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78420 | |
005 | 20200921172806 | |
007 | ta | |
008 | 190402s2019 ulkd 001c kor | |
020 | ▼a 9791130306919 ▼g 9332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39 ▼2 23 |
085 | ▼a 339 ▼2 DDCK | |
090 | ▼a 339 ▼b 2019 | |
100 | 1 | ▼a 이종화 ▼0 AUTH(211009)26650 |
245 | 1 0 | ▼a 거시경제학 = ▼x Macroeconomics / ▼d 이종화, ▼e 신관호 |
250 | ▼a 제3판 | |
260 | ▼a 서울 : ▼b 박영사, ▼c 2019 | |
300 | ▼a xxv, 761 p. : ▼b 도표 ; ▼c 27 cm | |
500 | ▼a 색인과 부록수록 | |
700 | 1 | ▼a 신관호, ▼e 저 ▼0 AUTH(211009)124781 |
770 | 0 | ▼t 거시경제학 : 연습문제 풀이집 ▼w 000046048781 ▼z 9791130308067 |
900 | 1 0 | ▼a Lee, Jong-wha, ▼e 저 |
900 | 1 0 | ▼a Shin, Kwan-ho,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9 | 등록번호 11180732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11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9 | 등록번호 1118136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9 | 등록번호 11181511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4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9 | 등록번호 11181829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4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9 | 등록번호 51105172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6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39 2019 | 등록번호 121250149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4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9 2019 | 등록번호 15135478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9 | 등록번호 11180732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11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9 | 등록번호 1118136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9 | 등록번호 11181511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4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9 | 등록번호 11181829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4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9 | 등록번호 51105172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6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39 2019 | 등록번호 121250149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4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9 2019 | 등록번호 15135478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번 개정판에서는 교과서의 본문, 표, 그림 등에서 실제 데이터 수치가 사용되는 경우 이를 가장 최신의 자료를 사용하여 업데이트 하였다. 제2장 사례연구에서는 한국의 GDP를 분배측면에서 살펴보고 노동소득 분배율을 측정하는 방법과 그 추이를 설명하였다. 제4장에 최근 한국경제에서 가장 큰 이슈 중 하나인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제7장에 5절을 추가하여 경제성장과 소득분배와의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제12장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기된 필립스곡선의 변화된 모습을 설명하였다. 제17장에 6절을 추가하고 정부부채의 증가가 어떠한 경제적 문제점을 가지는지 설명하였다. 제19장에 6절을 신설하여 실물경기 안정을 위해 통화정책이 새롭게 운영될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새롭게 포함된 이론들과 관련한 연습문제를 추가하였다.
3판 머리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거시경제학의 변화를 반영해 2014년에 본 서를 개정한 지 5년이 지났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와 비견할 정도는 아니지만 그 후에도 꾸준한 변화가 거시경제학에서 이루어졌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처음에 기대했던 것보다 더 많은 기간이 소요되자 이와 관련한 이슈들이 제기되었다. 또 기존의 거시경제학에서 다루지 않았던 몇몇 문제들도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사실이 보다 광범위하게 인식되었다.
본 개정판은 이러한 점들을 반영하여 다음과 같이 보강하였다.
첫째, 교과서의 본문, 표, 그림 등에서 실제 데이터 수치가 사용되는 경우 이를 가장 최신의 자료를 사용하여 업데이트 하였다.
둘째, 제2장 사례연구에서는 한국의 GDP를 분배측면에서 살펴보고 노동소득 분배율을 측정하는 방법과 그 추이를 설명하였다.
셋째, 제4장에 최근 한국경제에서 가장 큰 이슈 중 하나인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특히 수요· 공급 곡선을 이용하여 분석할 경우와 매칭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할 경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설명하였다.
넷째, 제7장에 5절을 추가하여 경제성장과 소득분배와의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소득분배가 나빠져 왔는데 이런 현상의 원인과 경제성장에 대한 함의를 주로 다루었다.
다섯째, 제12장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기된 필립스곡선의 변화된 모습을 설명하였다. 특히 가속도 필립스곡선의 의미를 설명하고 이에 대해 어떠한 의문들이 제기되고 있는지 설명하였다.
여섯째, 제17장에 6절을 추가하고 정부부채의 증가가 어떠한 경제적 문제점을 가지는지 설명하였다.
일곱째, 제19장에 6절을 신설하여 실물경기 안정을 위해 통화정책이 새롭게 운영될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실물경기의 후퇴가 심화되면서 통화정책이 실물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는데 이러한 점을 대폭 보강하여 설명하였다.
