시된 이후 일부 개정의 과정을 거쳤음에도 조항에 제시되어 있는 단어의 일부가 우리의 언어 현실과 거리가 있어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 책에서는 조항을 이해하는 데 쉽도록 조항에 제시된 단어의 뜻을 각주를 통해 상세히 기술하였고, 변화한 언어 현실을 풀이 과정에 반영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장] 한글 맞춤법론 
1.1. ‘한글 맞춤법’의 개념과 개정 과정 
1.2. 「한글 맞춤법」(1988) 해설 
제1장 총 칙 
제2장 자 모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6장 그 밖의 것 
부록 문장 부호 

[제2장] 띄어쓰기론 
2.1. ‘띄어쓰기’ 기본 원리와 개정 과정 
2.2. 「한글 맞춤법」(1988)의 ‘띄어쓰기’ 규정 해설 
제1절 조사 
제2절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3절 보조 용언 
제4절 고유 명사 및 전문 용어 

[제3장] 표준어론 
3.1. 표준어의 개념과 규정의 개정 
3.2. 「표준어 사정 원칙」(1988) 세칙 해설 
제1장 총칙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3장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부록] 추가된 표준어 목록 

[제4장] 표준 발음법론 
4.1. 표준 발음법의 개념과 개정의 과정 
4.2. 「표준 발음법」(1988) 세칙 해설 
제1장 총칙 
제2장 자음과 모음 
제3장 음의 길이 
제4장 받침의 발음 
제5장 음의 동화 
제6장 경음화 
제7장 음의 첨가 

[제5장] 외래어 표기법 
5.1. ‘외래어 표기법’ 개념과 개정 과정 
5.2. ‘외래어 표기법’ 해설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2장 표기 일람표 
제3장 표기 세칙 
제4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부칙] 

[제6장] 로마자 표기법론 
6.1. ‘로마자 표기법’의 개념과 개정 과정 
6.2.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2000) 해설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2장 표기 일람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 
[부록 1] 이름에 자주 쓰이는 음절의 로마자 표기 
[부록 2] 영문 번역 표기의 원칙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