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77941 | |
005 | 20190328114945 | |
007 | ta | |
008 | 190327s2019 ulkad b 001c kor | |
020 | ▼a 9791155900901 ▼g 935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92 | |
082 | 0 4 | ▼a 618.9768 ▼2 23 |
085 | ▼a 618.9768 ▼2 DDCK | |
090 | ▼a 618.9768 ▼b 2019 | |
100 | 1 | ▼a 이대희 |
245 | 1 0 | ▼a 임상 노인 신경학 = ▼x Clinical geriatric neurology / ▼d 이대희, ▼e 한일우, ▼e 박건우 저 |
260 | ▼a 서울 : ▼b 대한의학 : ▼b 에스앤씨퍼블리싱, ▼c 2019 | |
300 | ▼a xiii, 557 p. : ▼b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c 27 cm | |
504 | ▼a 각 장마다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한일우, ▼e 저 |
700 | 1 | ▼a 박건우,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618.9768 2019 | Accession No. 131053418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2-06-02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임상의사의 관점에서 노인 신경학을 폭넓게 다루는 책이다. 노화에 대한 개념과 더불어 정상 노인의 생리학적 및 심리학적 변화를 언급하였고, 흔히 동반되는 노인의 여러 가지 질병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나, 만성적인 신경계 질환들이 노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경우, 고령에 이르러 무능력 상태가 되어 요양원 및 요양병원에 수용 및 입원하는 상태까지 고려해서 실제적인 여러 임상적 문제점들을 언급하였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최근에 와서 노인의 건강, 복지 및 경제적 문제가 점차 관심의 대상이 되어 가고 있지만, 급속한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해 시간이 갈수록 노인의 전반적인 모든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2000년도에 고령화 사회에서 시작하여 2017년에는 고령 사회를 지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편차가 심지만 20%가 넘는 초고령 사회에 이르는 곳도 상당수 있다. 노인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오래전부터 선진국에서 체계적 연구가 시작되었지만,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나라마다 개념과 대책이 각기 달라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전통적 유교적 개념과 시대의 변천, 그리고 더불어 달라진 사회적 개념 및 변화한 현실 속에서 사회문화적 심사숙고가 병행되어야만 한다.
우리나라는 노인 의학에 대하여, 일부 학자들에 의해서 일찍부터 제기되어 왔지만, 정치사회적 관심이 따르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이제라도 체계적인 접근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여겨진다. 노인들에게는 흔히 여러 가지 질환들이 병행하는 복합적인 질병 상태가 일어나고 있으며, 그리고 고령이 될수록 인지기능 저하를 포함한 더 많은 신경과적 질환들이 복합되어 있어 노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학술적인 면에서 선진 각국에서는 이미 ‘노인 의학’ 분야가 제시되면서 전문 분야별로서 교육 과정 일부를 이루기 시작하였고, 이어서 더욱 세부적인 ‘노인 신경학’에 대한 과정도 생겨났다. 현재 노인의학에서 신경학의 비중은 막중하다.
임상의사의 관점에서 노인 신경학을 폭넓게 다루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이 책을 집필하였다. 그래서 노화에 대한 개념과 더불어 정상 노인의 생리학적 및 심리학적 변화를 언급하였고, 흔히 동반되는 노인의 여러 가지 질병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나, 만성적인 신경계 질환들이 노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경우, 고령에 이르러 무능력 상태가 되어 요양원 및 요양병원에 수용 및 입원하는 상태까지 고려해서 실제적인 여러 임상적 문제점들을 언급하였다. 아직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향후 더욱 연구되고 추가되어야 할 부분이 있다는 것을 절실히 느낀다. 그러나 비록 부족한 점도 있지만 노인신경의학의 기본이 될 책자의 발간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되어 본 책자를 내게 되었다.
