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서비스 운영이 쉬워지는) AWS 인프라 구축 가이드 : 서버 구축부터 배포, 모니터링, 관리 자동화, 데브옵스까지 (Loan 1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담형
Title Statement
(서비스 운영이 쉬워지는) AWS 인프라 구축 가이드 : 서버 구축부터 배포, 모니터링, 관리 자동화, 데브옵스까지 / 김담형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위키북스,   2019  
Physical Medium
xiv, 342 p. : 삽화 ; 25 cm
Series Statement
위키북스 클라우드 컴퓨팅 시리즈 ;004
ISBN
9791158391317
General Note
색인수록  
부록: A. 윈도우에서 PuTTY 설치, SSH 접속키 설정, 접속하기, B. macOS, 리눅스에서 SSH 접속하기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79989
005 20190409110646
007 ta
008 190408s2019 ggka 001c kor
020 ▼a 9791158391317 ▼g 93000
035 ▼a (KERIS)BIB000015059686
040 ▼a 241049 ▼c 241049 ▼d 211009
082 0 4 ▼a 006.78 ▼2 23
085 ▼a 006.78 ▼2 DDCK
090 ▼a 006.78 ▼b 2019
100 1 ▼a 김담형
245 2 0 ▼a (서비스 운영이 쉬워지는) AWS 인프라 구축 가이드 : ▼b 서버 구축부터 배포, 모니터링, 관리 자동화, 데브옵스까지 / ▼d 김담형 지음
260 ▼a 파주 : ▼b 위키북스, ▼c 2019
300 ▼a xiv, 342 p. : ▼b 삽화 ; ▼c 25 cm
440 0 0 ▼a 위키북스 클라우드 컴퓨팅 시리즈 ; ▼v 004
500 ▼a 색인수록
500 ▼a 부록: A. 윈도우에서 PuTTY 설치, SSH 접속키 설정, 접속하기, B. macOS, 리눅스에서 SSH 접속하기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006.78 2019 Accession No. 12124851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WS나 클라우드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이 AWS 서비스를 잘 활용해 실전에서 바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게 도와준다. 기초적인 서버 구성 방법부터 배포, 모니터링, CI/CD 같은 고도화 등 운영 서버 관리에 필요한 모든 영역을 다룬다. 이론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실무에서 바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30개 가량의 실습이 포함돼 있으며, 환경 구성은 물론 다양한 서비스 사용 시 발생하는 예외 상황에 바로 대처할 수 있게 돕는다.

AWS와 서비스 운영에 첫걸음을 내디딜 수 있게 도와준다!
서비스 개발과 인프라 관리를 담당하는 실무자의 운영 노하우를 배우자!


이 책은 AWS나 클라우드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이 AWS 서비스를 잘 활용해 실전에서 바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게 도와준다. 기초적인 서버 구성 방법부터 배포, 모니터링, CI/CD 같은 고도화 등 운영 서버 관리에 필요한 모든 영역을 다룬다.

이론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실무에서 바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30개 가량의 실습이 포함돼 있으며, 환경 구성은 물론 다양한 서비스 사용 시 발생하는 예외 상황에 바로 대처할 수 있게 돕는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담형(지은이)

서강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했으며 보안 회사에서 웹 서버 개발로 개발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현재는 드라마앤컴퍼니에서 서버 파트 리더로 API 개발과 인프라 관리를 맡고 있다. 패스트캠퍼스에서 '운영 서버 관리 마스터 워크샵'이라는 주제로 여러 차례 강의를 진행했다. 사람이 하는 일을 어떻게 기계에 떠넘길 수 있는지 늘 고민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1부] AWS를 이용한 운영 서버 환경 구축 

▣ 01장: 운영 서버와 AWS 소개 
1.1 운영 서버	
1.2 운영 서버 관리의 세 단계	
1.3 AWS	
__1.3.1 AWS의 탄생 배경	
__1.3.2 운영 서버에 필요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AWS	
__1.3.3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로서의 AWS	
__1.3.4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을 써야 하는 이유	
__1.3.5 전 세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AWS	
__1.3.6 회원 가입	
__1.3.7 무료로 AWS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	