여덟째, 새롭게 포함된 이론들과 관련한 연습문제를 추가하였다.
이번에도 책을 개정하면서 많은 사람들의 도움이 있었다. 김진일 교수는 제2판을 강의교재로 사용하면서 새롭게 발견한 오류를 일일이 지적해 주었다. 또 이 책을 수 업시간에 교재로 사용한 학생들이 책의 오탈자를 이메일을 통해 알려주는 경우도 있었다. 책을 직접적으로 개정하는 과정에서 고려대학교 경제학과의 많은 대학원생들이 도움을 주었다. 엄태규는 통계자료의 업데이트와 수정된 원고의 교정작업을 도와주었다. 송은비는 제2장과 제7장의 수정 작업을 도와주었다. 김현정은 제3판을 처음부터 다시 읽으면서 오탈자를 찾아 주었다. 또 유재영도 새롭게 개정된 부분을 읽고 어색한 부분을 지적해 주었다. 박영사에서도 새로운 표지 디자인부터 교정까지 세심하게 도와주었다. 이 자리를 빌어 이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
2019년 2월
이종화 · 신관호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종화(지은이)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석사) 미국 하버드대학교 (경제학 박사) 국제 통화기금(IMF) 이코노미스트 미국 하버드대학교 경제학과 및 행정대학원 초빙교수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석 이코노미스트 겸 지역경제통합국장 청와대 국제경제보좌관 현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교수 [주요저서] “Education Matters. Global Schooling Gains from the 19th to the 21st Century” (with Robert J. Barro),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IMF Programs: Who Is Chosen and What Are the Effects?” (with Robert J. Barro),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52, October 2005. “How Does Foreign Direct Investment Affect Economic Growth?” (with Eduardo Borensztein and Jose De Gregorio),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45, June 1998. “International Measures of Schooling Years and Schooling Quality.” (with Robert J. Barro), American Economic Review, May 1996. “Capital Goods Imports and Long-Run Growth.”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48, September 1995.
신관호(지은이)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석사) 미국 UCLA (경제학 박사) 캔자스대학교 조교수 미국 UCLA, Claremont대학, 일본 오사카대학교 초빙교수 현 테셋(TESAT) 출제위원장 CESifo Fellow, University of Munich, Germany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교수 [주요저서] “Noncore Bank Liabilities and Financial Vulnerability.” (with Joon-Ho Hahm and Hyun Song Shin) Journal of Money, Credit and Banking, 45 (s1), 3-36, August 2013. “A Semiparametric Cointegrating Regression: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ge Distributions on Consumption and Saving.” (with Joon Y. Park and Yoon-Jae Whang), Journal of Econometrics, 2010. “The Role of a Variable Inp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stment and Uncertainty.” (with Jaewoo Lee), American Economic Review 90, June 2000. “Risk Sharing by Households Within and Across Regions and Industries.” (with Gregory D. Hess),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45, June 2000.

목차