이 책의 탈고를 위해 애써 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 교실의 모든 교수에게 감사를 드리며, 끝까지 편집을 위해 궂은일을 마다하지 않은 박윤아, 김재겸 선생에게도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PART 1 노화의 개념(Definition of Aging) = 1 1 노인의 개념 = 2 2 노화, 노쇠 및 노망 = 4 3 노화에 대한 학설 = 4 4 노인의 신체적 변화 = 6 5 노인의 심리 및 사회적 변화 = 12 PART 2 노인병과 만성 질환(Geriatric and Chronic disease) = 15 1 노인병과 만성질환 = 16 2 노인의 만성질환 관리 = 17 PART 3 말기 환자 치료 및 임종(Terminal Illness care and the End of Life) = 25 1 말기 환자와 임종 = 26 2 호스피스 치료 = 29 3 사전 의사 결정서 = 32 4 완화 치료 : 통증 치료 및 증상 조절 = 37 5 사망 및 사별 = 48 PART 4 간병과 간병인(Care and Caregiver) = 51 1 노인 건강 문제와 간병 = 52 2 간병인이 경험하게 되는 특수한 문제들 = 53 3 환자에게 미치는 간병인의 영향 = 58 4 간병인에 대한 임상적 접근 = 60 5 치료적 관점 = 62 PART 5 노인 환자의 다약제 요법(Polypharmacy) = 67 1 노인의 약물 복용 = 68 2 노화에 따른 신체 구성 및 기능 변화 = 70 3 노인에서 약물의 상호 작용 = 74 4 약물 배출에서 연령 관련 변화 = 76 5 다약제 복용 = 78 6 약물 부작용 및 부정적 반응 = 83 7 노인 환자 치료 관리에서 약제 누락 = 88 PART 6 치매 및 신경인지 기능 장애(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 93 1 기억력 장애 = 94 2 치매의 정의 = 95 3 치매의 원인 및 분류 = 96 4 치매의 임상 현상 및 질병 = 98 5 진단 및 인지 기능 평가 = 108 6 행동 및 심리학적 증상 = 115 7 치매의 치료 = 119 8 환자 및 가족 교육 = 126 9 심사숙고할 문제점들 = 128 10 장기요양보험제도와 노인 문제 = 128 PART 7 뇌졸중(Stroke) = 135 1 정의 및 분류 = 136 2 위험 인자 및 발생 = 137 3 증상 및 징후 = 140 4 진단 = 144 5 허혈성 뇌졸중 = 145 6 출혈성 뇌졸중 = 147 7 정맥굴 혈전증 및 혈관염 = 148 8 요양병원에서 뇌졸중 = 149 PART 8 파킨슨병 및 보행 장애(Parkinson''''s Disease and Gait Disorders) = 153 1 파킨슨병 = 154 2 비정형 및 이차 파킨슨 증후군 = 160 3 기타 이상 운동 장애 = 164 4 보행 및 균형 장애 = 167 5 보행 장애의 진단 = 178 6 보행 장애의 치료 = 184 PART 9 노인 우울증(Depression) = 193 1 원인 = 195 2 임상 양상 = 197 3 진단 = 201 4 감별 진단 및 평가 = 206 5 치료 = 209 PART 10 노인의 수면 장애(Sleep Disorders) = 227 1 노인의 수면 = 228 2 수면 곤란 및 불면증 = 230 3 노인들의 흔한 불면증 종류 = 231 4 과다 수면 장애 및 사건 수면 = 238 5 진단 = 241 6 치료 = 244 PART 11 노인의 실신과 발작(Syncope and Seizures) = 257 1 노인의 실신 = 258 2 노인의 발작 = 263 3 발작의 원인 = 264 4 발작의 분류 = 266 5 발작의 진단 및 감별 진단 = 269 6 발작의 치료 = 271 PART 12 노인의 골다공증과 골절(Osteoporosis and Fractures) = 277 1 노인의 골다공증 = 278 2 골다공증의 원인 및 종류 = 280 3 골다공증의 진단 = 284 4 골다공증의 치료 = 289 5 척추 골절 및 손상 = 297 6 고관절 골절 = 300 7 골반골 골절 및 기타 = 302 8 두부 외상 및 골절 = 303 9 낙상 = 35 PART 13 관절통 및 요통(Arthritis and Back ache) = 311 1 노화와 근골격계 변화 = 312 2 관절통 = 314 3 관절염의 증상들 = 320 4 관절염의 진단 = 324 5 관절염의 치료 = 331 6 노인의 요통과 요추 질환 = 340 7 척추 협착증 = 344 PART 14 시각 장애 및 청각 장애(Visual Impairment and Auditory Impairment) = 349 1 시각 장애 = 350 2 청각 장애 = 359 PART 15 노인의 어지럼(Dizziness and Vertigo) = 369 1 어지럼의 병태생리학 = 370 2 어지럼의 분류 = 371 3 진찰 = 372 4 어지럼을 일으키는 노인성 질환 = 375 5 치료 = 377 PART 16 피부염 및 기타 피부과 질환들(Dermatitis and Dermatologic Problems) = 383 1 피부 노화 및 생리 = 384 2 소양증 및 접촉성 피부염 = 385 3 습진성 질환 = 388 4 약물 발진(약진) = 389 5 수포성 질환 및 기타 = 393 6 감염성 질환 = 395 7 종양 및 악성 피부 병변들 = 399 PART 17 감염(Infections) = 405 1 노화와 감염 = 406 2 감기 및 상기도 감염 = 407 3 노인의 예방접종 = 411 4 폐렴 = 412 5 결핵 = 416 6 요로 감염 = 422 7 담낭염 = 425 8 패혈증 = 425 PART 18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 431 1 정의 및 역학 = 432 2 병태생리학 = 433 3 분류 및 원인 = 433 4 임상 증상 = 439 5 진단 = 441 6 치료 = 446 PART 19 변비(Constipation) = 461 1 정의 및 역학 = 462 2 병태생리학 = 464 3 노인 변비의 원인 = 467 4 특징적 임상 현상 = 471 5 진단 = 473 6 합병증 = 478 7 치료 = 479 8 예방 = 486 PART 20 노인의 영양 및 체중 감소(Nutrition and Weight Loss) = 491 1 노화와 영양 = 492 2 노인의 생리학적 및 해부학적 변화 = 493 3 나이에 따른 영양학적 변화 = 496 4 약물과 영양 = 500 5 노인의 영양 불량과 체중 감소 = 501 6 노인의 영양 치료 = 508 PART 21 피부 궤양(Skin Ulcers) = 513 1 임상 현상 및 종류 = 515 2 진단 및 검사 = 520 3 감별 진단 = 524 4 예방 = 525 6 치료 = 527 PART 22 노인의 재활 및 대체의학(Rehabilitation and Alternative Therapy) = 537 1 신경과 노인 환자의 재활 = 539 2 신경과 노인 환자의 사회적 문제 = 543 3 관절염 및 근골격계 질환의 재활 = 544 4 노인과 보완대체의학 = 545 Index = 551