▣ 02장: 운영 서버 환경의 구성 
2.1 운영 서버 아키텍처의 이해	
__2.1.1 단일 서버	
__2.1.2 애플리케이션/데이터베이스 서버 분리	
__2.1.3 서버 단위의 로드 밸런서	
__2.1.4 서버 내 앱 단위의 로드 밸런서	
2.2 AWS EC2를 이용한 서버 인스턴스 생성과 관리	
__2.2.1 EC2	
__2.2.2 EC2를 생성하려면 꼭 알아야 하는 개념	
__2.2.3 [실습] AWS EC2 인스턴스 생성	
__2.2.4 [실습] 샘플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한 서버 환경 구성 
2.3 소스코드 배포	
__2.3.1 Git을 이용한 소스코드 배포	
__2.3.2 [실습] Git으로 EC2 인스턴스에 코드 배포하기	
2.4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__2.4.1 웹 서버	
__2.4.2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__2.4.3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사용	
__2.4.4 클라이언트의 요청 이동 경로	
__2.4.5 nginx, Phusion Passenger	
__2.4.6 [실습] nginx, Phusion Passenger 설치 및 서비스	
__2.4.7 [실습] nginx, Phusion Passenger 서비스 명령어 추가	
__2.4.8 [실습] 시스템 시작 시 자동 시작 서비스에 등록	
__2.4.9 [실습] 하나의 서버에서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하기	
2.5 정리	

▣ 03장: 다중 서버 환경 구성 
3.1 AWS Auto Scaling 그룹을 이용한 다중 서버 구성	
__3.1.1 AWS Auto Scaling 그룹	
__3.1.2 AWS Auto Scaling 그룹의 응용 예	
__3.1.3 AWS Auto Scaling 그룹의 구성	
__3.1.4 [실습] Auto Scaling 그룹 생성	
__3.1.5 Auto Scaling 그룹 화면 구성	
__3.1.6 [실습] Auto Scaling을 통한 인스턴스 자동 추가, 제거	
__3.1.7 Auto Scaling 그룹 개념 정리	
3.2 AWS Elastic Load Balancing을 이용한 서버 트래픽 분산 관리	
__3.2.1 Elastic Load Balancing	
__3.2.2 대상 그룹	
__3.2.3 로드 밸런서의 상태 검사	
__3.2.4 [실습] Auto Scaling 그룹, 대상 그룹, 로드 밸런서 구성	
3.3 장애 조치 아키텍처 구성	
__3.3.1 Auto Scaling 그룹을 이용한 장애 조치	
__3.3.2 [실습] Auto Scaling 그룹과 로드 밸런서를 통한 장애 조치	
3.4 정리	

▣ 04장: 운영 서버의 외부 환경 구성 
4.1 도메인, DNS	
4.1.1 도메인	
__4.1.2 [실습] AWS Route 53을 이용한 도메인 등록	
__4.1.3 [실습] 로드 밸런서에 도메인 등록	
4.2 SSL/TLS, HTTPS	
__4.2.1 SSL/TLS 인증서, HTTPS 동작 방식	
__4.2.2 SSL/TLS 인증서의 가격	
__4.2.3 SSL/TLS 인증서 설치 방법	
__4.2.4 [실습] AWS Certificate Manager를 통한 SSL/TLS 인증서 등록	
4.3 정리	

▣ 05장: 배포 과정 
5.1 배포 관련 용어	
__5.1.1 무중단/중단 배포	
__5.1.2 현재 위치 배포	
__5.1.3 서버 단위의 블루/그린 배포	
__5.1.4 서버 내 블루/그린 배포	
5.2 블루/그린 배포	
__5.2.1 배포에 필요한 절차	
__5.2.2 [실습] 블루/그린 배포	
5.3 정리	