PART I 거시경제학의 소개 01 장 거시경제학이란 1. 거시경제에서 다루는 문제들 …………………………………………………………………………………… 4 2. 거시경제학의 정의 …………………………………………………………………………………………………… 8 3. 거시경제학의 기본적인 접근방법 …………………………………………………………………………… 8 4. 거시경제학의 흐름 ………………………………………………………………………………………………… 11 본 서의 구성 …………………………………………………………………………………………………………… 16 정 리 ………………………………………………………………………………………………………………… 17 연습문제 …………………………………………………………………………………………………………………… 18 02 장 국민경제의 구조와 거시경제변수들의 이해 1. 국민경제 순환모형 ………………………………………………………………………………………………… 22 2. 국내총생산 ……………………………………………………………………………………………………………… 29 1- 국내총생산의 개념 / 30 2- 명목GDP와 실질GDP / 32 3- 생산, 지출, 분배(소득) GDP / 35 4- 총저축·총투자 / 42 5- 국내총생산과 국민총소득 그리고 다른 유용한 개념들 / 44 6- GDP의 한계 / 49 3. 물 가 …………………………………………………………………………………………………………………… 52 4. 실 업 률 …………………………………………………………………………………………………………………… 57 5. 실업률과 실질GDP 간의 관계: 오쿤의 법칙 ……………………………………………………… 60 정 리 …………………………………………………………………………………………………………………… 63 연습문제 …………………………………………………………………………………………………………………… 65 부록 로그 차분과 성장률의 근사값 ………………………………………………………………………… 68 PART II 완전고용하에서의 소득, 고용, 물가의 결정 03 장 완전고용하에서의 국민소득 결정 1. 시장균형과 국민소득의 결정 ………………………………………………………………………………… 76 1- 생산물시장의 균형 / 76 2- 대부자금시장의 균형 / 87 2. 균형국민소득의 변화 …………………………………………………………………………………………… 92 1- 투자수요의 외생적 감소의 효과 / 92 2- 정부지출 증가의 효과 / 94 3- 조세 증가의 효과 / 97 정 리 …………………………………………………………………………………………………………………… 99 연습문제 ……………………………………………………………………………………………………………………100 부록 기업의 이윤극대화조건 …………………………………………………………………………………103 04 장 노동시장과 실업 1. 노동시장의 수요와 공급 …………………………………………………………………………………………106 1- 노동시장의 소개 / 106 2- 노동수요의 결정 / 106 3- 노동공급의 결정 / 112 4- 노동시장의 균형 / 119 2. 실업의 종류 ……………………………………………………………………………………………………………121 3. 노동시장의 균형과 실업 …………………………………………………………………………………………123 1- 노동시장 균형에 대한 해석 / 123 2- 균형에 대한 새로운 해석 / 126 4. 노동시장의 불균형과 경기적 실업 ………………………………………………………………………132 1- 명목임금의 경직성 / 133 2- 실질임금의 경직성 / 138 정 리 ……………………………………………………………………………………………………………………147 연습문제 ……………………………………………………………………………………………………………………149 05 장 화폐와 인플레이션 1. 화폐와 통화량 …………………………………………………………………………………………………………154 1- 화폐 / 154 2- 통화량 / 156 3- 통화공급 / 156 2. 화폐의 수요 ……………………………………………………………………………………………………………162 3. 화폐시장의 균형과 물가수준의 결정 ……………………………………………………………………164 1- 통화량 증가와 화폐시장의 균형 / 165 2- 실질소득 증가와 화폐시장의 균형 / 167 4. 화폐수량설 ………………………………………………………………………………………………………………168 5. 인플레이션, 기대인플레이션, 이자율 …………………………………………………………………171 1- 인플레이션, 기대인플레이션 / 171 2-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 172 3- 피셔방정식 / 174 6. 화폐시장, 통화량, 인플레이션의 관계 …………………………………………………………………176 1- 화폐시장의 균형 / 176 2- 통화증가율과 물가 / 177 3- 통화증가율 상승의 효과 / 178 7. 인플레이션의 효과 …………………………………………………………………………………………………180 1- 인플레이션과 정부수입 / 180 2- 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 / 184 정 리 ……………………………………………………………………………………………………………………189 연습문제 ……………………………………………………………………………………………………………………191 PART III 경제성장 06 장 장기경제성장Ⅰ: 솔로우(Solow)모형 1. 경제성장과 몇 가지 사실들 ……………………………………………………………………………………200 1- 경제성장의 중요성 / 200 2- 성장의 정형화된 사실 / 201 3- 성장이론의 흐름 / 204 2. 자본축적과 경제성장: 기술진보가 없는 단순한 솔로우모형 ……………………………206 1- 단순한 솔로우모형의 가정 / 206 2- 자본축적의 균형경로 / 209 3- 균형 성장경로 / 214 4- 저축률, 인구증가율과 경제성장 / 216 5- 수렴현상 / 221 6- 자본축적의 황금률 / 225 3. 외생적 기술진보가 있는 솔로우 성장모형 …………………………………………………………231 4. 경제성장의 요인 분석 ……………………………………………………………………………………………237 1- 솔로우의 성장회계 / 237 2- 성장회계와 동아시아 성장의 한계 / 239 5. 