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집합적 행동논리와 사회적 자본 담본

집합적 행동논리와 사회적 자본 담본 (1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종화 朴鍾和
서명 / 저자사항
집합적 행동논리와 사회적 자본 담본 / 박종화
발행사항
서울 :   대영문화사,   2018  
형태사항
413 p. ; 26 cm
ISBN
9788976447111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81573
005 20190423121245
007 ta
008 190419s2018 ulk b 001c kor
020 ▼a 9788976447111 ▼g 93350
035 ▼a (KERIS)BIB000014940273
040 ▼a 211015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02.4 ▼2 23
085 ▼a 302.4 ▼2 DDCK
090 ▼a 302.4 ▼b 2018z1
100 1 ▼a 박종화 ▼g 朴鍾和 ▼0 AUTH(211009)144244
245 1 0 ▼a 집합적 행동논리와 사회적 자본 담본 / ▼d 박종화
246 1 1 ▼a Collective action and social capital
260 ▼a 서울 : ▼b 대영문화사, ▼c 2018
300 ▼a 413 p. ; ▼c 26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536 ▼a 이 책은 2015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5S1A6A4A01009515)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4 2018z1 등록번호 1118083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2.4 2018z1 등록번호 1513497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4 2018z1 등록번호 1118083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2.4 2018z1 등록번호 1513497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서 문/3 

제1부 사회적 자본의 개념화 
제1장 공공정책과 사회적 자본19 

제1절 머리말19 
제2절 정책자원으로서의 사회적 자본22 
1. 사회적 배제의 위험성을 배려하는 정책/24 
2. 인생-행로 전이를 지원하는 정책/25 
3. 커뮤니티 개발정책/26 
제3절 정책결과로서의 사회적 자본29 
1. 수명기회의 향상/30 
2. 보다 나은 거버넌스/30 
3. 시장실패의 극복/32 
4. 형평성의 개선/33 
5. 외부성(externalities)의 관리/34 
6. 쇠퇴의 저지/35 
제4절 맺음말과 공공정책상의 함의36 

제2장 사회적 자본의 의미42 

제1절 머리말42 
제2절 사회적 자본의 형태와 정의43 
1. 사회적 자본의 형태/44 
2. 사회적 자본의 개념화/45 
제3절 집합적 행동의 딜레마47 
1. 파당의 해악/47 
2. 집합적 행동 딜레마의 원인/49 
제4절 사회적 자본의 원천, 유형, 영향51 
1. 사회적 자본의 원천/52 
2. 사회적 자본의 유형/53 
3. 사회적 자본의 영향/54 
제5절 호혜성의 규범과 네트워크56 
1. 호혜성의 규범/57 
2. 집합적 행동 문제/58 
3. 네트워크/60 
제6절 맺음말63 

제3장 집합적 행동의 논리69 

제1절 머리말69 
제2절 전통적 집합적 행동 이론71 
1. 전통적 집합적 행동 이론의 전제/72 
2. 공통이익과 개별이익/73 
3. 무임승차의 유혹/74 
제3절 제1세대 집합적 행동 이론75 
1. 제1세대 집합적 행동 이론의 전제/76 
2. 공통이익과 개별 인센티브/77 
3. 제1세대 집합적 행동 이론의 한계/78 
제4절 제2세대 집합적 행동 이론80 
1. 집합적 행동의 편익과 한계/80 
2. 집합적 행동에서 사회적 자본의 역할/82 
3. 가상적 집합적 행동 상황/83 
제5절 죄수의 딜레마 게임과 정책적 처방90 
1. 죄수의 딜레마 게임/91 
2. 정책적 처방/96 
제6절 맺음말100 


제2부 사회적 자본의 정책 적용 
제4장 사회적 자본의 기능109 

제1절 머리말109 
제2절 사회적 자본의 긍정적 기능111 
1. 교육과 어린이 행복/111 
2. 안전한 동네/113 
3. 경제적 번영/116 
4. 건강과 행복/121 
5. 민주주의/127 
제3절 사회적 자본의 부정적 기능130 
1. 정치적 부패/131 
2. 네트워크 폐쇄/133 
3. 집단사고/135 
제4절 맺음말138 