▣ 06장: 배포 자동화 
6.1 AWS IAM	
__6.1.1 IAM 설명	
__6.1.2 용어	
6.2 AWS CodeDeploy	
__6.2.1 CodeDeploy 설명	
__6.2.2 CodeDeploy 작동 절차	
__6.2.3 CodeDeploy 구성 요소	
__6.2.4 [실습] CodeDeploy로 현재 위치 배포 진행하기	
__6.2.5 기타	
6.3 정리	

▣ 07장: 비밀 값 관리 
7.1 비밀 값	
__7.1.1 비밀 값 관리 원칙	
7.2 관리 방법	
__7.2.1 배포 자동화 툴	
__7.2.2 Blackbox	
__7.2.3 Vault	
__7.2.4 AWS Secrets Manager	
__7.2.5 [실습] Secrets Manager 사용법	
__7.2.6 AWS Systems Manager의 파라미터 스토어	
__7.2.7 어떤 방법을 쓸 것인가?	
7.3 정리	

▣ 08장: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활용 
8.1 모니터링의 목적과 영역	
8.2 AWS CloudWatch	
__8.2.1 AWS CloudWatch 설명	
__8.2.2 CloudWatch 지표	
__8.2.3 [실습] CloudWatch에 사용자 지정 지표 기록	
__8.2.4 [실습] CloudWatch Agent로 메모리, 디스크 사용량 지표, 로그 기록	
__8.2.5 CloudWatch 대시보드	
__8.2.6 [실습] CloudWatch 대시보드 생성	
__8.2.7 CloudWatch 경보	
__8.2.8 [실습] CloudWatch 경보 생성	
8.3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툴	
__8.3.1 APM 툴 설명	
__8.3.1 NewRelic APM	
8.4 정리	


[2부] 고도화된 운영 서버 관리 

▣ 09장: 로그 분석 
9.1 AWS CloudWatch Logs	
__9.1.1 CloudWatch Logs 소개	
__9.1.2 [실습] CloudWatch Log에 로그 적재	
9.2 Elastic Stack	
__9.2.1 Elastic Stack 설명	
__9.2.2 [실습] Elastic Stack 구축	
9.3 정리	

▣ 10장: 자동화된 서버 관리 
10.1 AWS Elastic Beanstalk	
__10.1.1 Elastic Beanstalk 소개	
__10.1.2 Elastic Beanstalk의 장단점	
__10.1.3 웹 애플리케이션 환경, 작업자 환경	
__10.1.4 [실습] Elastic Beanstalk으로 배포하기	
__10.1.5 Elastic Beanstalk를 이용한 서비스 관리	
10.2 정리	

▣ 11장: 데브옵스 
11.1 데브옵스란?	
__11.1.1 지속적 통합(CI) 소개	
__11.1.2 지속적 전달, 지속적 배포(CD) 소개	
__11.1.3 AWS와 데브옵스	
11.2 AWS CodePipeline	
__11.2.1 AWS CodePipeline 설명	
__11.2.2 [실습] AWS CodePipeline 구성	
11.3 정리	

▣ 12장: AWS를 더 잘 사용하기 위한 서비스 
12.1 프로그램으로 AWS의 기능 사용하기	
__12.1.1 AWS CLI	
__12.1.2 AWS SDK	
__12.1.3 [실습] AWS CLI 사용해보기	
12.2 파일 스토리지	
__12.2.1 EC2 인스턴스 스토어	
__12.2.2 EBS(Elastic Block Store)	
__12.2.3 EFS(Amazon Elastic File System)	
__12.2.4 S3(Simple Storage Service)	
12.3 EC2 인스턴스 비용 절감하기	
__12.3.1 스팟 인스턴스	
__12.3.2 예약 인스턴스	
12.4 파일 제공	
__12.4.1 S3	
__12.4.2 CloudFront	
12.5 데이터 저장	
__12.5.1 RDS	
__12.5.2 ElastiCache	
12.6 알림	
__12.6.1 SNS	
12.7 정리	

▣ 부록A: 윈도우에서 PuTTY 설치, SSH 접속키 설정, 접속하기	
▣ 부록B: macOS, 리눅스에서 SSH 접속하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Chellappa, Rama (2022)
Shneiderman, Ben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