솔로우 성장모형 비판 ……………………………………………………………………………………………241 1- 인구증가율과 기술진보율의 외생적 결정 / 241 2- 저축률의 외생적 결정 / 241 3- 소득의 수렴현상 / 241 정 리 ……………………………………………………………………………………………………………………242 연습문제 ……………………………………………………………………………………………………………………243 부록 1 성장회계 …………………………………………………………………………………………………………249 부록 2 콥 -더글라스 함수에서 지수(α, 1-α)가 생산에 기여한 자본 혹은 노동의 몫이 되는 수학적 증명 …………………………………………………………………………………251 07 장 장기경제성장Ⅱ: 내생적 성장이론 1. 내생적 기술진보모형 ……………………………………………………………………………………………254 1- 기술의 개념 / 254 2- 기술의 특성 / 254 3- 모형의 분석 / 256 2. 자본의 한계생산성이 감소하지 않는 내생적 성장모형: AK 모형 ………………………260 1- 균형자본 축적경로 / 260 2- AK 모형의 적합성 논의 / 262 3. 정부정책과 기술발전 ……………………………………………………………………………………………263 1- 기술투자의 인센티브 / 263 2- 인적자본 육성 / 265 3- 기술발전을 위한 인프라, 지적재산권의 보장 / 266 4- 대외 개방 / 267 4. 제도와 경제성장 ……………………………………………………………………………………………………268 5.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272 정 리 ……………………………………………………………………………………………………………………277 연습문제 ……………………………………………………………………………………………………………………278 부록 로머의 내생적 성장모형 …………………………………………………………………………………281 1- 개별기업의 생산함수 / 281 2- 기술(A )의 특징 / 281 3- 외부효과가 포함된 기업의 생산함수 / 282 4- 경제 전체의 생산함수 / 283 5- 균형자본 축적경로 / 284 6- 외부효과와 정부개입 / 285 PART IV 총수요·총공급 단기거시모형 08 장 경기변동현상과 장 · 단기균형 1. 경기변동과 관련된 기본적 사실들 ………………………………………………………………………292 1- 호황과 불황 / 293 2- 경기변동의 특징 / 295 3- 경기변동의 예측 / 302 2. 장기와 단기의 구별 ………………………………………………………………………………………………303 1- 장기와 단기의 차이 / 303 2- 장기와 단기에서의 총수요 · 총공급 / 305 정 리 ……………………………………………………………………………………………………………………311 연습문제 ……………………………………………………………………………………………………………………312 09장 거시경제의 총수요 결정 1. 총수요에 의한 총소득 결정 ……………………………………………………………………………………316 2. 생산물시장의 균형과 IS 곡선 …………………………………………………………………………………319 1- 케인즈의 기본모형 / 319 2- 승수효과 / 325 3- IS 곡선의 도출: 이자율과 생산물시장의 균형 / 330 4- IS 곡선의 기울기와 위치 / 332 5- 대부자금시장의 균형과 IS 관계 / 334 3. 화폐시장의 균형과 LM 곡선 …………………………………………………………………………………336 1- 유동성선호이론 / 337 2- 화폐공급과 시장의 균형 / 339 3- LM 곡선의 도출: 화폐시장의 균형 / 342 4- LM 곡선의 기울기와 위치 / 343 4.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일반균형 ……………………………………………………………………345 정 리 ……………………………………………………………………………………………………………………348 연습문제 ……………………………………………………………………………………………………………………350 10장 IS -LM모형과 정부의 총수요관리정책 1. 경기변동과 자연율총생산 ……………………………………………………………………………………354 1- 총수요충격과 경기변동 / 354 2- 장기에서의 경기회복 / 355 3- 케인즈의 처방 / 359 2. 정부의 총수요정책 …………………………………………………………………………………………………359 1- 재정정책 / 359 2- 통화정책 / 365 3-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정책조합 / 369 3.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을 구별한 경우의 IS -LM 모형 ……………………………… 371 1-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의 역할 / 371 2- 새로운 IS -LM 모형 / 373 3- 새로운 IS -LM 모형에서 달라진 점 / 375 4. 총수요곡선의 도출 …………………………………………………………………………………………………377 1- 총수요곡선의 이동 / 380 2- 물가의 결정 / 381 정 리 ……………………………………………………………………………………………………………………382 연습문제 ………………………………………………………………………………………………………………… 384 11장 총수요 · 총공급모형 I : 기본개념 1. 