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뉴미디어 영화론 : 수용에서 수행으로

뉴미디어 영화론 : 수용에서 수행으로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무규
서명 / 저자사항
뉴미디어 영화론 : 수용에서 수행으로 = Theory of new media film : from reception to performance / 김무규 지음
발행사항
[서울] :   경진출판,   2017  
형태사항
347 p. : 삽화 ; 23 cm
ISBN
9788959965595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29-347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80691
005 20190417132618
007 ta
008 190416s2017 ulka b 000c kor
020 ▼a 9788959965595 ▼g 93680
035 ▼a (KERIS)BIB000014687543
040 ▼a 211063 ▼c 211063 ▼d 211009
082 0 4 ▼a 791.4301 ▼2 23
085 ▼a 791.4301 ▼2 DDCK
090 ▼a 791.4301 ▼b 2017z1
100 1 ▼a 김무규 ▼0 AUTH(211009)91058
245 1 0 ▼a 뉴미디어 영화론 : ▼b 수용에서 수행으로 = ▼x Theory of new media film : from reception to performance / ▼d 김무규 지음
260 ▼a [서울] : ▼b 경진출판, ▼c 2017
300 ▼a 347 p. : ▼b 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329-347
536 ▼a 이 저서는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4S1A6A4027492)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1 2017z1 등록번호 1118080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미디어가 무엇인가 혹은 뉴미디어가 무엇인가와 같이 아주 기본적인 연구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해 생각해 본다. 그리고 뉴미디어가 미디어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다. 피상적으로 다르게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원리나 효과에서 과거의 미디어와 다르지 않다고 생각되는 특징을 과감히 배제하였다. 그리하여 진정한 뉴미디어의 새로움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 책의 제목이 미디어나 영화처럼 매우 익숙한 말로 되어 있지만 익숙하지 않는 체계 이론이나 수행 이론을 상대적으로 길게 다루었다. 왜냐하면 그러한 인식론에 가까운 토대로부터 개념에 대한 이해와 그 구성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책의 후반부에 언급된 영화 사례도 그러한 취지에서 다루어졌다. 실제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영화나 혹은 체감되는 영화의 변화를 담아내려고 하지 않았다.

오히려 디지털 영화라고 불리는 다양한 현상들 가운데 이 글이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뉴미디어 개념과 잘 어울리는 것을 우선 고려하였다. 그리하여 디지털 기술을 차용한 영화들 가운데 주류 영화보다 영화라고 할 수 있을지 잘 모를 영화들, 실험적이라고 할 수도 있으며 혹은 특별하다고 생각되는 영화도 언급하였다. 다시 말해서 제안하려는 개념에 적합한 ‘모델’을 찾으려 했다.

미디어에 의한 영향과 변화가 점차 커지고 있다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며 그것을 변화시키는 요인들은 다양하지만, 그 가운데 미디어에 의한 영향과 변화가 점차 커지고 있다는 사실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그와 동시에 기술과 미디어의 발전을 어떠한 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가, 혹은 그것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가의 문제도 매우 중요해졌다. 우리를 둘러싼 환경과 현상을 파악하는 일과 아울러 그것의 가치를 따져보고 또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는 일, 이 모든 일에 서둘러 착수해야 한다.

진정한 뉴미디어의 새로움이 무엇인지 살펴보다

이 책은 미디어가 무엇인가 혹은 뉴미디어가 무엇인가와 같이 아주 기본적인 연구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뉴미디어가 미디어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다. 피상적으로 다르게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원리나 효과에서 과거의 미디어와 다르지 않다고 생각되는 특징을 과감히 배제하였다. 그리하여 진정한 뉴미디어의 새로움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 책의 제목이 미디어나 영화처럼 매우 익숙한 말로 되어 있지만 익숙하지 않는 체계 이론이나 수행 이론을 상대적으로 길게 다루었다. 왜냐하면 그러한 인식론에 가까운 토대로부터 개념에 대한 이해와 그 구성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책의 후반부에 언급된 영화 사례도 그러한 취지에서 다루어졌다. 실제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영화나 혹은 체감되는 영화의 변화를 담아내려고 하지 않았다. 오히려 디지털 영화라고 불리는 다양한 현상들 가운데 이 글이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뉴미디어 개념과 잘 어울리는 것을 우선 고려하였다. 그리하여 디지털 기술을 차용한 영화들 가운데 주류 영화보다 영화라고 할 수 있을지 잘 모를 영화들, 실험적이라고 할 수도 있으며 혹은 특별하다고 생각되는 영화도 언급하였다. 다시 말해서 제안하려는 개념에 적합한 ‘모델’을 찾으려 했다.

뉴미디어란 새로운 미디어가 아니라 항상 새로워질 수 있는 미디어

이 책은 뉴미디어나 영화의 문제를 인문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뉴미디어란 새로운 미디어가 아니라 항상 새로워질 수 있는 미디어라고 정의하는 것이 이 책의 주된 테제이다. 즉 새로움을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는 주장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이 책에서 새로운 주장이나 테제가 제안되었다고 해서 그것으로 만족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것을 계기로 많은 비판과 고찰이 이루어지고 뉴미디어에 대한 새로운 테제, 또는 그와 관련된 많은 연구문제가 계속해서 제기될 수 있었으면 한다. 지속적인 변화는 이 책이 주목하는 가장 중요한 의미이며 그 의미도 또한 지속적으로 변화되었으면 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무규(지은이)

국립 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독어독문학을 공부하고 독일 콘스탄츠 대학교 미디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로 영화이론, 영상이론 그리고 미디어이론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미디어의 배열: 상호 미디어성 이론 연구≫(2003)와 ≪서사적 영상에서 성찰적 형상으로: 영화 미디어론≫(2012), 그리고 공저서인 ≪영상과 상호미디어성≫(2013)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서론: 인식론과 방법론 
1. 연구의 인식론적 토대 
2. 연구의 방법론과 구성 

제2장 뉴미디어의 체계적 분산 
1. 뉴미디어 개념의 문제점과 제안 
2. 집중과 분산, 몰입과 관조 
3. 개방적 체계와 뉴미디어 

제3장 뉴미디어의 우연한 수행 
1. 구조의 역설과 수행의 사건성 
2. 디지털 퍼포먼스 

제4장 뉴미디어 영화 
1. 디지털 영화의 집중과 분산 
2. 영화를 넘어선 디지털 영화 
3. 몰입에서 분산으로, 수용에서 수행으로 

제5장 결론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