제5장 사회적 자본의 역기능성-RIS 차원의 해부144 

제1절 머리말144 
제2절 사회적 자본과 지역혁신체계(RIS)146 
1. 사회적 자본/147 
2. 지역혁신체계/149 
3. 사회적 자본과 지역혁신체계의 관계/151 
제3절 지역혁신체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역기능성154 
1. 네트워크 폐쇄/154 
2. 집단사고/157 
3. 과잉동조/160 
제4절 정책적 함의162 
1. 구조적 차원/163 
2. 관계적 차원/165 
3. 인식적 차원/167 
제5절 맺음말169 

제6장 사회적 자본의 분포 불균등성176 

제1절 머리말176 
제2절 이론적 고찰177 
1. 사회적 자본의 정의/178 
2. 사회적 자본의 종류/180 
3. 호혜성과 집합적 행동/181 
제3절 사회적 자본의 잠재적 편익과 한계: 기존 분석결과의 요약183 
1. 잠재적 편익/184 
2. 잠재적 한계/185 
제4절 사회적 자본의 분포 불균등성의 의미와 문제점187 
1. 분포 불균등성의 의미/187 
2. 분포 불균등성의 문제점/188 
제5절 처방적 정책논리194 
1. 참여적 거버넌스/194 
2. 자발적 협력형 내적 조건의 창출/196 
3. 공공재적 속성 고려/198 
4. 새 형태의 공동체 역동성/200 
제6절 맺음말203 

제7장 사적 도시공간의 공적이용-사회적 근접성의 영향209 

제1절 머리말209 
제2절 이론적?제도적 고찰212 
1. 도시재생 패러다임의 변화와 생활인프라/213 
2. 근접성 개념의 다의성과 사회적 근접성/215 
3. 생활밀착형 공공공간에서 사회적 근접성의 의미/217 
제3절 사례의 분석219 
1. 사례의 개요/220 
2. 사례의 내용분석/223 
3. 사회적 근접성의 영향과 그 한계/236 
제4절 정책적 함의239 
1. 조직 구조적 차원/239 
2. 실행 관계적 차원/241 
3. 성과 확산적 차원/244 
제5절 맺음말 247 

제3부 사회적 자본의 측정 이론과 경험 
제8장 사회적 자본의 측정257 

제1절 머리말257 
제2절 사회적 자본의 정의와 형태258 
1. 사회적 자본의 정의/259 
2. 사회적 자본의 형태/263 
제3절 사회적 자본의 측정상의 유의점과 지표270 
1. 사회적 자본의 측정상의 유의점/271 
2. 사회적 자본의 지표/273 
제4절 맺음말277 

제9장 사회적 자본 측정의 실제282 

제1절 머리말282 
제2절 사회적 자본의 측정사례284 
1. 사회적 자본과 도시경쟁력/285 
2. 벤처기업 연계협력과 사회적 자본/295 
3.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과 사회적 자본 형성/300 
제3절 사회적 자본 측정 경험의 분석결과305 
1. 사회적 자본과 도시경쟁력 간의 분석결과/306 
2. 벤처기업 연계협력, 신뢰, 성과 간의 분석결과/308 
3.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과 사회적 자본 형성 간의 분석결과/322 
제4절 사회적 자본 측정 결과의 정책적 함의329 
1. 사회적 자본과 도시경쟁력 간의 분석결과의 정책적 함의/329 
2. 벤처기업 연계협력, 신뢰, 성과 간의 분석결과의 정책적 함의/332 
3.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과 사회적 자본 형성 분석결과의 정책적 함의/334 
제5절 맺음말336 

제4부 미래의 과제와 비전 
제10장 한국사회에서의 사회적 자본345 

제1절 머리말345 
제2절 한국사회와 신뢰350 
1.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의 경험/352 
2. 압축성장과 제로섬 기업문화/356 
제3절 사회적 자본과 개발정책360 
1. 뉴 노멀 현상/361 
2. 사회적 분열과 사회적 배제/363 
3. 포용적 성장과 사회적 자본/369 
제4절 국외의 경험에서 얻는 교훈373 
1. 불타는 나폴리/373 
2. 협력과정과 정직의 눈/377 
3. 터키 알라니아 어장/379 
4. 공유경제/382 
제5절 한국의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3대 방향386 
1. 공적신뢰의 회복/387 
2. 열린 네트워크로의 이행/391 
3. 공동체 정신의 함양/393 
제6절 맺음말398 

후 기/405 
찾아보기/411

관련분야 신착자료

Kylie Jarrett (2022)
Stirner, Max (2023)
김원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