총공급곡선의 이해 …………………………………………………………………………………………………390 1- 총공급곡선의 모양 / 390 2. 노동시장의 경직성에 기초한 총공급곡선 ……………………………………………………………392 1- 명목임금의 경직성 / 392 2- 명목임금의 경직성에 기초한 총공급곡선의 도출 / 393 3. 총수요·총공급모형을 통한 단기 및 장기균형 분석 …………………………………………396 1- 단기균형과 장기균형의 결정 / 396 2- 단기균형에서 장기균형으로의 이동 / 397 4. 총공급충격 ………………………………………………………………………………………………………………398 1- 총공급충격의 의미 / 398 2- 총공급충격에 대한 정책 대응의 어려움 / 402 정 리 ……………………………………………………………………………………………………………………404 연습문제 ………………………………………………………………………………………………………………… 406 12장 총수요 · 총공급모형Ⅱ: 기대의 도입과 필립스곡선 1. 미래에 대한 기대의 형성 ………………………………………………………………………………………410 1- 거시경제학에서 기대의 중요성 / 410 2- 기대형성의 방법 / 411 2. 단기총공급곡선과 기대의 도입 ……………………………………………………………………………415 1- 명목임금 경직성모형 / 416 2- 루카스의 불완전정보모형 / 420 3- 새케인즈학파의 가격경직성모형 / 427 4- 단기총공급곡선모형들의 평가 / 430 3. 기대물가의 변화와 단기총공급곡선의 이동 / 433 4. 단기에서의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 사이의 상충관계 / 439 1- 필립스곡선 / 440 2- 필립스곡선의 이론적 근거 / 441 3- 인플레이션 감축과 희생비율 / 442 5. 기대와 장기에서의 필립스곡선 ……………………………………………………………………………443 1- 필립스곡선에 대한 새로운 경험적 사실들 / 443 2- 자연실업률 가설 / 447 3- 합리적 기대와 고통 없는 인플레이션 감축 / 449 4-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필립스곡선 / 451 6. 준칙, 자유재량, 동태적 비일관성 / 453 1- 준칙과 자유재량 / 453 2- 동태적 비일관성 / 455 3- 통화정책의 동태적 비일관성 / 457 정 리 ……………………………………………………………………………………………………………………461 연습문제 ……………………………………………………………………………………………………………………464 PART V 개방경제모형 13장 개방경제의 거시이론Ⅰ: 기본개념과 장기모형 1. 국제수지 …………………………………………………………………………………………………………………474 1- 국제수지표 / 474 2- 국제수지의 판단 / 476 3- 한국의 국제수지 / 477 2. 환율 …………………………………………………………………………………………………………………………480 1- 환율의 개념 / 480 2- 실질환율과 명목환율 / 480 3- 환율제도 / 481 4- 균형환율의 결정 / 484 5- 외환위기 / 491 3. 경상수지와 순수출 …………………………………………………………………………………………………497 1- 경상수지와 순수출 / 497 2- 경상수지와 저축, 투자 / 498 3- 경상수지와 순해외투자 / 498 4. 개방경제의 장기모형 ……………………………………………………………………………………………499 1- 생산물시장과 경상수지 / 500 2- 실질환율과 경상수지 / 501 3- 자본거래 / 501 4- 소규모 개방경제인 경우의 장기균형 / 503 정 리 ……………………………………………………………………………………………………………………511 연습문제 ……………………………………………………………………………………………………………………512 14장 개방경제의 거시이론Ⅱ: 단기모형 1. 고정환율제도 (E =- E ) ……………………………………………………………………………………………518 1- 통화정책의 효과 / 520 2- 재정정책의 효과 / 521 2. 변동환율제도 …………………………………………………………………………………………………………522 1- 통화정책의 효과 / 523 2- 재정정책의 효과 / 524 3. 자본시장 개방과 정책효과 ……………………………………………………………………………………525 4. 환율제도의 선택 ……………………………………………………………………………………………………529 정 리 ……………………………………………………………………………………………………………………533 연습문제 ……………………………………………………………………………………………………………………534 부록 환율(E )-생산량(Y ) 평면을 이용한 개방경제의 IS-LM 분석 ……………………538 PART VI 총수요의 미시적 기초 15장 소 비 1. 소비의 특징 ……………………………………………………………………………………………………………546 2. 케인즈 소비이론과 이에 대한 비판 ………………………………………………………………………548 1- 케인즈 소비이론 / 548 2- 소비행태에 대한 초기의 실증분석 성과 / 550 3- 장기시계열분석과 소비퍼즐 / 551 3. 소비함수의 미시적 기초 …………………………………………………………………………………………553 1- 피셔의 기간간 선택이론 / 553 2- 모딜리아니의 생애주기가설 / 565 3- 프리드만의 항상소득가설 / 571 4. 소득의 일시적 변화와 소비 ……………………………………………………………………………………575 1- 재정정책의 효과 / 575 2- 현재 가처분소득의 변화에 대응한 현재소비의 변화 / 576 5. 미래에 대한 합리적 기대와 소비 …………………………………………………………………………578 1- 합리적 기대를 따를 때 항상소득의 계산 / 579 2- 불확실성의 도입 / 580 3- 임의보행을 따라 변화하는 소비 / 581 정 리 ……………………………………………………………………………………………………………………585 연습문제 ……………………………………………………………………………………………………………………587 부록 T 기간에 걸친 소비자 효용극대화조건 …………………………………………………………590 16장 투 자 1. 투자의 종류와 성질 ………………………………………………………………………………………………595 2. 투자수요의 결정 ……………………………………………………………………………………………………597 1- 투자의 신고전학파모형 / 597 2- 조세와 투자 / 602 3- 투자의 q이론 / 604 4- 재고투자의 결정 / 606 5- 주택투자 / 607 6- 신용제약과 기업투자 / 609 정 리 ……………………………………………………………………………………………………………………611 연습문제 ……………………………………………………………………………………………………………………612 17장 정부 재정 1. 정부의 재정과 몇 가지 사실들 ………………………………………………………………………………616 2. 정부지출의 경제적 효과 …………………………………………………………………………………………619 3. 민간과 정부의 예산제약 …………………………………………………………………………………………620 1- 정부의 예산제약 / 621 2- 민간의 예산제약 / 622 4. 정부지출 증가의 효과 분석 ……………………………………………………………………………………623 1- 정부지출의 증가가 영구적인 경우 / 623 2- 정부지출의 증가가 일시적인 경우 / 625 5. 재정적자와 재원조달 ……………………………………………………………………………………………630 1- 재정적자의 보전과 경제적 효과 / 630 2- 세율 평준화 / 634 3- 전략적인 재정적자 / 637 4- 재정적자의 추정문제 / 638 6. 정부 부채 증가로 인한 문제 …………………………………………………………………………………640 정 리 ……………………………………………………………………………………………………………………642 연습문제 ……………………………………………………………………………………………………………………643 부록 민간과 정부의 다기간 예산제약 ……………………………………………………………………646 1- 정부의 예산제약 / 646 2- 민간의 예산제약 / 647 PART VII 거시경제이론의 최근 동향 18장 최근의 경기변동이론 1. 균형실물경기변동이론 …………………………………………………………………………………………654 1- 경기변동상의 정형화된 사실들 / 655 2-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들에 대한 균형실물경기변동이론의 설명 / 658 3- 균형실물경기변동이론과 합리적 기대 / 674 4- 균형실물경기변동이론과 관련한 여러 이슈들 / 675 2. 새케인즈이론 …………………………………………………………………………………………………………681 1- 가격의 경직성과 메뉴비용 / 682 2- 새케인즈학파의 모형 / 686 3- 새케인즈학파모형과 최적통화정책 / 694 정 리 ……………………………………………………………………………………………………………………701 연습문제 ……………………………………………………………………………………………………………………704 19장 금융, 통화정책과 거시경제 1. 금융시장 …………………………………………………………………………………………………………………708 1- 채 권 / 708 2- 주 식 / 709 3- 채권과 주식의 장단점 / 709 4- 대차대조표의 이해 / 710 2. 금융시장의 마찰 ……………………………………………………………………………………………………712 1- 정보의 비대칭성과 금융 / 713 2- 금융기관과 간접금융 / 719 3- 금융기관과 금융시장의 효율성 / 720 3. 신용제약과 경기변동, 그리고 통화정책 ………………………………………………………………722 1- 신용제약이 경기변동에 미치는 영향 / 722 2- 통화정책의 새로운 경로 / 724 4. 금융위기와 실물경제 ……………………………………………………………………………………………730 1- 은행위기 / 730 2- 자산시장과 금융위기 / 734 3- 금융위기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 735 5. 금융안정과 통화정책 ……………………………………………………………………………………………737 1- 중앙은행의 목표로서의 금융안정 / 738 2- 미시건전성과 거시건전성 / 743 3- 금융안정과 관련한 통화정책의 새로운 방향 / 744 6. 실물경기 안정을 위한 통화정책 운영의 새로운 논의 …………………………………………745 1- 실물경기 안정을 통화정책 목표로 명시 / 745 2- 실물경기 안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대안 / 747 3- 제로금리 하한에 대한 고려 / 748 정 리 ……………………………………………………………………………………………………………………750 연습문제 ………………………………………………………………………………………………………………… 752 ◆ 찾아보기 …………………………………………………………………………………………………………………… 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